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22:46:29

여한구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통상교섭본부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 (1998~2013)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초대
한덕수
제2대
황두연
제3대
김현종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4대
김종훈
제5대
박태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2017~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초대
김현종
제2대
유명희
제3대
여한구
제4대
안덕근
<nopad> 윤석열 정부 <nopad> 이재명 정부
제5대
정인교
제6대
여한구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3·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
呂翰九 | Yeo Han-koo
파일:여한구 본부장 사진.jpg
출생 1969년 11월 14일 ([age(1969-11-14)]세)
서울특별시
본관 함양 여씨
현직 통상교섭본부장
재임기간 제3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2021년 8월 9일 ~ 2022년 5월 9일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2025년 6월 11일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학력 경동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 (행정학 / 석사)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 석사)
병역 대한민국 공군 중위 전역 (공군작전사령부 / 정훈장교)
약력 제36회 행정고시 합격
대통령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대외산업과장 (참여정부)
산업자원부 FTA정책과장
지식경제부 자유무역협정팀장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정책과장
세계은행 선임투자정책관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협력과장
산업통상자원부 TPP 대책단 부단장
산업통상자원부 FTA정책관 겸 TPP 대책단장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
외교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상무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대통령비서실 신남방·신북방비서관 (문재인 정부)
제3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문재인 정부)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ASPI) 연구위원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민간위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제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이재명 정부)
}}}}}}}}}

1. 개요2. 생애3. 주요 관련 기사4. 경력5. 저서6. 상훈7.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정무직 공무원으로, 제3·6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다.

문재인 정부에서 제3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2021년 8월 5일에 임명되어 8월 9일,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취임하였다.

2025년 6월 10일, 이재명 정부에서 제6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다시 기용되었다.

2. 생애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해인 1992년 제36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다.

1993년 산업자원부에 입부하여 산업정책과, 중소기업정책과, 지도과에서 근무하였고,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행정학 석사(MPA)를, 2002년부터 2004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경영학 석사(MBA) 과정을 이수했다. MBA 수학 당시 하버드 최대의 아시아 비즈니스 컨퍼런스를 주관하는 하버드 아시아 비즈니스 클럽(ABC) 공동 회장을 맡았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지식경제부 자유무역협정팀장, 기후변화정책과장으로 근무했고, 2010년 세계은행 선임투자정책관으로 파견되어 2013년까지 근무하였다. 세계은행 선임투자정책관으로 재임 기간에는 방글라데시, 인도, 과테말라,아이티, 우즈베키스탄, 요르단, 케냐, 베트남 등에서 진행된 다양한 프로젝트에 리더와 멤버로 참여했다. 방글라데시 치타공의 저탄소 산업프로젝트 리더로서 성과를 인정받아 2013년 국제금융공사(IFC)에서 ‘팀 퍼포먼스 어워드’를 수행했다. 아이티 지진이후산업재건 및 투자 촉진 프로젝트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팀과 함께 ‘금융 및 민간부문개발 부총재 프로젝트상’을 수상했다.

이어 한국으로 복귀, 2014년 산업통상자원부 다자통상협력과장,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 TPP 대책단 부단장,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정책관/TPP 대책단 단장을 역임했다.

2017년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출범했을 때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으로서 대미 통상정책을 총괄했으며 2017년 9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외교부 주미대사관 상무관(공사참사관급)으로 트럼프 1기 행정부의 한미FTA 개정협상, 철강 232조 쿼터협상 등을 현지에서 총괄하였다. 이후 1급으로 승진하여,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으로 역임하면서, 2019년 한-영 FTA, 한-인도네시아 CEPA, RCEP 협상 등의 수석대표를 맡아 모두 타결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청와대 신남방신북방비서관을 지내면서, 2021년 5월에 개최된 문재인 대통령과 바이든 미국 대통령간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 간 공급망 파트너십 및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을 성사시켰다.

2021년 8월, 통상교섭본부장(Minister for Trade)에 임명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 내 통상 전문가의 대표로, 청와대에서는 “국제통상·경제 협력 전반에 대한 정책 수립과 조정 능력이 뛰어나고 협상 능력도 탁월하다는 평가”라며 “글로벌 통상질서 재편에 대한 대응 및 디지털 무역 전환 등 당면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통상교섭본부장 재직 시 2021년 한-필리핀 FTA를 타결했으며, 2021년 11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걸프협력이사회의 나예프 알 하즈라프 사무총장과 함께 한·걸프협력이사회(GCC)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12년만에 재개한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걸프협력이사회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등 6개국의 지역협력기구다.

2021년 12월 15일 싱가포르에서 탄시렝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제2장관과 한-싱가포르 디지털동반자협정(KSDPA)을 최종 타결 선언하고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2022년 1월 인도 뉴델리 코로나 신규 확진자 2만 명 폭증세에 불구 인도를 방문, 2년 6개월 만에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 재개에 합의하는 성과를 냈다. 재임 기간 동안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한 정부 내 절차를 마무리하고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가입을 위한 기초 작업을 마쳤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함께 직에서 물러났다.[1]

2023년 3월, 국회의장 직속 경제외교자문위원회 민간위원직을 수행하였다.

2023년 6월부터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직을 수행 중이다. 한국 정부 전직 통상 관료 중 최초로 미국 유수의 싱크탱크에 첫 상주 선임위원으로 임명됐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는 워싱턴 D.C. 에 있는 미국의 싱크탱크로 미국 경제와 국제 경제와 관련된 광범위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정책 권고를 제공하며, 서적과 기사를 출판하는 기관이다. 2006년까지 국제경제연구소(IIE)로 알려져 있었다. 여한구 선임연구위원은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소속으로 2025년 3월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트럼프 상호관세,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주제 발표를 진행한 바 있다.

2024년 8월부터는 세계 최고 대학인 미국 하버드 케네디스쿨 기업정부센터(M-RCBG) 선임연구원(Senior Fellow)으로 영입됐다. 한국 통상관료 중 처음이다.

2025년 6월 6대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임명되었다.

3. 주요 관련 기사

트럼프 보편관세, 협상이 중요…車관세도 대비해야
FTA는 한·미 교역·투자 부스터 샷…IPEF 좋은 플랫폼
적극적인 통상으로 수출 7,000억불 시대 연다
통상·FTA 네트워크 활용으로 온실가스 국외감축 지원
러 경제개발부 장관과 FTA·신산업 협력 논의
한-중미 6개국 FTA 제4차 협상

4. 경력

5. 저서

  • 《하버드 MBA의 경영수업》 (2007년)
  • 《그들은 왜 신발대신 휴대전화를 선택했는가》 (2013년)

6. 상훈

  • 1993.11. 총무처장관 표창
  • 1998.8. 국방부장관상
  • 2006. 산업자원부장관 표창
  • 2006. 대통령 표창

7. 둘러보기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대한민국정부 흰색 글자.svg
중앙행정기관 소속 본부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차관급 인사
고공단 가급 인사
고공단 나급 인사

대장급 인사
중장급 인사
소장급 인사
치안정감급 인사
소방감급 인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용노동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
김종윤
외교전략정보본부장
조구래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김광용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
우정사업본부장
조해근
과학기술혁신본부장
박인규
교정본부장
공석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배상업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방위사업청
정부청사관리본부장
김기영
농림축산검역본부장
김정희
기반전력사업본부장
조현기
미래전력사업본부장
한경호
우주항공청 국토교통부 국가유산청 산림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존 리
항공교통본부장
김상수
궁능유적본부장
이재필
산림항공본부장
고기연
국방부
합동참모의장
김명수
육군참모총장
김규하
해군참모총장
강동길
공군참모총장
손석락
국방부 경찰청 소방청
국방정보본부장
원천희
조사본부장
박헌수
국가수사본부장
박성주
중앙119구조본부장
김수환
||<tablewidth=100%><bgcolor=#FFF,#191919> ※ 둘러보기: 중앙행정기관 소속 본부 ||

}}}}}}}}} ||
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 대통령비서실 신남방·신북방비서관
문재인 정부
초대
박진규
2대
여한구
3대
김정회


[1] 후임 본부장은 안덕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