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6:18:57

신윤창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전국구 제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민주공화당
22석
정구영 <colbgcolor=#835b38> 김성진 <colbgcolor=#835b38> 이종극 <colbgcolor=#835b38>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민정당
14석
---- 윤보선 ---- 정해영 유진산 고흥문
김익기 강문봉 김형일 정운근
박삼철 함덕용 방일홍 유홍
---- 류진 이중재 ---- 임차주 이우태
박중한 우갑린
민주당
5석
---- 조재천 ---- 김성용 유창열 장치훈
최희송 계광순 ---- 한근조 이태용
자유민주당
3석
---- 김도연 소선규 손창규 ---- 김재위
이원홍
제7대
}}}
}}}}}}

파일:구 경기도 휘장(백색).png 경기도 제7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정렬 김은하 이병희 이진용 차지철
포천·연천·가평 여주·양평 용인·안성 화성
오치성 이백일 서상린 이윤용 김형일
파주·고양 김포·강화
신윤창 김재소 오학진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파일:민주공화당(한국)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835B38><tablebgcolor=#835B3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민관식 박준규 조시형 예춘호 이종순
김임식 최두고 양극필 류승원 이병희
이백일 서상린 권오석 이돈해 옥조남
신옥철 이승춘 김재순 김종호 황호현
김진만 정태성 신관우 육인수 안동준
김종무 김용태 양순직 김종필 김종갑
이상희 이영진 길재호 김성철 최영두
전휴상 한상준 류광현 이병옥 장경순
정래정 이우헌 조경한 김선주 신형식
길전식 최서일 배길도 박종태 정헌조
이남준 송관수 이원만 이효상 김종환
김장섭 백남억 이상무 김성곤 김봉환
오상직 권오훈 김중한 이활 김준태
송한철 김정근 이동녕 정진동 김창근
구태회 최석림 김주인 김용순 방성출
신영주 변종봉 이재만 노재필 김택수
최치환 민병권 임병수 현오봉 정구영
김성진 이종극 민병기 김동환 신윤창
오치성 박현숙 강상욱 조창대 이종근
오학진 김우경 김병순 서인석 이만섭
조남철 한태연 최정기 차지철 박규상
김호칠 강문봉 최희송 }}}
}}}}}}
신윤창
申允昌
파일:external/rokps.or.kr/913.jpg
본관 평산 신씨[1]
출생 1926년 2월 18일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 1989년 7월 25일 (향년 63세)

1. 개요2. 생애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2. 생애

1926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황해도 신천군이 근거지였는지 혹은 거기서 자랐는지 육사 동기인 중정부장 김형욱이 같은 고향이라고 자주 말했다고 한다.

1949년 5월 육군사관학교(8기)를 졸업했다. 이후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서 6.25에 참전했다.

1960년 육사 동기들인 김종필, 김형욱, 길재호, 옥창호 등과 함께 5개항의 정군 목표를 발표, 정치 군인의 기미를 이미 보이기 시작했다. 3.15 부정선거를 방조한 군 고위층에 대한 책임 추궁을 골자로 해서 국방부 장관에게 건백서를 올렸다. 파벌 조성의 근거를 발본 색원, 군의 정치적 중립 보장, 처우 개선 등이 그 내용이다.이들은 이후 정군파로 불리게 된다.

1961년 5.16 군사정변6군단포병단 대대장으로서 김종필, 김형욱, 오치성, 길재호 등 육군사관학교 8기 동기생들 일부와 참여했다. 이후 김재춘(육사 5기)에 이어 수도방위사령부 참모장(대령)을 역임했다. 그러나 김재춘 부장이 육사 8기와 파워게임을 하면서 결국 사이가 벌어진다. 공화당 창당 과정에 김재춘 방첩대장이 박정희 의장과 자꾸 부딪히자 김재춘과 따로 만난 자리에서 혁명동지답게 굴라면서 권총을 겨눈 일화가 있다.

1963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1964년 민주공화당 경기도지부 위원장을 역임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기도 고양군-파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황인원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9년 김성곤, 백남억, 김진만, 길재호 등 ''반 김종필계 4인방''이 추진한 3선 개헌 때 처음에는 김종필계로 몰려 중앙정보부에게 체포되기도 했다. 3선 개헌을 안하겠다고 선언했었던 박정희 대통령의 말만 믿고 소위 한국국민복지회가 주동해 김종필의 차기 정권 인수 계획을 짠 것이 아닌가 생각됐었다. 당시 복지회 소속으로 공화당 내 지역도당 책임자들인 경기도 신중찬, 강원도 이승춘, 충북 오원선, 전북 유광연, 전남 박종태, 경북 이원만, 경남과 부산의 예춘호가 공화당 내의 김종필 파로 분류돼 당에서 제명됐다.

결국 신윤창은 태평로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제3별관에서 3선 개헌안 변칙 통과에 참여해 거수기가 되긴 했다. 그럼에도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탈락했다. 신윤창 대신 고양군 선거구에는 김유탁이, 파주군 선거구에는 박명근이 공천됐다. 이후 유신 시절 내내 정계와 떨어져 지냈다.

1973년 12월 롯데전자[2] 설립 당시 초대 사장으로 취임했다가 물러났으나 1975년에 롯데전자공업 사장을 다시 맡았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3년간 정치규제를 당했다.

1987년 13대 대선에 김종필이 기호 4번으로 정계 복귀할 때 신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했다가, 선거일을 앞두고 돌연 김윤덕, 김영광민주정의당에 입당해 기호 1번 노태우 후보 지지로 돌아섰다. 그리고 이듬해 별세한다.

3. 여담

  • 그는 김종필의 친구이자 당여로서 박정희 정권 내내 김종필이 견제를 받을 때마다 된서리를 맞았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자 김종필이 은둔을 해버렸기 때문에 그 역시 아무런 정치적 활동을 하지 못했다. 훗날 김종필이 기지개를 펴고 김영삼과 민주화 운동을 하고 신당 창당에도 합류했지만 삼당 합당이나 자민련 창당을 할 때는 이미 신윤창은 고인이 된 후였다.

4. 관련 문서



[1] #[2] 롯데그룹 계열의 옛 대한민국 전자제품 생산회사였으며 일본의 파이오니아와 합작으로 설립했다. 2004년에 롯데정보통신으로 합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