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의 종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 |||||
| <colbgcolor=#C996C4><colcolor=#000,#fff> ㄱ | 간암 · 갈색세포종 · 고환암 · 골육종 · 미성숙 기형종 | |||||
| ㄴ | 난소암 · 악성 뇌종양(수모세포종 · 악성 뇌하수체 종양 · 악성 신경 교종(교모세포종 · 뇌간 교종 · 악성 성상세포종 · 역형성 성상세포종) · 악성 뇌수막종) | |||||
| ㄷ | 담도암(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직장암 · 충수암ㆍ항문암) · 두경부암(구강암(구순암 · 설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 편도암) · 갑상샘암 · 비강암 · 인두암 · 후두암) | |||||
| ㅂ | 방광암 · 복막암(악성 복막중피종) · 부신암 · 비장암 | |||||
| ㅅ | 소장암(십이지장암) · 식도암 · 신장암(윌름즈 종양) · 심장암 · 신경모세포종 | |||||
| ㅇ | 악성중피종 · 안암(망막아종 · 맥락막 흑색종) · 요로암(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유방암 · 음경암 | |||||
| ㅈ | 자궁암(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질암 | |||||
| ㅊ | 췌장암 · 척수암(악성 신경 교종(교모세포종 · 악성 성상세포종 · 역형성 성상세포종)) · 척추암 | |||||
| ㅋ | 카포시 육종 | |||||
| ㅍ | 폐암 · 피부암 · 파제트병 | |||||
| ㅎ | 혈액암(다발성 골수종 · 림프종 · 백혈병 · 진성적혈구증가증 · 골수이형성증후군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 횡문근육종 | |||||
| 고형암의 병기1 | ||||||
| 1기 | 5년 생존률: >90% | |||||
| 2기 | 5년 생존률: 70-90% | |||||
| 3기 | 5년 생존률: 40-70% | |||||
| 4기 | 5년 생존률: <20% | |||||
| }}}}}}}}} | |||||
1. 개요
신생물딸림증후군(Paraneoplastic Syndrome)[1]이란 악성 종양을 갖고 있는 환자에서 종양 자체의 침윤이나 전이, 영양실조, 감염, 항암치료의 부작용 등과는 관계없이 나타나는 여러 증상과 질병을 통칭한다. 이러한 증상은 종양 그 자체가 문제라기보단 암에 대항하는 면역계의 반응이나 악성 종양이 분비하는 특정 호르몬, 사이토카인 등의 체액성 물질에 의해 발생한다.2. 관련성이 높은 암
서술된 암 외에도 여러 가지 악성 종양이 신생물 딸림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3. 증상
일반적으로 악성 종양을 가진 환자에게서 종양 그 자체가 문제가 아닌, 즉 원인을 알 수 없는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암의 증상 하면 떠올리는 체중 감소, 발열, 쇠약, 식욕 감퇴, 피로감, 배변 문제부터 암의 종류에 따라 내분비계, 순환계 , 호흡계, 근육계, 신경계 등등 우리 몸의 거의 모든 곳에 이상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3.1. 소화계
장액성 설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변비,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소화기 관련 암 의 경우, 종양 그 자체가 직접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3]3.2. 내분비계
- 췌장암의 경우 카르시노이드 증후군 이 발생할 수 있다.
3.3. 신경계
- 소세포폐암, 유방암, 난소암 환자에게서 드물게 아급성 소뇌변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자가 항체가 소뇌를 공격하여 불안정한 걸음걸이, 현기증, 협응상실 등의 운동실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소세포폐암이 있는 환자에게 드물게[4] 람베르트-이튼 근무력증후군이 발생하기도 한다.
3.4. 근육계
일부 악성 종양에 의해 다발성 근염 및 피부근염이 발생할 수 있다. 근육의 쇠약 및 근육통을 유발한다.3.5. 기타
- 가려움, 홍조, 피부발진, 드물게 대상포진 등등의 피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