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8 02:29:11

모기기피제


<colkeepall> 💄 화장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colbgcolor=#BD4247><colcolor=#fff> 클렌징 비누 · 손 세정제 · 코팩 · 클렌징 오일 · 클렌징 워터 · 클렌징 티슈 · 클렌징폼
기초 로션 · 미백 크림 · 미스트 · · 보습제 · 아이 크림 · 에센스 · 자외선 차단제 · · · 화장수
바디 남성청결제 · 데오드란트 · 바디로션 · 바디워시 · 발 세정제 · 여성청결제 · 향수
헤어 두피팩 · 린스(컨디셔너) · 샴푸 · 염색약 · 왁스 · 컬링 에센스 · 트리트먼트 · 패스트샴푸 · 포마드 · 헤어매니큐어 · 헤어스프레이 · 헤어에센스 · 헤어토닉
페이스 BB · CC · 메이크업 베이스 · 미백 크림 · 블러셔 · 셰이딩 · 컨실러 · 콤팩트 · 쿠션 · 트윈케익 · 틴티드 모이스처라이저 · 파우더 · 파운데이션 · 프라이머 · 하이라이터
아이 마스카라 · 뷰러 · 속눈썹 · 아이라이너 · 아이브로우 · 아이섀도
립글로스 · 립밤 · 립스틱 · 틴트
기타 기능성 화장품 · 마사지크림 · 매니큐어 · 페디큐어 · 면도크림 · 모기기피제 · 손 소독제 · 애프터쉐이브 · 올인원 화장품 · 입욕제 · 제모크림 · 핸드크림/풋크림 · 기름종이 }}}}}}}}}

1. 개요2. 종류
2.1. 모기향2.2. 스프레이형2.3. 스티커형2.4. 그 외


mosquito repellent

1. 개요

모기가 물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화장품.

일반적으로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 많이 사용하다 보니 모기기피제로 많이 부르고, 진드기 등 다른 벌레에게도 효과가 있는 제품은 벌레 기피제라고 한다.

가능한 한 이것만 믿지 말고 긴소매 옷 등을 활용하는 게 좋다. 땀에 씻겨가기도 하고, 독한 모기들은 바른 곳 바로 옆의 안 발라진 곳도 노린다.

군대에서도 많이 뿌리거나 바르지만, 매복 등의 상황에서는 냄새 따위로 적병에게 들킬 확률을 압도적으로 높이므로 강도 높은 훈련 또는 실전상황 시 있어도 바르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기 십상이다.

2. 종류

2.1. 모기향

모기향 참고.

2.2. 스프레이형

미국 CDC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의 추천 성분은 다음과 같다.
  • 디에칠톨루아미드(Diethyl Toluamide, DEET)
  • 이카리딘 혹은 피카리딘 (icaridin, picaridin)
  • 파라 멘탄 디올 (para-menthane-diol, PMD)
  • ethyl butylacetylaminopropionate and 2-undecanone

흔히 DEET나 이카리딘(icaridin) 성분을 함유한 기피제가 가장 많이 팔린다.

기피제를 피부 또는 옷 위에 뿌리면 모기가 싫어하는 냄새가 나는 증기를 발생시켜 모기나 진드기를 쫓아내는 원리이다.#

주로 모기를 잡기 힘든 야외에서 많이 사용한다.효과는 완전히 안물리는 건 아니고 비교적 덜 물리는 수준이다.

상처 부위에 뿌리면 피부 염증을 일으킬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하며, 자외선 차단제가 DEET 성분의 기피제를 피부에 더 흡수시킨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우선 선크림을 30분 전에 먼저 발라 흡수시키고 나중에 기피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정향유, 시트로넬라 오일, 콩기름, 유칼립투스 오일, 티트리 오일 등 천연 성분으로 만든 기피제도 있으나 DEET에 비해 위력과 지속시간이 떨어진다는 말이 있다.#

2.3. 스티커형

말 그대로 모기기피제 성분이 들어간 스티커. 주로 어린이용 제품이 많다. 효과는 스프레이형보다는 조금 떨어지는 편.

2.4. 그 외

모기 기피제 성분이 들어간 모기밴드 또는 팔찌도 있으나 역시 기피제보다 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