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종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 |||
<colbgcolor=#f5f5f5,#555555><colcolor=#000,#fff> ㄱ | 간암 · 갈색세포종 · 갑상샘암 · 고환암 · 골육종 · 교모세포종 · 구강암 · 구순암 · 기형종 | |||
ㄴ | 난소암 · 뇌간 교종 · 뇌종양 · 뇌하수체 종양 | |||
ㄷ | 다발성 골수종 · 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 · 두경부암 | |||
ㄹ | 림프종 | |||
ㅁ | 망막아종 · 메켈세포암종 | |||
ㅂ | 방광암 · 백혈병 · 복막암 · 부신암 · 비강암 · 비암 · 비장암 | |||
ㅅ | 설암 · 성상세포종 · 소장암 · 식도암 · 신경교종 · 신생물 딸림증후군 · 신장암 · 심방점액종 · 심장암 · 십이지장암 | |||
ㅇ | 악성중피종 · 안암 · 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윌름즈 종양 · 유방암 · 음경암 · 인두암 | |||
ㅈ | 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직장암 · 진성적혈구증가증 · 질암 | |||
ㅊ | 췌장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 |||
ㅋ | 카포시육종 | |||
ㅍ | 편도암 · 폐암 · 피부암 | |||
ㅎ | 항문암 · 혈액암 · 횡문근육종 · 후두암 | |||
진행에 따른 종류 | ||||
1기(초기) | 2기(중기) | 3기(후기) | 4기(말기) |
1. 개요
腦腫瘍 / brain stem glioma뇌간 교종은 뇌간에 생기는 모든 신경교종을 이르는 말이다. 모든 연령대에서 생길 수 있지만 특히 소아에서 많이 생기는 천막하 종양이다.
전체 소아청소년 뇌종양에서 10%~ 20%를 차지한다. 뇌간은 건들면 즉사하기에 수술이 불가능한 위치이므로 그 예후가 매우 불량하다.
2. 상세
뇌간 신경교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 (pliocytic astrocytoma)
- 미만성 성상세포종 (fibrillary/diffuse astrocytoma)
- 역형성 (미분화) 성상세포종 (anaplastic astrocytoma)
3. 유형
유형은 크게 미만형과 국소형으로 나눌 수 있다.< 미만형 뇌간 교종 >
대부분 뇌교에 발생하며, 전체 뇌간 교종의 75%를 차지한다. 성상세포종 (양성), 미만형 성상세포종 (악성), 역형성 성상세포종 (미분화암),
다형성 교모세포종이 발생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증상은 다른 뇌종양과 다르게 초기 증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한다.
• 복시 및 안진
• 구안와사[2] 및 편마비
•연하장애 및 구음장애
위 증상이 나타난지 2개월~ 6개월 후[3] 종양이 커지 제4뇌실을 압박하며 두개 내 뇌압이 상승하고 이 때 극심한 두통과 구토가 발생한다.
병이 진행되면 호흡이 약화되고, 불규칙해지며, 의식장애가 나타난다. 또 연하곤란, 혀 마비 등이 나타난다. 그래서 사망원인은 대부분 뇌간 교종에 의한 폐렴이다.
대부분 뇌교에 발생하며, 전체 뇌간 교종의 75%를 차지한다. 성상세포종 (양성), 미만형 성상세포종 (악성), 역형성 성상세포종 (미분화암),
다형성 교모세포종이 발생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증상은 다른 뇌종양과 다르게 초기 증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한다.
• 복시 및 안진
• 구안와사[2] 및 편마비
•연하장애 및 구음장애
위 증상이 나타난지 2개월~ 6개월 후[3] 종양이 커지 제4뇌실을 압박하며 두개 내 뇌압이 상승하고 이 때 극심한 두통과 구토가 발생한다.
병이 진행되면 호흡이 약화되고, 불규칙해지며, 의식장애가 나타난다. 또 연하곤란, 혀 마비 등이 나타난다. 그래서 사망원인은 대부분 뇌간 교종에 의한 폐렴이다.
< 국소형 뇌간 교종 >
미만형과 다르게 연수와 중뇌에 많이 발생하며, 전체 뇌교종에 25%를 차지한다. 이를 일으키는 종양의 종류는 성상세포종 (양성)이다.
증상은 위 미만형 뇌간 교종과 같고, 진행속도는 미만형보다 확연히 느리다.
미만형과 다르게 연수와 중뇌에 많이 발생하며, 전체 뇌교종에 25%를 차지한다. 이를 일으키는 종양의 종류는 성상세포종 (양성)이다.
증상은 위 미만형 뇌간 교종과 같고, 진행속도는 미만형보다 확연히 느리다.
4. 치료
< 외과적 치료 >- 미만형 뇌간 교종은 대부분 수술적 치료는 불가능하고, 국소형 뇌간 교종은 수술적 치료로 관해가 가능하다. 미만형 뇌간 교종은 뇌간 자체가 종양으로 변하므로, 부분적 절제는 오히려 신경학적 결손만 악화시키고,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 방사선치료가 표준 치료법이고, 필요에 따라 감마나이프[4] 를 시행한다.
< 항암 치료 >
-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지만, 교모세포종 등 악성 신경교종을 치료할 때와 같은 항암제를 사용한다.
5. 예후
미만형 뇌간 교종의 경우는 예후가 매우 불량하여 7개월~ 15개월 정도이다.[5] 국소형 뇌간 교종은 수술적 치료가 가능해 5년 생존율이 70%에 달한다.6. 뇌간 교종으로 사망한 유명 인물
- 전민우 - 중국 연변에서 열린 음악 자랑에서 싸이의 노래를 부르며 '리틀싸이'로 불렸고, 2016년 2월 9일 0시 뇌간 교종으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1] 불량한 다른 뇌종양들은 수술 장면만 봐도 얼마나 악독한 암인지가 느껴지는 반면, 훨씬 덜 악성인 뇌종양들은 수술 장면이 마치 무를 뽑는 것 같은 시원함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그나마 덜 악성인 종양들도 언제든지 미분화 암으로 악화될 수 있기에 절대 무시할 수 없다.[2] 안면마비[3] 이때는 뇌간 자체가 종양으로 변해버린 경우가 많다.[4] 방사선 수술[5] 이론상 그렇지 더 오래 생존하는 사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