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시/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수원 갑 | 수원 을 | 수원 병 | 수원 정 | |
이찬열 | 정미경 | 김용남 | 박광온 | 김태년 | |
신상진 | 이종훈 | 전하진 | 문희상 | 홍문종 | |
이종걸 | 이석현 | 심재철 | 김경협 | 설훈 | |
광명 갑 | 광명 을 | 평택 갑 | |||
김상희 | 원혜영 | 백재현 | 이언주 | 원유철 | |
평택 을 | |||||
유의동 | 정성호 | 전해철 | 김영환 | 김명연 | |
부좌현 | 심상정 | 김태원 | 유은혜 | 김현미 | |
구리 | 오산 | ||||
송호창 | 윤호중 | 최재성 | 박기춘 | 안민석 | |
화성 갑 | 화성 을 | 시흥 갑 | 시흥 을 | 군포 | |
서청원 | 이원욱 | 함진규 | 조정식 | 이학영 | |
하남 | 파주 갑 | 파주 을 | 이천 | 용인 갑 | |
이현재 | 윤후덕 | 황진하 | 유승우 | 이우현 | |
용인 을 | 용인 병 | 안성 | 김포 | 광주 | |
김민기 | 한선교 | 김학용 | 홍철호 | 노철래 | |
김영우 | 정병국 | ||||
* 화성 갑 고희선 임기 중 사망 (2013.8.25.) * 평택 을 이재영 의원직 상실 (2014.1.16.) * 수원 을 신장용 의원직 상실 (2014.1.16.) * 수원 병 남경필 사퇴 (2014.5.15.) * 수원 정 김진표 사퇴 (2014.5.15.) * 김포 유정복 사퇴 (2014.5.15.) * 성남 중원 김미희 의원직 상실 (2014.12.19.) | |||||
◀ 제18대 제20대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양주시·동두천시 {{{#fff 양주시·동두천시 일원 | }}}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229,817명 (2012)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
관할 구역 | ||||||
신설년도 | 2004년 | |||||
이전 선거구 | 동두천시·양주군 | |||||
폐지년도 | 2016년 | |||||
이후 선거구 | 양주시, 동두천시·연천군 | |||||
국회의원 | | 정성호 |
[clearfix]
1. 개요
이 선거구의 정치적인 성향은 경기도의 북부 지역인 관계로 보수성향이 강한 편이었으나, 여타 경기도 신도시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신도시 개발로 인한 인구 유입으로 인해 점차 민주당의 강세 지역으로 변모했다. 이 선거구의 마지막 의원은 21대 총선에서도 당선된 정성호 의원이다.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7대 | 정성호 | [[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
18대 | 김성수 | |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
19대 | 정성호 | [[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
2.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양주시·동두천시 양주시 일원, 동두천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목요상(睦堯相) | 39,896 | 2위 |
| 43.66% | 낙선 | |
2 | 이성수(李聖洙) | 6,384 | 3위 |
[[새천년민주당| | 6.98% | 낙선 | |
3 | 정성호(鄭成湖) | 45,082 | 1위 |
[[열린우리당| | 49.34%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62,590 | 투표율 57.97% |
투표 수 | 92,513 | ||
무효표 수 | 1,151 |
2.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양주시·동두천시 양주시 일원, 동두천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성호(鄭成湖) | 41,822 | 2위 |
[[통합민주당(2008년)| | 48.02% | 낙선 | |
2 | 김성수(金性洙) | 43,462 | 1위 |
| 49.90% | 당선 | |
6 | 우주호(禹柱壕) | 1,806 | 3위 |
[[평화통일가정당| | 2.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02,774 | 투표율 43.56% |
투표 수 | 88,103 | ||
무효표 수 | 1,013 |
제18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양주시·동두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통합민주당 | 한나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정성호 | 김성수 | |||||||
득표수 (득표율) | 41,822 (48.02%) | 43,462 (49.90%) | - 1,640 (▼1.88) | 88,103 (43.56%) | |||||
제18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양주시 (지역구) 개표 결과 | |||||||||
정당 | 통합민주당 | 한나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정성호 | 김성수 | |||||||
득표수 (득표율) | 27,206 (47.33%) | 29,000 (50.45%) | - 1,794 (▼3.12) | 58,164 (43.36%) | |||||
백석읍 | 41.54% | 55.84% | ▼14.30 | 42.24 | |||||
은현면 | 42.87% | 54.76% | ▼11.89 | 47.11 | |||||
남면 | 45.58% | 52.14% | ▼6.56 | 46.79 | |||||
광적면 | 45.86% | 51.93% | ▼6.07 | 42.75 | |||||
장흥면 | 37.69% | 60.30% | ▼22.61 | 45.01 | |||||
양주1동 | 36.70% | 61.09% | ▼24.39 | 48.43 | |||||
양주2동 | 48.06% | 50.18% | ▼2.12 | 41.70 | |||||
회천1동 | 53.19% | 44.55% | △8.64 | 42.38 | |||||
회천2동 | 51.94% | 46.07% | △5.87 | 37.70 | |||||
회천3동 | 55.75% | 42.74% | △13.01 | 42.86 | |||||
회천4동 | 51.82% | 46.85% | △4.97 | 37.54 | |||||
후보 | 정성호 | 김성수 | 격차 | ||||||
부재자투표 | 47.43% | 46.45% | △0.98 | ||||||
잘못 투입·구분된 투표지 | 39.78% | 53.76% | ▼13.98 | ||||||
제18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동두천시 (지역구)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통합민주당 | 한나라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정성호 | 김성수 | |||||||
득표수 (득표율) | 14,616 (49.34%) | 14,462 (48.82%) | + 154 (△0.52) | 29,939 (43.60%) | |||||
생연1동 | 46.87% | 51.50% | ▼4.63 | 43.84 | |||||
생연2동 | 50.01% | 48.37% | △1.64 | 43.71 | |||||
중앙동 | 44.17% | 54.77% | ▼10.60 | 43.43 | |||||
보산동 | 46.29% | 52.45% | ▼6.16 | 45.31 | |||||
불현동 | 51.20% | 46.89% | △4.31 | 42.38 | |||||
송내동 | 50.81% | 47.48% | △3.33 | 38.71 | |||||
소요동 | 43.95% | 53.50% | ▼9.55 | 45.14 | |||||
상패동 | 50.90% | 47.44% | △3.46 | 45.96 | |||||
후보 | 정성호 | 김성수 | 격차 | ||||||
부재자투표 | 56.46% | 39.88% | △15.58 | ||||||
잘못 투입·구분된 투표지 | 50.00% | 50.00% | =0.00 |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의 선거라 한나라당 열풍에 현역 정성호 의원이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며 낙선한 선거였다.
2.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양주시·동두천시 양주시 일원, 동두천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세종(李世鍾) | 49,177 | 2위 |
[[새누리당| | 44.03% | 낙선 | |
2 | 정성호(鄭成湖) | 60,016 | 1위 |
[[민주통합당| | 53.74% | 당선 | |
6 | 한두성(韓斗星) | 2,47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2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9,817 | 투표율 48.74% |
투표 수 | 112,635 | ||
무효표 수 | 963 |
제19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양주시·동두천시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세종 | 정성호 | |||||||
득표수 (득표율) | 49,177 (44.03%) | 60,016 (53.74%) | - 10,839 (▼9.71) | 112,635 (48.74%) | |||||
제19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양주시 (지역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세종 | 정성호 | |||||||
득표수 (득표율) | 33,642 (44.32%) | 40,433 (53.27%) | - 6,791 (▼8.95) | 76,513 (49.78%) | |||||
백석읍 | 49.72% | 48.28% | △1.44 | 47.11 | |||||
은현면 | 50.90% | 47.25% | △3.65 | 48.43 | |||||
남면 | 52.28% | 45.96% | △6.32 | 48.79 | |||||
광적면 | 50.69% | 47.26% | △3.43 | 47.32 | |||||
장흥면 | 55.13% | 43.28% | △11.85 | 51.24 | |||||
양주1동 | 52.12% | 46.02% | △6.10 | 50.69 | |||||
양주2동 | 40.32% | 56.93% | ▼16.61 | 50.32 | |||||
회천1동 | 45.09% | 52.30% | ▼7.21 | 48.46 | |||||
회천2동 | 39.33% | 58.61% | ▼19.28 | 45.80 | |||||
회천3동 | 39.93% | 58.25% | ▼18.32 | 51.38 | |||||
회천4동 | 45.80% | 51.97% | ▼6.17 | 45.72 | |||||
후보 | 이세종 | 정성호 | 격차 | ||||||
국내부재자투표 | 33.78% | 58.28% | ▼24.50 | ||||||
국외부재자투표 | 24.80% | 68.00% | ▼43.20 | ||||||
제19대 국회의원선거 경기 동두천시 (지역구) 개표 결과 | |||||||||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세종 | 정성호 | |||||||
득표수 (득표율) | 15,535 (43.41%) | 19,583 (54.73%) | - 4,048 (▼11.32) | 36,122 (47.45%) | |||||
생연1동 | 47.63% | 50.78% | ▼3.15 | 44.46 | |||||
생연2동 | 43.53% | 54.66% | ▼11.13 | 49.46 | |||||
중앙동 | 50.46% | 48.01% | △2.45 | 44.19 | |||||
보산동 | 46.17% | 52.38% | ▼6.21 | 40.95 | |||||
불현동 | 42.36% | 56.09% | ▼13.73 | 45.32 | |||||
송내동 | 39.18% | 59.03% | ▼19.85 | 47.95 | |||||
중앙동 | 51.21% | 46.60% | △4.61 | 47.76 | |||||
상패동 | 45.37% | 53.06% | ▼7.69 | 47.00 | |||||
후보 | 이세종 | 정성호 | 격차 | ||||||
국내부재자투표 | 31.30% | 62.91% | ▼31.61 | ||||||
국외부재자투표 | 34.78% | 63.04% | ▼28.26 | ||||||
잘못 투입·구분된 투표지 | 0.00% | 100.00% | ▼100.00[1] |
양주신도시 입주로 양주시의 정치 지형이 민주당계 정당 친화적으로 바뀐 이후의 선거로 이세종 후보는 4년후인 2016년 설욕에 나섰지만 낙선했다.
3. 폐지
양주시의 인구 증가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이후에는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와 양주시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8년 후인 2024년부터는 선거구 조정이 있었다.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기준으로는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선거구와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 선거구로 재획정되었다. 이는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의 유권자 인구가 최고 기준치 미만으로 감소했기에 불가피하게 조정하게 된 것이다.[2]
[1] 전체 표수가 1표였다.[2] 여담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는 '동두천시·양주시 갑/을' / '포천시·연천군·가평군' 안을 내놓았으나 후자의 면적이 과도하여 결국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을'로 조정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