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지정유산 | |||||||||||||||||||||||||||||||||||||||||||||||||||||||||||||||
| 국보 | 보물 | 사적 | 명승 | |||||||||||||||||||||||||||||||||||||||||||||||||||||||||||||
| 천연기념물 | 국가무형유산 | 국가민속문화유산 | ||||||||||||||||||||||||||||||||||||||||||||||||||||||||||||||
| 시도지정유산 | ||||||||||||||||||||||||||||||||||||||||||||||||||||||||||||||||
| 시도유형문화유산 | 시도기념물 | 시도자연유산 | 시도무형유산 | 시도민속문화유산 | ||||||||||||||||||||||||||||||||||||||||||||||||||||||||||||
| 시도문화유산자료 | 시도자연유산자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타 | |||||||||||||||||||||||||||||||||||||||||||||||||||||||||||||
| 국가등록문화유산 | 시도등록문화유산 | |||||||||||||||||||||||||||||||||||||||||||||||||||||||||||||||
| 이북5도 무형유산 | 향토유산 | 비지정유산 | ||||||||||||||||||||||||||||||||||||||||||||||||||||||||||||||
| 지정해제된 대한민국의 국가유산 | }}}}}}}}} | |||||||||||||||||||||||||||||||||||||||||||||||||||||||||||||||
1. 개요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70조(시·도지정유산의 지정 등)
② 시ㆍ도지사는 그 관할구역에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유산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ㆍ도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다.
국가에서 지정한게 아닌 각 시와 도에서 지정한 문화유산자료로, 유형유산 중 국가지정유산이나 시도유형문화유산, 시도기념물 등에 잠재적으로 승격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것을 대상으로 지정된다.② 시ㆍ도지사는 그 관할구역에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유산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ㆍ도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다.
==# 둘러보기 틀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ae1932><tablebgcolor=#ae1932>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옥인동 박노수 가옥
1.#26 안양암 천오백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83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 진관동 석 아미타불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E5007F>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반송 삼절사
1.#26 범어사바라
[1]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2]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153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교린수지
1.#76 백련사 고려사 [3]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4]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02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16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8837>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향교대성전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5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79c1>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9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욕은지
[1]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4호로 승격[2]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4호로 승격[3]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52호로 승격[4]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5]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ef4123>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증심사16-1. 이력서 16-1. 간찰 16-1. 상서(김한의족려) 16-1. 통문(김문기충절) 16-1. 김봉선시권 16-1. 고품초 16-1. 김택순교첩 16-1. 숙부인정씨고신칙명 16-1. 김봉선고신칙명 16-1. 김봉선백패교지 16-1. 대한제국기념장증서(대황제폐하즉위기념장) 16-1. 서적 16-1. 고문서 16-1. 김택순고신칙명 16-1. 통문(김한의효행) 16-2. 인장 16-2. 호패 16-2. 대례모 16-2. 패도 16-2. 대례복상의 16-2. 유품}}}
[1] 광주광역시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ae4d>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삼매당
1.#26 태실(석함)
[1]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2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권시의 묘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8c95>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4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이휴정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a0c6>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금남 문절사
[1]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23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4097><tablebgcolor=#004097>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수원향교 1.#26 죽산향교
[1]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7호로 재지정[2]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8호로 재지정[3]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9호로 재지정[4] 보물 제1942호로 승격[5]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제194호로 승격[6] 사적 제403호로 승격[7]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0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안성도기동삼층석탑
[8]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1호로 재지정[9] 경기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 그러나 2025년 10월 기준으로 아직 문화유산자료에서 지정해제 처리되지 않음.[10]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2호로 재지정[11] 인천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3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126 가평현등사독성도 [12] 소재지 이전(서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9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화성 용주사 목조불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D50037>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소양정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홍천철비
1.#76
[7] 사적 제446호로 승격[8]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정선향교
1.#126 태백 본적사지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76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속초 신흥사 칠성도
1.#176 평창 오대산 중대 소종 [미상] 해당 문화유산자료에 대한 정보 불명[13]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80호로 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724598>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진천 신헌 고가
1.#26 청주 것대산 봉수
[1] 보물로 승격[2]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10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98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옥천 죽향리사지 삼층석탑
1.#76 충주 수회록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8c8c7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수심대
[미상] 해당 문화유산자료에 대한 정보 불명[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9] 충청남도 기념물 제110호로 승격[10] 충청남도 기념물 제121호로 승격[11] 충청남도 기념물 제122호로 승격[12]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17호로 승격[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미상] [22] 충청남도 기념물 123호로 승격[23]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1호로 지정변경[24]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2호로 지정변경[25]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3호로 지정변경[26]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4호로 지정변경[27] 충청남도 기념물 제124호로 승격[28] 대전국립묘지로 이장[29]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5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영은사 대웅전
1.#76 행림서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영일루
1.#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정혜사
1.#176 장복리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남문리오층석탑
1.#226
[63]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64] 충청남도 기념물 제140호로 승격[65] 충청남도 기념물 제141호로 승격[66] 충청남도 기념물 제52호로 승격[67] 충청남도 기념물 제52호로 승격[68] 충청남도 기념물 제52호로 승격[69] 충청남도 기념물 제82호로 승격[70] 충청남도 기념물 제115호로 승격[71] 충청남도 기념물 제114호로 승격[72] 충청남도 기념물 제113호로 승격[73]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41호로 승격[74] 충청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75] 충청남도 기념물 제67호로 승격[76] 충청남도 기념물 제109호로 승격[77] 충청남도 기념물 제10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1.#276 논산수락리마애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귀암사
1.#326 탑선리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신임일기
1.#376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
[107]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9호로 지정변경[108]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제253호로 승격[109] 충청남도 기념물 제193호로 승격[110]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제254호로 승격[111]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유산자료 제11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2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24694>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임실향교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창주서원
1.#76 남고서원
[18]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28호로 승격[미상] 해당 문화유산자료에 대한 정보 불명[미상] [21]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5호로 승격[22]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42호로 승격[23]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4호로 승격[24]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18호로 승격[25]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15호로 승격[26]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17호로 승격[27]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제116호로 승격[미상] [미상] [미상] [미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1.#126 상원사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9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극락암목조여래좌상 1.#176 [37]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41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cd00,#ffcd0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1]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호로 지정변경[2]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호로 지정변경[3]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3호로 지정변경[4]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4호로 지정변경[5]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5호로 지정변경[6]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3호로 승격[7]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4호로 승격[8] 전라남도 기념물 제99호로 승격[9] 전라남도 기념물로 승격[10]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9호로 승격[11]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12]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10호로 승격[13] 명승 제111호로 승격[14] 사적 및 명승 제7호로 승격[15] 명승으로 승격[16] 사적 및 명승 제8호로 승격[17] 사적 및 명승 제8호로 승격[18] 보물 제804호로 승격[19]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70호로 승격[20]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12호로 승격[21] 전라남도 기념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창촌리석불입상
1.#76 무위사삼층석탑
[22]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8호로 승격[23]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41호로 승격[24]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40호로 승격[25] 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로 승격[26]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11호로 승격[27]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7호로 승격[28]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9호로 승격[미상] 해당 문화유산자료에 대한 정보 불명[30] 사적 및 명승 제9호로 승격[31]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7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원리오층석탑
1.#126 영암향교
[32]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31호로 승격[33]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05호로 승격[34] 전라남도 기념물 제198호로 승격[35]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 제120호로 승격[미상] 해당 문화유산자료에 대한 정보 불명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1.#176 함평척화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영광임진수성록
1.#226 영암금지리본촌고분군 [43] 전라남도 기념물 제244호로 승격[44]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95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함평이건풍가옥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71bb>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연일향교대성전
1.#26
[1] 경상북도 기념물 제164호로 승격[2]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4호로 승격[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6호로 승격[4]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7호로 지정변경[5]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8호로 지정변경[6]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7]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0호로 승격[8] 경상북도 기념물 제175호로 승격[9]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213호로 승격[1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5호로 승격[11]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7호로 승격[1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8호로 승격[1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05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수남위종택
1.#76 여남강당
[14] 경상북도 기념물 제170호로 승격[15]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4호로 승격[16]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09호로 승격[17]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1호로 승격[18]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9호로 승격[19]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1호로 승격[20]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2호로 승격[21]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243호로 승격[2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3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유후재및옥비
1.#126 상주 신봉리 석조보살입상
[2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9호로 승격[24]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4호로 승격[25] 보물 제1575호로 승격[26]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5호로 승격[27]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5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청간당
1.#176 운곡서당
[28]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0호로 승격[29]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6호로 승격[3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6호로 승격[31]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5호로 승격[32]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5호로 승격[3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53호로 승격[34]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82호로 승격[35]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183호로 승격[36]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37]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38]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1호로 승격[39]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1호로 승격[4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7호로 승격[41]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8호로 승격[4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9호로 승격[43]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0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봉강재
1.#226 조령산불됴심표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239-1.
[44]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3호로 승격[45]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8호로 승격[46] 대웅전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20호로 승격. 범종각은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563호로 분리지정[47]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8호로 승격[48]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49]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50]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51]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52]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9호로 지정변경[5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1호로 승격[54]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3호로 승격[55]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3호로 승격[56]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57] 사적 제533호로 승격[58]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59] 경상북도 기념물 제176호로 승격[60]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30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기림사진남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275-1. 1.#276
293-3. 우헌정 293-4. 관리사}}}
[61]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3호로 승격[6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9호로 승격[6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50호로 승격[64]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2호로 승격[65]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3호로 승격[66]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4호로 승격[67]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5호로 승격[68]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9호로 승격[69]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8호로 승격[70]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7호로 승격[71]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31호로 지정변경[72]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32호로 지정변경[73]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2호로 승격[74]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0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경주기림사소장유물
1.#326
[75]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84호로 승격[76]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6호로 승격[77] 보물로 승격[78]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3호로 승격[79]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0호로 승격[8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6호로 승격[81]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2호로 승격[8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9호로 승격[83]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2호로 승격[84]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85]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48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예천승본동석불입상
1.#376 의성소계당
[86]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77호로 승격[87]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44호로 승격[88]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4호로 승격[89]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38호로 승격[90]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51호로 승격[91]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30호로 승격[92]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61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불굴사석조입불상 1.#4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만취당
1.#476 단운재사
[97]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제190호로 승격[98] 경상북도 기념물 제181호로 승격[99]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40호로 승격[100] 보물로 승격[101]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78호로 승격[102]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462호로 승격[103] 경상북도 기념물 제165호로 승격[104]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71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1.#526 영덕 초수재사
[105]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 제507호로 승격[106]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107] 보물 제1637호로 승격[108]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변경[109]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51 영덕 만송당
1.#576 영덕 시암고택
[110]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111] 보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601 경주남산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동삼층석탑 1.#626 의성 대곡사 적조암 구포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69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651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15a38>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25-3. 신초 초상}}} 1.#26 밀양 아랑각
[1] 경상남도 기념물 제125호로 승격[2]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667호로 승격[3]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666호로 승격[4]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1호로 재지정[5]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호로 재지정[6] 경상남도 기념물 제99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산청 배산서원 1.#76 함양 교수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합천 광암정
1.#126 거창 김숙자 사당 [10]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3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남해 용문사 명부전
1.#176 [11]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4호로 재지정[12] 행정구역 개편(부산광역시)으로 지정해제[13]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14] 보물 1700호로 승격[15]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옥전서원
1.#226 창원 제말 묘
[16]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17]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18]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19]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5호로 재지정[20]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6호로 재지정[21]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거창 원천정 1.#276 양산 증산리 왜성
[22] 경상남도 미소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양산 통도사 동치3년명 신중도
312-4. 양산 통도사 광서무인명 아미타후불탱}}}
1.#326 함양 용추사 무학대사 영정 {{{-2 326-2. 함양 용추사 청허대사 영정 326-3. 함양 용추사 송운대사 영정326-4. 함양 용추사 각연대사 영정}}}
[23]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543호로 승격[24]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533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남해용문사소장문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진주 운수당
412-3. 남해 용문사 삼화상 진영 412-4. 남해 용문사 팔화상 진영 412-5. 남해 용문사 칠화상 진영 412-6. 남해 용문사 경암당 진영}}} 1.#426 송계실기 목판 [25]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제527호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거제혜양사완호작불화일괄 1.#476 밀양 미리벌민속박물관 창녕성씨 고문서
[26]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27]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의령 남군보 묘표
525-3. 분재기 525-4. 노비매매 관련 점련문건 525-5. 명문류 525-6. 만동묘 관련 문헌 525-7. 인도공의소 관련서류 525-8. 철책류 525-9. 간암일기 525-10. 중수구동안 525-11. 고조고학생공실기 525-12. 시도기류}}} 1.#526 밀양 명례성당
[28] 경상남도 자연유산자료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51 진주 박세항 묘
564-3. 박도원 농은집 목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601 창원 대광사 묘법연화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676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651 의령 탐진안씨 문중 정려각 1.#676 창녕 성사제 망제단 비석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939499>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2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