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21:34:51

계룡산 초혼각지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8c8c70>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봉산동의향나무[2]}}}
  1. 홍산만덕교비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홍주의사총[3]}}}
  1. 성삼문선생유허지
  2. 숭선군묘
  3. 공주신관리석실고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계족산성[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령오천성[5]}}}
  1. 남포읍성
  2. 안흥성
  3. 충곡서원지
  4. 김옥균선생유허
    13-1. 김옥균선생유허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내동리지석묘[6]}}}
  1. 영규대사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김종서장군묘[7]}}}
  1. 이광윤묘
  2. 계룡산초혼각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문사지[8]}}}
  1. 노성궐리사
  2. 아산공세곶고지
  3. 창렬사
  4. 공주귀산리만경노씨삼의사생가지
  5. 김정희선생유적
  6. 전득우묘
1.#26 전견훤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갈산리곰솔[A]}}}
  1. 홍성지석묘
  2. 최익현선생묘
  3. 예산산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금강사지[10]}}}
  1. 호암사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왕흥사지[11]}}}
  1. 임강사지
  2. 공주남혈사지
  3. 공주수원사지
  4. 공주서혈사지
  5. 공주주미사지
  6. 공주구룡사지
  7. 부여산직리지석묘
  8. 부여쌍북리북요지
  9. 공주공산성연지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전백제왕궁지[12]}}}
  1. 개태사지
  2. 부여태양리백제석실고분
  3. 충현서원유적
  4. 김장생선생묘소일원
  5. 용정리사지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천정대[A]}}}
  1. 동남리사지

[1]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호로 지정변경[2] 천연기념물 제321호로 승격[3] 사적 제431호로 승격[4]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2호로 지정변경[5] 사적 제501호로 승격[6]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변경[7]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2호로 지정변경[8]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변경[A] 2024년 10월 21일에 충청남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충청남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10] 사적 제431호로 승격[11] 사적 제431호로 승격[12] 사적 제431호로 승격[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고간원지
  1. 남이흥장군묘일원
  2. 동남리전천왕사지
  3. 부여중정리백제건물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노성산성[14]}}}
  1. 황산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김익희의묘[15]}}}
  1.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구성리산성[1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월평동산성[1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질현성[1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우술성[19]}}}
  1. 서산둔당리지석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태안내파수도[2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문산성[21]}}}
  1. 예산호서은행본점
  2. 배방산성
  3. 정순왕후생가
  4. 신자경선생묘
  5. 당진 합덕제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백로서식지[22]}}}
  1. 이동녕선생생가지
  2. 김좌진장군묘
  3. 계백장군유적전승지
  4. 한용운선생생가지
1.#76 김좌진장군생가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이성[2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금이성[2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운주산성[25]}}}
  1. 남연군의묘
  2. 우산성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면천은행나무[26]}}}
  1. 금산 백령성
  2. 이상재선생생가지
  3. 이종일선생 생가지
  4. 부여용정리소룡골백제건물지
  5. 부여지선리고분군
  6. 부여구아리백제유적
  7. 이색선생묘일원
  8. 도응선생묘일원
  9. 당진면천읍성
  10. 논산황화산성
  11. 태안소근진성
  12. 논산표정리고분군
  13. 논산육곡리고분군
  14. 서천남산성
  15. 서천장암진성
  16. 부여보광사지
  17. 공주옥녀봉성
  18. 청양도림사지

[14] 사적 제431호로 승격[15]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변경[16]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변경[17]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변경[18]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변경[19]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9호로 지정변경[20] 천연기념물 제511호로 승격[21]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변경[22]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3호로 지정변경[23]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변경[24]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5호로 지정변경[25]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1호로 지정변경[26] 천연기념물 제55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홍대용선생묘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여능안골고분군[27]}}}
  1. 이응로선생사적지
  2. 직산사산성
  3. 천안세성산성
  4. 천안백석동선사유적및백제토성
  5. 당진필경사
  6. 목천향교
  7. 직산향교
  8. 천안향교
  9. 남포향교
  10. 보령향교
  11. 신창향교
  12. 아산향교
  13. 온양향교
  14. 서산향교
  15. 해미향교
  16. 노성향교
  17. 연산향교
  18. 은진향교
  19. 금산향교
  20. 진산향교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향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전의향교[29]}}}
  1. 부여향교
1.#126 석성향교
  1. 임천향교
  2. 홍산향교
  3. 비인향교
  4. 서천향교
  5. 한산향교
  6. 정산향교
  7. 청양향교
  8. 결성향교
  9. 홍주향교
  10. 대흥향교
  11. 덕산향교
  12. 예산향교
  13. 태안향교
  14. 당진향교
  15. 면천향교
  16. 공주중동성당
  17. 부여금사리성당
  18. 아산공세리성당
  19. 당진합덕성당
  2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김대건신부생가지[3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공주정지산백제유적[31]}}}
  1. 천안성거산위례성
  2. 홍성신금성
  3. 예산가야사지

[27] 사적 제420호로 승격[28]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변경[29]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변경[30] 사적 제529호로 승격[31] 사적 제474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197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김정희선생필적암각문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동은행나무[A]}}}
  1. 은산당산성
  2. 금산 이치대첩지
  3. 예산효교리매향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태안흥주사은행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양화리은행나무[3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여수신리반송[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령장현리귀학송[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예산대흥향교은행나무[A]}}}
  1. 부여부소산성서복사지
  2. 당진성상리산성
  3. 당진안국사지매향암각
  4. 예산성당
  5. 홍성 결성읍성
  6. 천안 김시민장군 유허지
  7. 금산 양지리 팽나무연리목
  8. 공주금학동고분군
  9. 서산휴암리선사유적지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산송곡사향나무[3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홍성오관리느티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산해미읍성회화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산향교은행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산여미리비자나무[A]}}}
  1. 천안 성거산 천주교 교우촌터
1.#176 당진신리다블뤼주교유적지
  1. 예산여사울이존창생가터
  2. 공주 황새바위 천주교순교유적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령 산수동 소나무[A]}}}
  1. 서천당정리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연기 박안생의 묘[44]}}}
  1. 부여 정흥인의 묘
  2. 공주 이귀의 묘
  3. 예산 이산해의 묘
  4. 당진 이의무의 묘 및 신도비
  5. 공주 단지리 고분군
  6. 부여 염창리고분군
  7. 보령 갈매못 천주교 순교지
  8. 아산 전윤장묘
  9. 계룡 사계고택
  10. 보령 원홍주 등 6군상무사 임소
  11. 공주 마곡사
  1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보령 학성리 공룡발자국화석[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여 홍산객사 은행나무[A]}}}
  1. 태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부여 저동리 쌀바위[A]}}}
  1. 홍성 석택리 유적

[A] 2024년 10월 21일에 충청남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충청남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A] [34]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변경[A] [A] [A] [38] 천연기념물 제553호로 승격[A] [A] [A] [A] [A] [44]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6호로 지정변경[A] [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청양 봉암리 은행나무[A]}}}

[A] 2024년 10월 21일에 충청남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충청남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
}}}}}}}}}}}}

파일:계룡산 동학사 초혼각지.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18호

1. 개요

鷄龍山 招魂閣址. 조선 세조 4년인 1458년에 당시 국왕의 명으로 단종과 그를 받들던 충신, 열사들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 동학사 내에 만든 제각. 현재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파일:숙모전.jpg

1458년에 세조의 명으로 단종과 그의 충신들의 혼을 모시도록 한 곳이다.

1456년(세조 2)에 매월당 김시습(金時習)의 주도로 조상치, 송간, 조여, 정지산, 이성희, 이축[1]과 엄홍도[2]가 이곳에 단종의 제단을 마련하고 초혼제(招魂祭)를 올렸다. 이후 1458년(세조 4)에 이 사실을 알게 된 세조가 이 곳을 찾아와 단종을 비롯하여 안평대군, 황보인, 김종서, 정분 등 당시 자신에 의해 죽음을 당한 280여 위패를 비단에 싸 직접 만들어 모신 후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하여 지금의 건물들을 세웠다.

이후 1466년(세조 12)에 왕의 허락 하에 김시습이 다시 한번 증축하였고 이후 매년 봄, 가을마다 국가의 공식 정례로서 혼령을 위로하는 초혼제를 올렸던 곳이다. 1728년(영조 4)에 화재를 겪기도 하였다.

사찰 기록에 따르면 세조는 이 제각을 만든 후 큰아버지 양녕대군에게 "괜히 맘 약해서 이런 거 만든다"고 개 까였다.

현재는 숙모전이란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3. 외부 링크

4. 충청남도 시도기념물 제18호

세조(재위 1455∼1468)가 단종을 폐위할 때 뜻을 굽히지 않고 절의를 지켜 죽어간 사육신 이하 여러 충신들의 혼을 모셨던 곳이다.

세조가 왕위를 차지하는 과정에서 황보인, 김종서는 수양대군에게 살해당하였고, 왕위를 찬탈한 다음해인 세조 2년(1456)에는 성삼문을 비롯한 사육신이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모두 참형 당했다.

같은 해 생육신인 매월당 김시습이 이곳 계룡산에 와서 제단을 마련하고 이들을 위해 초혼제를 지내어 영혼들을 위로하였다고 전해진다. 그후 세조 4년(1458) 조정에서는 단종을 비롯하여 안평대군, 황보인, 김종서 등 당시 죽음을 당한 280여 위패를 모시고 영혼을 위로하기 위한 초혼각을 세웠다고 한다.

세조 12년(1466)에 김시습 등이 건물을 더 짓고 매년 봄, 가을로 제사를 지내오다가, 영조 4년(1728) 화재로 타버린 것을 고종 원년(1863)에 만화스님이 지금의 모습으로 다시 세웠다고 한다. 1904년 숙모전이라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여기까지 단묘초혼칠현신[2] 팔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