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 |||||
<colbgcolor=#C996C4><colcolor=#000,#fff> ㄱ | 간암 · 갈색세포종 · 고환암 · 골육종 · 기형종1 | |||||
ㄴ | 난소암 · 뇌종양(뇌하수체 종양 · 수모세포종 · 신경교종(교모세포종 · 뇌간 교종 · 성상세포종 · 역형성성상세포종)) | |||||
ㄷ | 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용종증 · 직장암 · 충수암ㆍ 항문암) · 두경부암(구강암(구순암 · 설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 편도암) · 갑상샘암 · 비강암 · 비암 · 인두암 · 후두암) | |||||
ㅂ | 방광암 · 복막암 · 부신암 · 비장암 | |||||
ㅅ | 소장암(십이지장암) · 식도암 · 신장암(윌름즈 종양) · 심장암(심방점액종) | |||||
ㅇ | 악성중피종2 · 안암(망막아종) · 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유방암 · 음경암 | |||||
ㅈ | 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질암 | |||||
ㅊ | 췌장암 · 척추암 | |||||
ㅋ | 카포시육종 | |||||
ㅍ | 폐암 · 피부암 | |||||
ㅎ | 혈액암(다발성 골수종 · 림프종 · 백혈병 · 진성적혈구증가증) · 횡문근육종 | |||||
진행에 따른 종류(고형암) | ||||||
0기 | 암세포가 상피층에만 국한되어 있음(상피내암) | |||||
1기 | 암이 원발 부위에 국한됨 | |||||
2기 | 암이 크기가 커지거나, 주변 조직에 부분 침윤 또는 국소 림프절 전이 | |||||
3기 | 암이 주변 림프절에 전이되거나 주변 조직 깊이 침범 | |||||
4기 | 암이 다른 장기로 퍼짐(원격 전이) | |||||
말기 | 4기암 중에서도 항암 치료에 반응이 없는 상태 | |||||
| }}}}}}}}} |
진료과 | 소아과 |
橫紋筋肉腫 / rhabdomyosarcoma
근육이나 연부조직, 혹은 인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종양을 의미한다. 신체 내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는 종양으로, 이에 따라 증상이 판이하기 때문에 진단이 제법 어렵다고 한다.
횡문근육종이 발생할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다.
- 두부 및 목(head and neck) - 약 40%가 이곳에서 발생한다. 코피(epistaxis) 및 종괴촉진 등이 보여진다.
- 생식기 기관(GU tract) - 약 20%의 경우. 혈뇨(hematuria)가 보이기도 한다.
- 사지(extremities) - 약 20%의 경우
- 몸통(trunk) - 10%의 경우
- 후복막 및 그 외 - 나머지 10%의 경우.
특히 신경섬유종증(neurofibromatosis)과 관련 깊은 질병이다.
횡문근육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배아성(embryonal) - 약 60% 이상의 횡문근육종 원인이 되는 종류.
- 포도상구상체(Botryoid) - 말 그대로 포도같이 생긴 종양이 특히 소아기 환자의 질(vagina)이나 자궁(uterus), 방광 및 비인두(nasopharynx)에서 발견된다. 위의 사진도 이 종류의 횡문근육종이다.
- 포상성(alveolar) - 약 15%의 원인이 되는 종류. 대부분 몸통 및 사지에서 발견되는 종류로, 예후가 가장 나쁘다고 한다.
증상은 대부분 종괴(mass)의 발견 및 촉진이 주를 이루며, 그 주위의 조직세포가 종괴로 인해 변이하거나 파괴되기도 한다. 특히 폐나 뼈로 쉽게 전이하기 때문에 빨리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은 관련부위의 생검(biopsy) 및 CT와 MRI를 시행하거나 초음파검사(US)를 이용하며, 그 외 뼈스캔을 통해 전이를 확인하기도 한다.
치료는 관련종양을 외과적 시술로 절제한 후 항암제 및 방사선치료를 병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