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7:07:28

신경모세포종

암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colbgcolor=#C996C4><colcolor=#000,#fff> 간암 · 갈색세포종 · 고환암 · 골육종 · 미성숙 기형종
난소암 · 악성 뇌종양(수모세포종 · 악성 뇌하수체 종양 · 악성 신경 교종(교모세포종 · 뇌간 교종 · 악성 성상세포종 · 역형성 성상세포종) · 악성 뇌수막종)
담도암(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직장암 · 충수암ㆍ항문암) · 두경부암(구강암(구순암 · 설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 편도암) · 갑상샘암 · 비강암 · 인두암 · 후두암)
방광암 · 복막암(악성 복막중피종) · 부신암 · 비장암
소장암(십이지장암) · 식도암 · 신장암(윌름즈 종양) · 심장암 · 신경모세포종
악성중피종 · 안암(망막아종 · 맥락막 흑색종) · 요로암(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유방암 · 음경암
자궁암(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질암
췌장암 · 척수암(악성 신경 교종(교모세포종 · 악성 성상세포종 · 역형성 성상세포종)) · 척추암
카포시 육종
폐암 · 피부암 · 파제트병
혈액암(다발성 골수종 · 림프종 · 백혈병 · 진성적혈구증가증 · 골수이형성증후군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 횡문근육종
고형암의 병기1
1기
5년 생존률: >90%
2기
5년 생존률: 70-90%
3기
5년 생존률: 40-70%
4기
5년 생존률: <20%
[ 각주 ]
1. 해당 분류는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포괄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로는 암의 종류마다 병기를 판단하는 세부 기준이 다릅니다. 정확한 병기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문 자격을 가진 의료진과 상담하십시오.
}}}}}}}}}
진료과 소아과
관련증상 복통, 위장관 출혈

Neuroblastoma

1. 개요 및 원인2. 증상, 진단 및 치료3. 예후 및 치료

1. 개요 및 원인

신경모세포종 또는 신경아세포종은 N-myconcogens 으로 인해 신경관모(neural crest)에 기원하여 발생하는 종양으로 소아기 환자에게서 보여지게 된다. 8%의 소아기 악성종양의 원인이기도 하다.

위치는 가장 흔히 부신(adrenal gland)에서 발견되며, 그 외 후복막의 교감신경절(retroperitoneal sympathetic ganglia)이나 경추-흉추의 교감신경절(cervical-thoracic)에서 발생하게 된다.

2. 증상, 진단 및 치료

증상으로 가장 흔히 단단한 종괴가 옆구리(flank)나 몸통 중간에서 촉진되는데, 이때 통증(pain)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종양이 석회화(calcification)를 거치게 되면서 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교감신경절에서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호너 증후군(Horner syndrome)이 발생하여 편측성 눈꺼풀처짐(ptosis), 무한증 등이 보여지기도 한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발생할 쯤이면 4기일 수 있다.

진단은 우선적으로 X-ray, CTMRI를 통해 종양을 발견하게 된다. 그 외 소변검사에 Homovanillic acid 및 Vanillylmandelic acid의 수치 증가가 보여지게 된다. 그 후 뼈스캔(bone scan) 등을 통해 골수 등으로 전이됐는지 확인하게 된다.

치료는 기본적으로 외과적 수술과 항암제 및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조혈모세포 이식을 통해 완치할 수 있다.

3. 예후 및 치료

출처:국가암정보센터
1기:수술만으로 90%, 재발 시에만 항암치료
2기~3기[1]:수술 및 항암치료로 2년 생존율 85%
2B기[2]:항암치료 후 수술, 방사선 치료 후 다시 항암치료, 관해율 75% 생존율 60%
3기[3]:수술 후 항암치료 한 뒤 2차 수술, 후 방사선 치료, 3차 수술까지 하기도 함, 생존율 70%
4기[4]:수술 후 1년 정도 항암치료, 생존율 75%
4기[5]:항암치료 후 수술과 방사선치료 한 후 항암치료 및 조혈모세포 이식, 생존율 44%

[1] 2B기나 3기의 경우는 12개월 미만 영아[2] 12개월 이상[3] 12개월 이상[4] 12개월 미만[5] 12개월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