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08:53:42

존 제이(야구선수)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41e3a><colcolor=#ffef00,#ffef00> 투수 30 헨스 · 36 맥그리비 · 38 로비 · 44 그라세포 · 47 · 49 스반슨 · 52 리베라토어 · 53 팔란테 · 54 그레이 · 55 오브라이언 · 58 로이크로프트 · 59 로메로 · 61 로버사 · 62 레이히 · 64 페르난데스 · 65 그라니요 · 70 라케 · # 저피 · # 모츠
포수 8 크룩스 · 43 파헤스 · 48 에레라 · 63 포조 · # 베르날
내야수 0 · 15 페르민 · 16 고먼 · 25 수제이시 · 28 아레나도 · 31 프리에토 · 33 도노반 · 40 콘트레라스 · 41 벌레슨
외야수 11 스캇 2세 · 18 워커 · 21 눗바 · 27 처치 · 29 코퍼니악 · # 토레스 · # 바에즈
''' 파일:미국 국기.svg 올리버 마몰'''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데스칼소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티 블레이크 파일:미국 국기.svg 훌리오 랑헬 · 파일:미국 국기.svg 딘 키케퍼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트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던 앨런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엘킨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스터비 클랩 · 파일:미국 국기.svg 론 워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66; font-size: 0.8em"
보조 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존 제이 ||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멤피스 레드버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존 제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TL_2011_WSChampion.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1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15번
맷 홀리데이
(2009)
<colbgcolor=#000066><colcolor=#ffffff> 존 제이
(2010~2011)
라파엘 퍼칼
(2011~201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19번
맷 카펜터
(2011)
존 제이
(2011~2015)
루벤 테하다
(2016)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24번
카메론 메이빈
(2011~2014)
존 제이
(2016)
알렉스 디커슨
(2019)
시카고 컵스 등번호 30번
조 스미스
(2016)
존 제이
(2017)
알렉 밀스
(2019~2022)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25번
켄드리스 모랄레스
(2015~2016)
존 제이
(2018)
브라이언 굿윈
(2018)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9번
애덤 로잘레스
(2017)
존 제이
(2018)
조시 로하스
(2019)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45번
그레고리 인판테
(2018)
존 제이
(2019)
개럿 크로셰
(2020~2024)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9번
조시 로하스
(2019)
존 제이
(2020)
닉 히스
(2021)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9번
저마이 존스
(2020)
존 제이
(2021)
애덤 이튼
(2021)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11번
미겔 로하스
(2022)
존 제이
(2023~2024)
결번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19번
존 제이
(2025~)
현역
}}} ||
파일:카디널스존제이.jpg
<colbgcolor=#c41e3a><colcolor=#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No.19
조너선 헨리 "존" 제이
Jonathan Henry "Jon" Jay
출생 1985년 3월 15일 ([age(1985-03-15)]세)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학력 크리스토퍼 콜롬버스 고등학교 - 마이애미 대학교
신체 180cm / 90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74번, STL)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0~2015)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6)
시카고 컵스 (2017)
캔자스시티 로열스 (2018)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8)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0)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1)
지도자 마이애미 말린스 1루 주루/외야 코치 (2023~2024)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코치 (2025~)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미국 국적의 전 야구선수이자 현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코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플로리다마이애미에서 태어난 존 제이는 음울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부모님은 1960년대에 쿠바를 탈출해 마이애미에서 정착한 사람들로, 존 제이는 먼 스페인 혈통이다. 아버지인 후스토 제이는 살 마글루타와 윌리 팰컨의 코카인 밀매 조직에서 활동한 혐의로 19년간 복역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고등학교에 진학해서 2학년 때 .466, 3학년 때 .528의 타율을 기록했고 졸업반 때인 2003년에는 .380의 타율에 15개의 도루를 기록하며 팀의 주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장학금을 받으면서 마이애미 대학교에 진학했다. 대학에서의 3년동안 120경기에서 뛰면서 .387의 타율과 7홈런을 기록했고 2005년에는 나무 배트를 쓰는 케이프 코드 리그에서 브루스터 화이트캡스 소속으로 뛰기도 했다.

2.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이러한 활약을 지켜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의해 2006년 드래프트에서 사이닝 보너스 48만 달러를 받고 2라운드 전체 74번으로 지명되었다.

2.2.1. 마이너 리그 시절

2006년에 지명 이후 싱글 A에서 시즌을 보내며 60경기에서 .342/.416/.462와 3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시즌 후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선정한 카디널스 조직 내 유망주 순위에서 5위에 올랐다.

2007년에는 하이 싱글 A에서 32경기에서 .286과 2홈런을 기록했지만 우측 어깨 염좌로 한 달간 결장했다. 루키 리그에서 리햅을 마친 이후 더블 A로 승격되어서는 26경기에서 .235의 타율과 2홈런을 기록했지만 또 한 번 어깨 염좌로 한 달간 결장했다. 2008년에는 더블 A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96경기에서 .306/.379/.457과 11홈런을 기록한 후 트리플 A로 승격되었다. 트리플 A에서도 16경기에서 .345의 타율과 1홈런을 기록하며 자신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2009년에는 트리플 A에서 시즌을 시작하며 136경기에서 .281의 타율과 10홈런, 20도루를 기록했다. 2010년에도 트리플 A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며 17경기에서 .347/.420/.542에 7도루를 기록했다.

2.2.2. 2010 시즌

4월 26일 빅리그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앨런 크레이그가 옵션되자 자리를 채우기 위해 콜업되었다. 바로 당일 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전에서 6회까지 3-0으로 뒤지던 중에 투수 카일 로시의 대타로 투입되며 빅 리그 데뷔전을 치뤘으나, 상대 투수인 팀 허드슨에게 삼구삼진으로 물러났다. 이후 루키 시즌 동안 주로 우익수로 뛰면서 105경기에서 .300의 타율을 기록했다. 5개의 보살을 기록한 것은 덤.

2.2.3. 2011 시즌

외야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던 중 논웨이버 트레이드 데드라인 직전인 7월 27일 팀이 기존 주전 중견수이던 콜비 래스머스를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트레이드시키며 중견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시즌 동안 159경기에 출전하며 팀 내 최다 출장을 기록했고 .297의 타율과 커리어 하이인 10홈런을 기록했다.

2011년 월드 시리즈에서 10회말 2점차로 뒤지던 중 다니엘 데스칼소에 이어 연속 안타를 때려내며 무사 1,2루 기회를 이어갔고, 이후 스트라이크 단 하나 남긴 상황에서 랜스 버크먼의 극적인 동점 적시타로 홈을 밟았다. 팀은 연장 11회 말 데이비드 프리즈의 끝내기 홈런으로 승리. 여세를 몰아 7차전까지 카디널스가 가져가며 존 제이는 자신의 첫 우승 반지를 끼게 된다.

2.3.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4. 시카고 컵스

2.5. 캔자스시티 로열스

2.6.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1기

2.7. 시카고 화이트삭스

2.8.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기

2.9.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파일:Jon Jay.jpg

3. 수상 내역

4. 연도별 기록

파일:MLB 로고.svg 존 제이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ef00>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0 STL 105 323 86 19 2 4 47 27 2 24 50 .300 .359 .422 .780 1.1 0.9
2011 159 503 135 24 2 10 56 37 6 28 81 .297 .344 .424 .768 2.3 2.8
2012 117 502 135 22 4 4 70 40 19 34 71 .305 .373 .400 .773 2.9 3.3
2013 157 628 151 27 2 7 75 67 10 52 103 .276 .351 .370 .721 1.8 1.5
2014 140 468 125 16 3 3 52 46 6 28 78 .303 .372 .378 .750 1.7 2.9
2015 79 245 44 5 1 1 25 10 0 19 36 .210 .306 .257 .563 -0.3 -0.2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6 SDP 90 373 101 26 1 2 49 26 2 19 78 .291 .339 .389 .728 0.5 1.2
<rowcolor=#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7 CHC 141 433 112 18 3 2 65 34 6 37 80 .296 .374 .375 .749 1.1 1.1
<rowcolor=#E3D4AD>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8 KCR
ARI
143 586 141 19 7 3 74 40 4 33 95 .268 .330 .374 .678 0.0 0.5
<rowcolor=#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9 CHW 47 182 44 8 0 0 12 9 0 8 30 .267 .311 .315 .626 -0.8 -0.7
<rowcolor=#E3D4AD>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0 ARI 18 57 8 1 0 1 5 4 0 3 12 .160 .211 .240 .451 -0.5 -0.5
<rowcolor=#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1 LAA 5 14 5 0 0 0 2 1 0 0 2 .357 .357 .357 .714 0.0 0.1
MLB 통산
(12시즌)
1201 4314 1087 185 25 37 532 341 55 285 716 .283 .348 .373 .721 9.8 12.8

5. 지도자 경력

5.1. 마이애미 말린스

2023년 1루 코치로 임명되었다.

5.2.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25년 코치로 임명되었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