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 | 마이크 트라웃 Mike Trout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아마추어 | ||
프로 데뷔 이전 | |||
프로 |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 | ||
<rowcolor=#FFFFFF>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국가대표 | |||
|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United States National Baseball Team | ||
<rowcolor=#FFFFFF> 2023 WBC | |||
기타 | |||
<rowcolor=#000> 플레이 스타일 • 인기 • 여담 • 평가 • 페이스 • 트라웃의 생각 • vs 하퍼 |
1. 개요
미국 국적의 외야수 마이크 트라웃의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시절을 모아 놓은 문서.2.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트라웃은 관찰자들로부터 다음을 포함한 격찬을 받았다. "트라웃은 미키 맨틀과 같은 올타임 레전드들과의 비교를 스카우트들로부터 이끌어냈다."
ㅡ 베이스볼 다이제스트의 2012 시즌 프리뷰 #
ㅡ 베이스볼 다이제스트의 2012 시즌 프리뷰 #
2.1. 2009 시즌
17세인 트라웃은 7월 5일부터 8월 29일까지 루키 리그에 속한 애리조나 리그의 AZL 에인절스 소속으로 39경기에 출전하였다.# 타율 .360, 출루율 .418, 장타율 .506, OPS .925, wRC+ 151이라는 정교한 타격과 뛰어난 출루율, 장타율을 선보이며 프로 세계에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기 시작했다. OPS .925는 애리조나 루키 리그 20세 이하 선수 중에서 가장 높은 성적이다.#9월 2일부터 9월 6일까지 싱글A에 속한 미드웨스트 리그의 시더 래피즈 소속으로 5경기에 출전하였다.# 성적은 타율 .267, 출루율 .421, 장타율 .267, OPS .688, wRC+ 115를 기록했다.
위와 같은 뛰어난 성적에 따라 ESPN은 트라웃을 2010년 1월에 에인절스 최고의 유망주인 전체 49위로 발표하였다. 그러면서도 시즌이 오늘 끝났다면 전체 25위 이상의 평가를 받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2월 말에는 베이스볼 아메리카(BA)가 선정한 유망주 순위에서 전체 85위에 위치하며, 팀내에선 행크 콩거(84위)와 피터 보저스(97위) 사이에 위치한 2위 유망주에 올랐다.#
2.2. 2010 시즌
첫 풀타임 시즌을 보냈다.3월 12일 팬그래프의 마르크 훌렛은 트라웃을 전체 81위 유망주로 평가했다.#
4월 8일부터[1] 7월 9일까지 싱글A에 속한 미드웨스트 리그의 시더 래피즈 소속으로 81경기에 출전하였다.# 성적은 타율 .362, 출루율 .454, 장타율 .526, OPS .979, wRC+ 172를 기록했다. 타율과 출루율 1위를 기록한 트라웃은 똑같은 리그와 팀에서 겨우 7개월만에 타율을 1할, OPS를 2할 끌어올리는 엄청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한창 미드웨스트 리그를 폭격하던 트라웃은 5월 인터뷰에서 수준에 맞지 않으니, 상위 리그로 가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나는 그런 것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는다. 올라갈 때가 되면, 올라가는 것이다. 확실하게, 나는 빅리그에 최대한 빨리 도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just go from there."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시더 래피즈 감독인 빌 모지엘로는 트라웃이 21 혹은 22살이라면 빅리그에 일찍 올릴 수도 있겠지만, 이제 18살인데 서두를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코치인 델 치아로도 빅리그에 바로 올릴 수 있는 실력임을 확신하지만, 서두를 이유가 없고 첫 풀시즌을 치르는 것이 그에게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다.#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미드웨스트 리그 Top 20 유망주에서 1위를 차지한 트라웃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자.
미드웨스트 리그를 지켜본 스카우트들은 트라웃이 못하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10대 선수로서는 인내심이 정말 좋은 편인 트라웃은 우타석에서 짧은 스트로크(타법)로 몸쪽 공을 잘 끌어들여 쳐내고 있다. 그는 라인드라이브 타구를 더 만들어 내고 카운트 초반 좀더 공격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매시즌 20~30홈런을 기록할 수 있는 근력을 갖고 있다. 그는 20-80 스카우트 스케일에서 80점짜리 스피드로 평범한 땅볼을 때려도 수비진에게 위협을 줄 수 있는 선수이다. 또한 트라웃은 첫 스타트와 중견수 수비에 있어 본능적으로 타고난 선수이다. 그의 어깨는 그가 가진 툴 중에서는 최악이지만, 그것 또한 평균에 가까운 수준은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그는 리더십 스킬과 강한 워크에씩 또한 보유하고 있다.[BA] MWL Top 20 유망주
6월 29일 ESPN의 키스 로(Keith Law)가 선정한 유망주 순위에서는 전체 1위 도모닉 브라운, 2위 데스몬드 제닝스에 이은 3위에 안착했다.## 이에 비해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에서 유망주 체크를 담당하는 케빈 골드스테인은 "그는 내가 싱글A 미드웨스트 리그에서 보아왔던 선수 중에서, 누가 두 번째 선수인지 모를 정도로, 단연 최고의 선수이다."라고 밝히며 트라웃을 도모닉 브라운에 이은 전체 2위로 평가하였다.##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존 마누엘도 트라웃을 전체 2위에 놓았다.#
7월 11일 에인절 스타디움 오브 애너하임에서 열린 U.S. vs World가 붙는 퓨처스 올스타전(US Star Futures Game)에 미국 팀으로 출장했다.#[2] 참가자 중 가장 어린 선수는 바로 트라웃.# 필리스의 도모닉 브라운이 1회 선취점을 뽑는 내야안타를 뽑아낸 후 햄스트링 쪽에 약간의 불편함을 느끼자 교체 선수로 투입된 트라웃은 4타수, 2안타(1루타와 2루타), 2개의 에러를 야기한 도루를 기록했다. 이렇듯 트라웃은 특히 스피드에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줬는데 벤 르비어, 디 고든, 이학주, 데스몬드 제닝스보다도 빠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MVP는 3점 홈런을 친 행크 콩거가 차지했다.###
7월 14일부터 9월 6일까지 하이A에 속한 캘리포니아 리그의 랜초쿠카몽가 퀘이크스 소속으로 50경기에 출전하였다.# 성적은 타율 .306, 출루율 .388, 장타율 .434, OPS .821, wRC+ 117를 기록했다.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리그 Top 20 유망주에서 1위를 차지한 트라웃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자.
트라웃은 퓨처스 게임 이후 캘리포니아 리그로 올라오자마자 리그에서 가장 어린 선수이자 최고의 재능을 가진 선수로 우뚝 섰다. 트라웃의 최고 재능은 20-80 스카우트 스케일에서 80을 찍는 스피드이며, 그를 통해 내야 안타와 도루를 양산하고 있다. 그의 파워는 여전히 발전 중이고, 메이저 리그에서는 매시즌 최소 20개 이상의 홈런을 기록할 근력을 지니고 있다. 몇몇 스카우트는 그가 몸쪽 공을 더 잘 공략하기 위해 스탠스(타격의 최초 준비 자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믿고 있다. 뛰어난 스피드와 좋은 타구 판단을 가진 중견수로서 넓은 지역을 커버한다. 그의 어깨는 별로지만, 정확한 송구를 해낸다. 그의 신체적인 툴, 멘탈, 워크에씩 모두가 스카우트에게 인상적이다.[BA] CAL Top 20 유망주
2010 California League Top 10 Prospects # | ||
순위 | 이름 | 포지션 |
1위 | 마이크 트라웃 | 외야수 |
2위 | 브랜든 벨트 | 1루수 |
3위 | 그랜트 그린 | 유격수 |
4위 | 타일러 챗우드 | 우완 투수 |
5위 | 엥헬 벨트레 | 외야수 |
6위 | 조나단 비야 | 유격수 |
7위 | 재프 데커 | 외야수 |
8위 | 애런 밀러 | 우완 투수 |
9위 | 후안 니카시오 | 우완 투수 |
10위 | 패트릭 코빈 | 좌완 투수 |
California League All-Time BA No. 1 Prospects | ||
연도 | 이름 | 포지션 |
1981 | 조지 힌샤우 | 외야수 |
1982 | 케빈 맥레이놀즈 | 외야수 |
1983 | 빌 웨그먼 | 우완 투수 |
1984 | 글렌 브래그스 | 외야수 |
1985 | 제프 파렛 | 우완 투수 |
1986 | 토드 스토틀마이어 | 우완 투수 |
1987 | 게리 셰필드 | 유격수 |
1988 | 켄 그리피 주니어 | 외야수 |
1989 | 호세 오퍼맨 | 유격수 |
1990 | 리치 가르세스 | 우완 투수 |
1991 | 페드로 마르티네즈 | 우완 투수 |
1992 | 레이 맥데이빗 | 외야수 |
1993 | 존 버크 | 우완 투수 |
1994 | 호세 에레라 | 외야수 |
1995 | 대린 어스태드 | 외야수 |
1996 | 미겔 테하다 | 유격수 |
1997 | 트래비스 해프너 | 1루수 |
1998 | 브래드 페니 | 우완 투수 |
1999 | 천진펑 | 외야수 |
2000 | 안토니오 페레스 | 유격수 |
2001 | 데니스 탱커슬리 | 우완 투수 |
2002 | 로코 발델리 | 외야수 |
2003 | 케이시 코치맨 | 1루수 |
2004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우완 투수 |
2005 | 브랜든 우드 | 유격수 |
2006 | 레이드 브리냑 | 유격수 |
2007 | 저스틴 업튼 | 외야수 |
2008 | 트레버 케이힐 | 우완 투수 |
2009 | 버스터 포지 | 포수 |
2010 | 마이크 트라웃 | 외야수 |
2011 | 타일러 스캑스 | 좌완 투수 |
2012 | 빌리 해밀턴(1990) | 유격수 |
2013 | 에디슨 러셀 | 유격수 |
2014 | 카를로스 코레아 | 유격수 |
2015 | 션 뉴컴 | 좌완 투수 |
2016 | 라이언 카스텔라니 | 우완 투수 |
2017 | 브렌든 로저스 | 유격수 |
2018 | 조 아델 | 외야수 |
2019 | 맥켄지 고어 | 좌완 투수 |
싱글A와 하이A에서 131경기에 출전하여 타 .341, 출 .428, 장 .490, OPS .918을 기록한 성과를 인정받아, 1996년 수상자인 앤드류 존스(19살 6개월)를 제치고, 역대 최연소(19살 2개월)로 마이너 리그 공식 홈페이지가 최고의 마이너리거에게 주는 J.G. 테일러 스핑크스 어워드의 수상자가 되었다.## 또한 트라웃은 싱글 A 미드웨스트 리그 최고의 유망주로 선정되고 리그 MVP가 됐으며, 리그 감독들로부터 최고의 정확성, 최고의 주자, 최고 수비력의 외야수, 가장 익사이팅한 선수로 뽑혔다.#
10월 1~10일에 멕시코에서 열리는 the COPABE Pan American Games에 나갈 U.S. team의 24인 로스터 안에 이름을 넣었다. 트라웃 외에 특기할 만한 이름을 거시한다. 크리스 아처, 토드 프레이저, 에릭 호스머, 마이크 무스타커스.# 9게임에 출전해 타율 .350, 3홈런, 7타점, 10득점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
오프시즌에는 사냥, 낚시, 골프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자신은 서두르진 않겠지만, 성적을 조금만 더 끌어올리면 내년에 메이저 리그 데뷔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잡을 것 같다고 밝혔다.#
11월 29일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맷 에디가 작성한 스카우팅 리포트(BA)를[3] 소개한다.##
이력: 2009년 트라웃은 아주 달콤한 인생을 누릴 수 있었다. 6월에는 드래프트가 진행되는 동안 MLB Network 스튜디오에 출연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고, 드래트프 전체 25번으로 지명된 후, 에인절스와 1.215M에 계약을 했다. 이후 그는 루키 레벨 최고의 유망주로 랭크되었고, .360의 타율로 타격 2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북동부 출신 선수이었기에 다소 과소평가된 감이 있는 선수로서는 나쁘지 않은 활약이었다.
대단한 것은 그가 2010년 자신의 첫 번째 풀 시즌을 치르면서 작년보다 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는 점이다. 트라웃이 Low A팀 Cedar Rapids에서 기록한 타율 .362, 출루율 .454는 해당 리그(MWL) 1위였고, 7월 중순에 승격이 되어 해당 리그에서 더 이상 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Low A MVP를 차지했다. 감독들은 그를 MWL 최고 타자, 최고의 주자, 가장 빠른 주자, 최고의 수비능력을 보여준 선수 그리고 가장 흥미로운 선수로 선정했다. 애너하임에서 열린 퓨처스 게임에서도 4타수, 2안타(2루타 1개), 도루 1개를 기록하며, 전국구 유망주로 입지를 다진 그는 18세의 나이로 High A팀 랜초쿠카몽가로 승격되었다. 초반에는 부진했지만, 시즌 마지막 34경기에서는 타율 .338을 기록했며, 이를 불식시켰다. CAL 플레이오프에서는 .367의 타율과 3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그는 도루 부분에서도 마이너리그 5위에 올랐으며(71번 시도, 56개 성공), 득점 6위, 출루율 6위에 올랐다. Midwest와 California 리그 모두에서 최고 유망주로 선정된 트라웃은 가장 큰 기대감과 호감을 받는 선수가 되고 있다.
스카우팅 리포트: 미식축구의 디펜시브 백과 같은 체구인 그는 흔치 않은 5-tool 선수이다. 간결하지만 힘이 실린 스윙과 인상적인 선구안을 통해 보여지는 타격 능력은 대단하며, 투스트라이크 상황에서도 두려움 없이 자신의 스윙을 하는 모습은 10대의 나이를 가진 선수들에게서 흔치 않은 특징이다. 스피드는 20/80 스케일에서 80을 받을 정도이며, 스피드를 이용한 영리한 주루 플레이와 수비 능력은 빛을 발하고 있다. 한 스카우트는 첫 타석에서 400피트 이상 날아가는 홈런을 때린 그가 그 다음 타석에서는 번트를 시도해 1루까지 3.65초 만에 도달하는 것을 지켜봤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나마 약점으로 지적받고 있는 부분은 파워와 송구력이다. 그런데 이 부분도 시간이 지날수록 리그 평균 수준으로 평가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의 체격 조건과 배트 스피드는 향후 그의 파워가 더 나아질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그렇게 될 경우 그는 한 시즌 20홈런 이상을 꾸준히 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줄 것이다. 그는 부족한 송구 능력을 정확한 송구로 만회하고 있다. 그의 성숙한 인격과 뛰어난 야구 감각은 그를 비슷한 나이의 유망주들과는 다른 수준의 선수로 만들어 주고 있다.
장래: 미네소타 트윈스 팜에서 4년 간의 프로 경력을 가지고 1986년에 은퇴한 트라웃의 아버지 제프 트라웃은 23살이 되어서야 미네소타 산하 더블 AA에 승격될 수 있었다. 반면 트라웃은 빠르면 2011년 7월에 더블 AA로 승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아버지보다 4년 더 빠른 페이스다.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의 제이슨 헤이워드와 마이애미 말린스의 지안카를로 스탠튼처럼, 트라웃도 2012년 20살의 나이에 메이저 리그에서 생산적인 모습을 보일 준비가 완료될 것이다. 현재 에인절스의 중견수 피터 보저스의 존재로 인해 트라웃의 데뷔와 포지션에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만약 보저스가 지금처럼 생산력 있는 활약을 이어 간다면 트라웃은 어깨 때문이라도 중견수가 아닌 코너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할 가능성도 있다. 만약 그렇게 된다고 하더라도 트라웃은 상위 타선에서 다양한 공격 스킬로 큰 활약을 해줄 수 있으며, 수비면에서는 매년 골드 글러브를 수상하는 수비력을 보여줄 것이다.
무료 스카우팅 리포트인 Mike Trout Scouting Report도 트라웃의 밝은 미래를 예견한 것으로 팬이라면 일독을 추천한다.
2.3. 2011 시즌
1월 탬파베이 레이스 에반 롱고리아와의 트레이드에 트라웃, 제러드 위버, 피터 보저스, 개럿 리차즈 등을 사용하자는 기사들이 조금씩 나왔다.# 오프시즌 심심해서 나오는 소리인 것 같지만, 만약 성사되었다면 에인절스 팬들은 3~4 년 뒤 우수수 떨어져 나갔을 것이고 알버트 푸홀스는 극단적인 리빌딩을 위해 뼈만 남은 팀에서 65타점이나 치고 있었을 것이다.1월 27일 MLB.com에서는 톱 유망주 순위에 트라웃을 1위, 제레미 헬릭슨을 2위, 브라이스 하퍼를 3위로 올렸다.##[4] 키스 로도 트라웃을 전체 1위 유망주로 선정하였다.# 참고로 그는 5월말에도 여전히 트라웃을 1위로 평가했다.#
이름 | MLB.com에서 본 포텐셜 |
1. 마이크 트라웃 | 뛰어난 외야 수비, 타점 생산 능력, 위협적인 도루 능력을 겸비한 올스타급 선수. |
2. 제레미 헬릭슨 | 현재는 하위 로테이션이지만, 곧 데이비드 프라이스 뒤에 오는 강력한 2선발이 될 것. |
3. 브라이스 하퍼 | 오랜 기간 동안 중심 타선에 위치하는 슈퍼스타 우익수로서의 모든 면모를 가진 선수. |
4. 도모닉 브라운 | 파워가 생기면서 중심 타선에서 활약하는 전형적인 우익수가 될 것. 그의 실링은 여전히 매우 매우 높다. |
5. 더스틴 애클리 | 안타를 생산하고 약간의 파워도 있으면서 출루와 도루 및 어느 정도 타점도 올리는 수준급의 공격형 2루수. |
6. 아롤디스 채프먼 | 현재 올스타급 마무리. 앞으로 수 년 동안 가능하다. |
7. 마이크 무스타커스 | 3할-30홈런-100타점을 매년 해낼 수 있는 타자. |
8. 에릭 호스머 | 중심 타선에 위치하면서 정확성과 파워를 겸비한 전형적인 1루수. |
9. 헤수스 몬테로 | 빅리그 어느 팀 타선에 가더라도 중심 타선에서 임팩트를 줄 수 있는 선수. |
10. 훌리오 테헤란 | 머지않은 시기에 1선발을 차지할 스터프와 메이크업을 겸비한 선수. |
1월 28일 첫 스프링캠프 참가가 결정되었다.#
스프링캠프에서는 1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76, 출루율 .364, 장타율 .276, OPS .639라는 조금 실망스러운 성적을 기록했다.# 어깨 경직 증상이 있었다는데, 그래서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2월 9일 신시내티 레즈와 워싱턴 내셔널스의 단장을 지낸 짐 보우덴은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내리며 트라웃을 브라이스 하퍼에 이은 전체 2위 유망주에 올렸다. "메이크 업과 캐릭터가[5] 차트를 뚫었다. 점프, 각도 및 본능이 뛰어난 중견수다. 치타처럼 달릴 수 있는 80 스피드를 갖추고 있다. 그는 레벨 스윙을 하고, 공에 짧고 빠르게 컨택하며, 이미 카운트 싸움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빠른 퍼스트 스텝이 좋다. 출루율이 높은 선두 타자형이 될 것이며 파워 잠재력도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23일 발표된 2011년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랭킹에서도, 1위인 브라이스 하퍼에 밀려, 2위에 올랐다.##[6][7] 또한 같은 날 베이스볼 아메리카는 유망주 성공 확률을 분석한 기사를 냈는데, 트라웃과 하퍼 정도의 클래스가 얼마나 성공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어 일독을 추천한다.
2월 28일에 발표된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 유망주 랭킹마저도 하퍼에 이은 2위에 랭크되었다.#
3월 28일 팬그래프의 마르크 훌렛은 트라웃을 전체 1위 유망주로 평가했다.#
4월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의 제이슨 팍스와의 채팅 내용 중 트라웃 부분만 발췌한다.#
Q. 하퍼와 트라웃이 실링이 정말 대단하다고들 하던데, 성장이 제대로 된다면, 전성기에 어느 정도의 스탯을 찍을까?
A. 제대로 성장만 한다면, 트라웃은 3할, 30 이상 더블, 20 이상 홈런, 30 이상 도루, 평균 이상의 중견수 수비를 보여줄 것이다. 하퍼는 장타율 .600 이상을 매년 찍을 것이고. 만약 포텐만 제대로 터지면 슈퍼스타가 될 수 있지.
Q. 장기적으로 제이슨 헤이워드와 마이크 트라웃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A. 트라웃. 아주 마음에 들어.
Q. 와, 트라웃이 헤이워드를 능가한다라... 정말 물건이긴 물건인가봐? 그래도 지나치게 과한 칭찬 아냐?
A. 포지션 때문이야.[8]
4월 7일 더블A에 속한 텍사스 리그의 아칸소 트래블러스라는 팀의 로스터에 등록되었다.#
5월 말 서서히 콜업 이야기가 조금씩 나오고 있다.#
6월 6일 트라웃이 유망주 1위급 평가를 받자, 아칸소 트래블러스의 감독인 Bill Mosiello는 "나는 사람들이 나를 미쳤다고 생각할까봐 내가 진짜로 생각하는 바를 말하지 못했다. 이제는 아마도 사람들은 "니가 맞았네."라고 말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Bill Mosiello에 따르면, 트라웃을 관찰했던 스카우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생각할 때, 트라웃을 묘사할 수 있는 선수로는 오직 리키 헨더슨뿐이다.", "내가 40년 동안 스카우트 생활을 했지만, 저런 녀석은 처음 본다.", "트라웃은 올스타인가요? 꾸준히 올스타에 들고 있나요?", "여기 있는 선수 중에서 최고다.", "더블A가 아닌 고등학교에서 뛰는 것처럼 활약한다."[9]
그리고 Bill Mosiello은 "나는 단지 경기에 나가 즐겁게 플레이할 뿐이다. 일단 유니폼을 입고 필드에 나가 경기 시작 전의 국가를 들으면, 승리를 위해 노력할 뿐이다."라며 겸손을 떠는 트라웃을 보며, "마음속으로는 지가 최고인 줄 그도 알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라고 밝혔다.
트라웃은 "1루타라고 여기면, 나는 2루타라고 생각한다. 또 2루타라고 여기면, 나는 3루타라고 생각한다."며 자신의 스피드를 과시하는 발언을 했다.#
6월 23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의 홈구장인 체이스 필드에서 7월 11일 펼쳐질 퓨처스 올스타전에 2년 연속 출장이 결정되었다.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표지 모델로 선정되어 고등학생 때부터 전국에 이름을 알린 브라이스 하퍼와 트라웃이 함께 플레이하는 역대 최고의 퓨처스 올스타전이 되는 것이냐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7월 8일 메이저 리그로 콜업되었지만, 큰 활약을 하지 못하며 마이너와 메이저를 왔다갔다 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항목 참조.
2011 시즌 더블A에서의 최종 기록은 91게임에서 타 .326, 출 .414, 장 .544, OPS .958, wRC+ 156, 11홈런, 38타점, 82득점, 33도루. 역시 리그 감독들이 뽑은 최고의 정확성, 최고의 주자, 최고 수비력의 외야수, 가장 익사이팅한 선수가 됐다.#
또한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선정한 더블A 텍사스 리그 최고 유망주로 뽑혔다. 같은 더블A의 동부 리그에서는 브라이스 하퍼가, 남부 리그에서는 맷 무어가 뽑혔다.# 이로써 트라웃은 그가 거쳤던 4개의 리그에서 모두 NO.1 유망주로 기록되었다.#
9월 2011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선정하는 올해의 마이너리거가 되었다.#[10] BA 올해의 마이너리거 상은 1981년부터 주어졌으며 드와이트 구든, 데릭 지터, 조 마우어, 프랭크 토마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에인절스 선수가 수상한 것은 1992년 팀 새먼에 이어 역대 2번째다. 트라웃은 9월 7일 수상 소식을 듣고 "오늘 실제로 수상자 명단을 읽어봤는데, 3000안타를 친 지터나 (팀 선배라) 자주 듣던 팀 새먼 등이 있었습니다. 정말 놀랐습니다. 그런 선수들과 같은 영예를 얻었으니깐요."라고 밝혔다.#
10월부터 열리는 애리조나 가을리그(AFL)에 참가해, 브라이스 하퍼와 팀 동료가 되었다.# 하지만 타율 .245, 출루율 .279, 장타율 .321, OPS .600이라는 매우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따라서 "트라웃은 다소 실망스러운 성적으로 (메이저 리그 데뷔) 시즌을 마감했고, AFL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는데 우려스러운 점이 있는지"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에 대해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존 마누엘은 "전혀 없습니다. 한 스카우트에 의하면 트라웃의 동체시력이 그냥 보통 수준이라고 말했는데, 저는 그게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AFL에서 문제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라고 답했다.#
에인절스 부단장이었던 스캇 서비스가 트라웃의 플레이를 처음 본 것도 바로 이 당시였다. 그래서 서비스는 트라웃의 잠재력을 의심하는 말을 제리 디포토 단장에게 했는데, 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았다. "스캇, 걱정마. 그 녀석은 야구에서 차세대 거물이 될거야."#
애리조나 가을리그에 참여하는 선수들은 일반적으로 지쳐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뛰어난 선수들도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트라웃이 바로 이런 경우였다.[11]
3. 메이저리그 베이스볼
3.1. 2011 시즌
모든 위대한 선수가 메이저 리그에서 처음부터 날아다니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 트라웃조차도 그의 첫 달이나 메이저에서의 19살 시즌에는 윌리 메이스가 아니었다.
ㅡ ESPN 기자 키스 로 #
ㅡ ESPN 기자 키스 로 #
- 2011 시즌 마이너리그 경력은 상단 참조.
원래 트라웃은 7월 11일 피닉스로 날아가 일요일에 MLB 퓨처스 게임을 나가고, 월요일에 트레블러스로 복귀하기로 되어 있었다. 아칸소 감독 대리이자 에인절스 마이너 필드 코디네이터와 타격 인스트럭터를 맡고 있는 토드 타카요시는 트라웃이 이번 시즌 내내 트레블러스에서 뛸 것이라고 말했었다. 그런데 그 전해 콜업된 중견수 피터 보저스가 부상을 당하면서 공백을 채우기 위해 7월 8일 메이저 리그 팀의 콜업을 받아 데뷔하게 되었다.# # #[12]
정식 버젼 | 직캠 버젼 |
데뷔 경기를 지켜 본 아버지 제프 트라웃은 6월 아버지의 날 인터뷰에서 "아내와 저는 시애틀 상대로 8회 1 대 1 상황에서 트라웃이 러닝 캐치를 해내는 것 앉아 감상했는데, 경기장에서 빅리그 처음으로 스탠딩 오베이션을 받는 순간은 정말 특별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
이로써 트라웃은 2005년 펠릭스 에르난데스 이후 가장 어린 나이에 데뷔한 선수가 됐으며(19살 335일 VS 19살 118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에서도 지난 40년간 최연소 선수가 됐다.#
트라웃 콜업 당시 에피소드를 소개한 기사를 옮긴다.#
데비 트라웃의 전화가 금요일 오전 2시에 울렸을 때, 그녀는 여느 어머니들처럼 걱정했다.
그녀의 아들, 마이크의 전화였다. 그의 음색은 평상시와 달랐다.
아들은 괜찮나? 그를 만나기 위해 아칸소에 있는 여자 친구에게 무슨 문제라도 생겼을까?
"전화가 왔어." 트라웃이 그의 어머니에게 말했다.
"무슨 전화?" 그녀가 물었다.
"전화가 왔다고, 엄마." 트라웃이 반복했다. "메이저 콜업 전화가 왔어!"
처음에 데비는 19살짜리 아들이 LA 에인절스로 승급했다는 소식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몰랐다.
그래서 그녀는 소리를 질렀다.
"비명을 멈출 수 없었다." 데비가 말했다. "내 생각에 사람들이 그 집에 살인자가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마이크가 금요일 오후 10시 5분에 시애틀 매리너스 전에서 메이저 리그 데뷔를 할 것이라는 사실에 고향집이 흥분에 휩싸였다.
2009년 밀빌 고등학교 졸업생은 9번 타자이자 중견수로 데뷔했다. 첫 경기에서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다.
그의 가족들은 오늘 같은 날이 올 것이라 생각은 했지만, 이렇게 빨리는 아니었다. 2009년 1라운드에 지명된 이래 트라웃은 마이너 리그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선수 중 하나가 되었다.
데비와 그녀의 남편인 제프, 마이크의 형인 타일러 그리고 마이크의 여자 친구인 제시카 콕스가 트라웃의 첫 경기에 참석하기로 했다.
트라웃은 에인절스 단장인 톰 리긴스로부터 오전 1시쯤 전화를 받았다. 트라웃은 월요일 피닉스에서 마이너 리그 최고의 선수 50명이 펼치는 그의 두 번째 퓨처스 게임에 출전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신 그는 캘리포니아의 애너하임으로 보내진 것이다.
"빅 클럽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이런 기회를 잡았다는 걸 듣고 눈물이 날 뻔했다." 트라웃이 에인절스 프리 게임 라디오 쇼에서 말했다.
트라웃의 콜업 타이밍은 그의 나이를 고려하면 조금 놀랍다. 그는 더블 A 아칸소 트래블러스에서 전시즌을 뛰었으며, 다음 마이너 리그 레벨을 건너 뛰고 에인절스에 합류했다. 그는 현재 메이저 리그에서 가장 어린 선수이며, 에인절스 역사상 1971년 이래 가장 어린 나이에 데뷔한 선수다. 또한 2000년 이후 4번째로 어린 나이에 콜업된 야수다.
"거기엔 항상 압박감을 느낄 것이다." 트라웃은 27번 유니폼을 집어 들며 금요일 경기 전에 the Associated Press과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일단 필드에 서면, 그것은 단지 경기일 뿐이다. 오늘밤은 전율이 일어날 것이다. 기다리기 힘들다."
에인절스는 그들의 필요에 따라 트라웃을 콜업했다. 지난 목요일 햄스트링 파열을 일으킨 중견수 피터 보저스를 마지막으로, 많은 에인절스 외야수들이 부상에 신음했다.
제프 트라웃은 그 경기를 텔레비전으로 보고 있었다. 그는 보저스의 부상을 보고, 트라웃이 트리플 A로 이동될지 궁금했다.
그래서 그 밤에 마이크가 전화했을 때, 제프는 그의 아들이 트리플 A인 솔트 레이크 시티로 향한다는 말을 들을 것이라 여겼다. 데비의 반응은 그것보다 더 큰 게 왔다는 걸 깨닫게 해줬다.
"정말로 감성적인 아이가 아니다." 미네소타 트윈스 팜에서 4년을 보냈던 제프가 말했다. "하지만 그는 정말로 흥분했다. 나는 그가 푹 잤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그의 라커를 치우고 이른 아침 비행기를 타야 했다. 남은 밤에 아드레날린이 뿜어져 나왔을 것이다."
트라웃 가족은 그의 아들을 보러 14일 동안 텍사스 리그 경기를 돌다가 막 돌아온 참이었다. 그들은 수요일에야 집에 도착했고, 짐을 풀 시간도 없었다.
이제, 그들은 다시 여행을 떠나야 한다.
"우리는 그의 에이전트와 목요일에 이야기했는데, 그는 마이크가 아마도 9월까지는 콜업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데비가 말했다. "우리는 이번이 그의 마지막 퓨처스 경기라는 슬픈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건 정말 믿기 힘든 일이다."
최근 몇 십년 동안 십대에 메이저 리그에 야수로 활약한 소수의 선수들이 있다(트라웃은 8월 7일에야 20살이 된다.). 그 선수들 중 일부는 켄 그리피 주니어 그리고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같은 위대한 선수가 되었다.
에인절스 감독인 마이크 소시아는 트라웃의 빅 리그 잔류가 주말을 넘기지 않을 것이라 암시했다. 그는 보저스가 건강을 찾으면, 바로 중견수에 복귀시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시아는 또한 트라웃을 마이너로 돌려보내는 결정도 힘들 것이란 점을 인정했다.
"이런 상태가 얼마나 길어질지는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this is a good opportunity (for Trout) to see what that monster of the big leagues is all about," 소사아가 말했다. "그건 마이크에게 훌륭한 경험이 될 것이다. 그는 기여하길 원한다. 그는 승리를 원한다. 그는 돌진한다. 그는 수비 쪽에 준비가 되어 있으며, 공격 쪽에서 무엇이든 기여할 수 있다. 우리는 그걸 취하겠다."
7월 9일 시애틀 매리너스의 마이클 피네다로부터 빅리그 첫 안타를 신고했다.[13] 이날 2득점에 성공하며, 커리어 첫 득점을 기록했다.
15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브래드 지글러를 상대로 안타를 뽑아내며, 생애 첫 타점을 올렸다.
16일 브래드 지글러를 상대로 커리어 첫 장타인 2루타를 기록했다.
22일 커리어 첫 멀티 히트와 도루를 만들었다. 커리어 열 번째 경기만에 드디어 도루를 시작한 것이다.
24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마크 워렐을 상대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커리어 첫 홈런을 기록했다.[14][15] 지난 25년간 10명의 메이저 리그 선수만이 20살 이전에 홈런을 쳤다.#[16]
위 사진처럼 트라웃의 1호 홈런 공을 잡은 잭 햄플이[17] 공을 돌려주었다. 그가 요구한 것은 트라웃에게 직접 전해주고 싶다는 것뿐이었다. 또한 다른 팬이 공을 $500에 넘기라고 제안했으나 거절했다. 그를 만난 트라웃은 악수를 한 후, 직접 사인한 다른 공과 함께 매우 정중하게 "Thank you."라고 말했다. 잭 햄플은 트라웃이 역사를 써내려가길 원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10대에 빅리그에서 홈런을 친 선수가 되었지만, 결국 19살짜리에게 메이저 리그는 벅찬 무대였을까.[18] 이내 부진을 보이며 8월 1일 다시 AA로 내려갔다.[19] 트리플-A가 아닌 다시 더블-A로 돌려 보낸 이유 중 하나는 더블-A 팀이 플레이오프에 나가기 때문에 플레이오프라는 중요한 경험을 쌓게 해주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8월 19일 다시 콜업되었고,[20] 8월 30일 시애틀 매리너스전에서 에인절스 역사상 최연소로 커리어 첫 멀티 홈런을 때려내고, 커리어 첫 5타점을 기록했으며, 9월 3일 커리어 첫 3안타(1더블) 경기를 만들어내는 등 내년을 기대하게 하는 모습과 파울볼에 왼쪽 다리를 맞아 몇 경기를 쉬는 모습 등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보여주며 시즌을 마쳤다.[21]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트라웃이 2011 시즌에 부진해서 2012 시즌을 마이너에서 시작하였다고 오해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These 40 games allowed Trout, 19 at this point, to spend the offseason with the knowledge of how tough major league pitching really is. Trout did not make the Opening Day roster because of a stomach virus suffered in Spring Training."라는 기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트라웃은 당연히 로스터에 포함될 것이었지만, 복통 때문에 마이너에서 시작하였을 뿐이다.[22]
시즌 성적은 40경기 타율 .220, 출루율 .281, 장타율 .390, OPS .672, wRC+ 87, 5홈런, 16타점, 4도루.
트라웃 선수 경력에서 유일하게 리그 평균 이하의 타격 성적[23]을 기록한만큼 첫 시즌을 버겁게 보냈다. 그래도 대주자와 대수비를 포함하여 40경기를 좌익수(10경기), 중견수(13경기), 우익수(13경기), 지명타자(1경기)로 번갈아 뛰면서 fWAR 0.7(bWAR 0.5)을 기록하였으니 최악의 성적은 아니었다. 어쨌든 트라웃으로서는 큰 부진이었기 때문에 2011을 통계로 분석한 기사가 따로 나올 정도다. Solving the Mystery of Mike Trout"s Debut Season 트라웃이 "더 많이 타석에 들어서고 매일 경기를 할수록 더 편안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감도 더 커지고 있죠. 지금은 경기장에 나가는 게 아주 기분 좋습니다."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듯이 MLB를 적응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9월 7일 인터뷰에서 "항상 빅리그에 올라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지만 첫 번째 콜업 때, 빅리그에 첫 걸음을 내딛으면서 너무 불안해하고 조마조마했습니다. 너무 많은 걸 하려고 했었고요. 모든 선수가 다 그랬을 겁니다. 하지만 다시 마이너 리그로 내려갔고, 빅리그가 제가 있고 싶어하는 곳이라고 깨달았습니다. 두 번째 콜업 때, 저에게 기대되는 게 무엇인지 알았고 그것과 함께 나아갔습니다." 또한 메이저 리그 투수진에 익숙해지는 것이 아니라 메이저 리그 무대에 익숙해지는 것이 가장 큰 도전이라고 말했다. "그건 제가 평소에 해오던 것과 똑같은 야구라는 걸 깨달았죠. 단지 더 많은 사람들과 플레이하고, 더 큰 규모일 뿐인 거죠. 저는 심호흡을 하고, 이것이 똑같은 야구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건 정말 중요한 것입니다. 첫 경기에서 4층까지 있는 경기장과 4만여 관중을 보니, "와우, 이거 고등학교 때와는 좀 다르네."란 생각이 들었어요."라고 밝혔다.[24]
2011년 루키 헤이징 때 레이디 가가로 분한 트라웃은 12월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어느날 라커룸에 갔는데, 신인들 옷이 몽땅 사라졌어요. 제 라커에는 레이디 가가 코스튬이 놓여 있었고, 저는 그걸 입을 수밖에 없었죠."[25][26][27]
3.2. 2012 시즌
|
MLB 루키 시즌 역대 WAR 1위[28] 커리어 첫번째 MVP 파이널리스트 |
참고하십시오. |
3.3. 2013 시즌
|
커리어 2번째 MVP 파이널리스트 |
참고하십시오. |
3.4. 2014 시즌
|
커리어 첫 MVP 및 만장일치 MVP 수상 |
참고하십시오. |
3.5. 2015 시즌
|
커리어 4번째 MVP 파이널리스트 |
참고하십시오. |
3.6. 2016 시즌
|
메이저리그 역대 6번째 루징팀 MVP 수상 |
참고하십시오. |
3.7. 2017 시즌
|
커리어 통산 1000안타 달성 |
참고하십시오. |
3.8. 2018 시즌
|
커리어 6번째 MVP 파이널리스트 |
참고하십시오. |
3.9. 2019 시즌
|
MLB 역대 11번째 MVP 3회 수상자 홈런 커리어 하이를 달성한 시즌 |
참고하십시오. |
3.10. 2020 시즌
|
커리어 8번째 실버 슬러거 수상 |
참고하십시오. |
3.11. 2021 시즌
|
유리몸화 진행으로 커리어 하락세가 시작된 시즌 |
참고하십시오. |
3.12. 2022 시즌
|
커리어 9번째 실버 슬러거 수상 |
참고하십시오. |
3.13. 2023 시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2023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2023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4. 2024 시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2024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2024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15. 2025 시즌
|
커리어 통산 400홈런 달성 |
참고하십시오. |
[1] 데뷔전 첫 타석에서 2타점 2루타를 때려냈다.#[2] MLB는 올스타전 전에 마이너 유망주들을 모아서 퓨처스 올스타전을 연다. 어떤 스카우트의 2010년 퓨처스 올스타전 출전 선수 중 지켜봐야 할 유망주를 평가한 내용 중 트라웃 부분만 발췌한다. "마이크 트라웃. 그의 이름을 기억해 두고 무엇을 하든 잊지 말라. 트라웃이 전국 방송의 시청자 앞에서도 이번 시즌 초 미드웨스트 리그에서 내가 관찰하러 갔을 때 보여준 모습을 비슷하게라도 해준다면, 즉시 최고의 유망주 중 하나로 뽑힐 것이다. 트라웃은 진짜배기의 모든 툴을 가지고 있다. 특히 뛰어난 스피드와 빅파워 포텐셜을!"2010 Futures Game 지켜봐야 할 유망주들 이번 퓨처스 올스타전에 이학주도 출전했는데, 이학주의 평가도 있으니 일독을 권한다.[3] 스카우트 보고서가 다루는 항목은 선수 유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드래프트에 참가하는 아마추어 선수나, 도미니카 공화국 또는 베네수엘라에서 나오는 국제 자유계약 선수라면 앞으로 어떤 선수가 될지에 중점을 두며, 장기적인 신체 발달까지 예상한다. 반면 더블A 유망주를 본 프로 스카우트의 보고서에는 일부 예상도 들어가지만, 항상 지금 보여주는 능력에 무게를 둔다(스마트 베이스볼 P. 276).[4]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와 그들의 성과는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5] 메이저리그 스카웃팅 리포트에서 쓰이는 Make up에는 인성하고 멘탈적인 부분까지 다 포함되어 있다. 그게 리더십도 있고, 같은 동료들 간에 관계도 있고, 훈련 태도 등도 포함한다.# 참고로 캐릭터는 메이크업과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6] 베이스볼 아메리카의 편집장인 짐 칼리스는 "그에게 열광하지 않는 트라웃을 실제로 본 적이 없는 사람과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나와 이야기를 나눈 한 스카우트는 자신이 관찰한 선수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유망주였다고 한다. 다른 스카우트는 그가 트라웃을 관찰했을 때, 400피트의 홈런을 친 후 다음 타석에서 번트를 한 후 1루까지 3.65초가 걸렸다고 한다. 우타자 기준 4초가 메이저 리그 최상급 기록이다."라며 2011년 유망주 평가에 트라웃을 1위에, 브라이스 하퍼를 2위에 놓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다른 두 명의 편집장들은 하퍼를 1위에, 트라웃을 2위에 놓았다. 그래서 2011년 BA 유망주 랭킹 전체 2위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평가에 대해 트라웃은 "난 정말 그런 평가들을 유심히 살펴보지 않는다. 큰 칭찬이지만, 그런 것들은 빅리그에 올라갈 때까지는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라는 패기를 보였다.##[7] 2018년 이영미 기자의 기사에서 맷 무어를 인터뷰하면서 2011년 "베이스볼 아메리카"가 선정한 전체 유망주 순위에서 마이크 트라웃, 브라이스 하퍼에 이어 3위에 선정되었다고 기술했는데, 오류이다. 하지만 2012년에는 트라웃 앞에 있는 전체 2위였기에 그의 인터뷰를 옮긴다. Q. "마이너리그 전체 유망주 순위가 마이크 트라웃, 브라이스 하퍼 다음이었다. 3위에 오른 기분이 어떠했나." A. "기분 나쁘거나 그런 건 전혀 없었다. 마이크 트라웃은 이미 빅리그를 여러 차례 경험했었고, 브라이스 하퍼는 당시 모두가 경계하는 선수였기 때문에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는 데 만족했다. 지금 그들을 빅리그에서 만날 수 있다는 게 신기하고 감사하다. 물론 그들을 상대할 기회는 많지 않았지만 말이다."[Story in 캠프] 맷 무어는 텍사스의 "다크호스"가 될 수 있을까[8] 이 채팅을 이해하려면 당시의 헤이워드의 평가에 대해 살펴보아야 한다. 2010년 2월 김형준 기자의 칼럼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2009년 더블A에서의 대폭발(타 .352, 출 .446, 장 .611)을 포함해 싱글-더블-트리플A 99경기에서 .323, .408, .555를 기록하고 BA <올해의 마이너리거>에 선정됐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선수로는 1995-1996년에 2연패를 했던 앤드류 존스 이후 처음. MLB.com과 ESPN은 모두 헤이워드를 스티븐 스트라스버그에 앞선 전체 1위에 올렸으며, 3월에 발표될 BA 랭킹에서도 최소한 타자 1위는 확정적이다(당시 실제로 1위에 올랐다). 전형적인 5툴 플레이어이면서도, 5툴 플레이어들 대부분이 가장 취약한 선구안이 최대 장점이다. 고교 시절에는 워낙 스윙을 아끼는 데다 투수들이 도망만 다닌 탓에 걸어나가는 것이 일이었다. 이에 파견했던 스카우트가 스윙 장면을 제대로 지켜보지 못하고 돌아와 지명을 포기한 팀이 여럿이라는 후문. 덕분에 애틀랜타는 연고지(조지아주) 선수인 그를 14순위에서 지명할 수 있었다. 좌타자로서 좌투수를 상대로는 정확한 타격을 하며(좌투수 .335, 우투수 .313) 우투수를 상대로는 장타를 노린다(우투수 23홈런, 좌투수 6홈런). 상당한 거구이지만 수준급의 스피드와 뛰어난 주루 센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익수로서의 수비 범위와 어깨 역시 뛰어나다. 최대 기대치는 6번의 실버슬러거와 7번의 골드글러브를 따낸 데이브 윈필드다.# 게다가 2010년 2월 켄 로젠탈은 제이슨 헤이워드는 야구계의 최고 유망주 그 이상으로서, 별 볼일 없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월드시리즈 우승후보로 변신시킬 수 있는 선수라고 평가했으며, 브레이브스의 포수인 브라이언 맥캔은 "만일 헤이워드가 메이저리그로 온다면, 곧바로 팀내 최고 선수 중 한 명이 될 수 있어요. 그의 재능이 그 정도예요."라고 말할 정도였다.# 또한 2010 시즌에 20살이란 어린 나이로 타율 .277, 출루율 .393, 장타율 .456, OPS .849, wRC+ 134, fWAR 4.7, bWAR 6.4, 올스타 출전, NL 신인왕 2위(신인왕은 22살의 버스터 포지)라는 성과를 올려 주가가 최고조였다.[9] 고등학교와 마이너 리그의 차이는 앤드류 맥커친의 다음 인터뷰를 살펴 보면 된다. "야구 선수는 마이너리그에서 참 많은 것을 배운다. 야구에 대해서도 배우는 게 많지만 실패란 것이 무엇인지도 배우는 것 같다. 나는 고등학교 시절 때 재능이 많다는 소리를 자주 들었었다. 물론 그랬으니 지금까지 야구를 하고 있겠지만 고등학교 시절에는 실패라는 걸 모르고 살았다. 그냥 야구를 하면 잘 풀렸기 때문에 힘든 적이 없었다(고교 3학년 때 맥커친은 타율 .709, 16홈런, 42타점을 기록했다). 마이너리그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며 우디 하이키란 코치한테 내가 고3 때의 타율이 7할대였다고 자랑하니까 그는 마이너리그에선 결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더라. 3할대의 타율만 기록해도 잘 치는 거라고 설명해줬을 때 난 그의 말을 믿을 수 없었다. 아니 믿기 싫었을 것이다(웃음). 타율이 3할 대라니. 나한테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진짜 그의 말이 와 닿지 않았다. 내가 직접 느끼기 전까지는 말이다. 나이 어린 앤드류 맥커친은 배워야 할 것들이 아주 많았다. 코치의 예언대로 내 타율은 아마 .290 정도였을 것이다. 성적을 보며 내 자신이 한심하게 느껴졌다. 불만도 늘어났다. 그런 불만들이 나를 더 노력하는 사람으로 만들었고 마이너리그 시절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내가 존재한다고 믿는다."#[10] 2위는 맷 무어이다.# 맷 무어를 제치고 트라웃을 선정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고 한다.# 당연히 베이스볼 아메리카에 왜 무어가 아니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Q. 맷 무어가 플옵에서 양키스와 텍사스를 상대로 잘했는데, 왜 올해의 마이너리거가 아니지? A. 우리에게 타임머신이 없었기 때문이지. 플옵 한참 전에 내린 결정이야. 무어의 퍼포먼스가 반드시 결과를 바꿀 수 있었다는 것은 아니야. 우리는 그만큼 트라웃을 좋아해. 그러나 무어 역시 아주아주 좋은 유망주야. 무어는 AA, AAA 모두 1등이었지. 지금 당장 최고의 투수 유망주라고 쉽게 말할 수 있지.# 또한 "(BA 채팅에서) 왜 무어가 올해의 마이너리거 못받았냐. 메이저에서 부진한 트라웃보다 무어가 더 낫지 않느냐. 이런 질문이 엄청나게 많은데, 대답은 한결 같군요. AA에서 3/4/5 찍은 몇 십년 만의 10대 유망주라고 하면서 트라웃을 상당히 높이 평가하네요."라는 글도 있다.#[11] ESPN 기자에 따르면, LAA에서의 시즌이 끝나자마자 AFL로 트라웃이 보내진 것에 대해 놀랐다고 한다. 시작부터 트라웃이 꽤나 지쳐있는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팀 동료였던 하퍼 또한 트라웃이 힘이 빠져 있는 상태였고 우리 모두 그것을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156경기를 뛰었고, 어깨에 통증이 있었다고도 한다. 참고로 올해 AFL MVP는 놀란 아레나도다.##[12] 트라웃은 퓨처스 게임보다 여기가 더 많이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13] 희생 번트 치라니깐 내야 안타 쳤다. 이 덕분에 트라웃의 커리어 희생 번트 숫자는 아직 "0"이다.#[14] 2011년 채팅에서 "타격 순간 정말 잘 맞았다는 것을 알았고, 경기장에 있는 가족들과 많은 팬들을 올려다 보았을 때, 형용할 수 없는 기분이 느껴졌다."라고 회고했다. 2011년 12월 기사에서는 웃으며 "홈런을 쳤는지 몰랐다. 나는 보통 그런 경우 홈런이 되는지 안되는지 지켜보는데, 그냥 냅다 뛰었다."고 밝혔다.[15] 볼티모어는 트라웃의 고향인 뉴저지 밀빌에서 불과 2시간 거리인 가장 가까운 아메리칸 리그 도시다. 그래서 볼티모어 원정 때, 트라웃의 가족이나 친구들이 자주 응원을 온다고 한다.# 참고로 트라웃의 고향에서 가장 가까운 메이저 리그 구장은 약 40분 거리인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시티즌스 뱅크 파크.#[16] 저스틴 업튼(2007), B.J. 업튼(2004), 애드리안 벨트레(1998), 앤드류 존스(1996), 에드가 렌테리아(1996), 알렉스 로드리게스(1995), 이반 로드리게스(1991), 켄 그리피 주니어(1989), 후안 곤잘레스(1989), 게리 셰필드(1998).[17] 매우 유명한 사람이라고 한다. 배리 본즈의 724번째 홈런 공,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3000번째 안타를 홈런으로 장식한 공을 포함한 5천개가 넘는 홈런 볼을 모았다고 한다.## 그 외의 사실들은 각 링크를 참조.[18] 최지만의 2016년 인터뷰에 따르면, 트라웃이 루키 때 조바심을 느꼈기 때문이다. 당시 트라웃과 비슷한 상황을 겪은 조이 갈로의 인터뷰는 다음과 같다. "메이저 리그와 마이너 리그를 오락가락하는 삶의 연속이었다. 마이너 리그에서 충분히 인정받는 실력이었다고 생각했지만 빅리그의 생존 경쟁은 마이너 리그와 차원이 달랐다. 그냥 잘해서는 빅리그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걸 깨닫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17시즌이 돼서야 빅리그 경기에 많이 뛸 수 있었고 가끔 대타로도 출전했다. 한때는 마이너 리그와 빅리그를 오가는 상황이 힘들었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즉시 현실을 인정했다. 어느 위치에 있든 내가 잘 하면 된다는 마음가짐으로 버텼다."#[19] 햄스트링 부상으로 7월 7일 이후 빠져 있었던 보저스가 7월 23일 복귀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마이크 소시아 감독은 7월 17일 "중견수는 피터 보저스가 돌아온다면, 그의 것이다. 그보다 중견수 수비를 잘하는 선수는 리그에 없다. 우리는 피터가 라인업에 돌아오길 원하고 있다."라고 말했었다.#[20] 따라서 메이저 리그에서 맞은 첫 생일은 2011 시즌이 아닌 첫 풀타임을 소화한 2012 시즌이다.[21] 신인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타자들은 메이저 리그에서 130타수를 넘기지 않아야 하고, 투수들은 메이저 리그에서 50이닝을 넘기지 않거나 25인 로스터가 유지되는 기간에 누적 45일 동안 해당 로스터에 이름을 올려서는 안 된다. 단, 부상자 명단 혹은 군 복무의 시간은 여기에서 제외한다.# 트라웃은 123타수를 소화, 신인 자격 상실 기준인 130타수를 넘기지 않았다. 그래서 루키 헤이징도 두 번하였다.[22] 2011년 말 현지 기사를 보면 트라웃을 로스터에 넣을지, 트리플 A에서 시작하게 할지 갈팡질팡하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최소한 스프링캠프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면 로스터에 들어가는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23] 2011시즌 리그 전체 OPS 0.720, wRC+ 96[24] 2012년 7월의 다음 인터뷰도 비슷한 취지이다. "I wasn't myself," he said. "I was up at the plate trying to crush every pitch. I was 19 years old and trying to prove to everybody that I belonged in the big leagues. I'm not a guy who is going to make a living hitting 500-foot home runs, and I got out of my game. I never relaxed or settled in. I look back now, and I was in over my head. Now, I feel very relaxed and very confident that I can not only play at this level, but be successful."[25] 2013년 인터뷰에서 가장 야구의 얼굴이 된 거라 생각되는 경험에 대한 질문에 이 레이디 가가 코스츔을 입고 비행기를 탑승했을 때를 뽑았다. 물론 즐거웠다는 멘트도 잊지 않았다.#[26] 2016년 CBA 개정으로 메이저 리그 선수들이 루키 헤이징 분장을 할 때 불편을 유발할 수 있는 여성 분장, 또는 여성 캐릭터를 의미하는 분장이 금지되었다. 즉 특정 인종과 성별, 국적을 상징하는 복장은 내년부터 금지된다.# 이에 대해 트라웃은 인터뷰에서 루키 헤이징은 베테랑이 신입을 반기는 것일 뿐이라며 루키 헤이징 때 재밌었고, 자기를 괴롭히는 것이 전혀 아니라고 하였다. 원문은 "That"s one of the things you do. That"s how the veteran guys welcome you. That"s how I looked at it. I had fun doing it … It didn"t bother me at all."# 과거 루키 헤이징은 후배를 괴롭히는 의미가 강했는데, 최근에는 우스꽝스러운 복장으로 함께 웃고 즐기는 분위기가 대세가 되었다.#[27] 루키 헤이징 때 트라웃의 다른 사진과 개럿 리차즈의 모습을 보고 싶은 사람은 Mike Trout Nipple Exposed in Rookie Hazing을 참조.[28] fWAR과 bWAR 모두 해당되며 fWAR 10.1, bWAR 10.5로 현재까지 MLB 루키 시즌에 WAR 10을 넘긴 유일한 사례.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마이크 트라웃]]}}}{{{#!if external != "o"
[[마이크 트라웃]]}}}}}}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r373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s-3|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마이크 트라웃?from=373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마이크 트라웃]]}}}{{{#!if external != "o"
[[마이크 트라웃]]}}}}}}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r373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s-3|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이크 트라웃?from=373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마이크 트라웃]]}}}{{{#!if external != "o"
[[마이크 트라웃]]}}}}}}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r3737]]}}}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9db4d69d-d743-4362-aa07-72db2e371f01#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이크 트라웃?from=3737|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마이크 트라웃]]}}}{{{#!if external != "o"
[[마이크 트라웃]]}}}}}}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60c42aa1-c579-40f6-ba92-08aa05cfed5e|r4598]]}}}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uuid=60c42aa1-c579-40f6-ba92-08aa05cfed5e#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이크 트라웃?from=4598|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if external != "o"
[[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uuid=d3248bef-c8f3-4fd1-a41e-213b9544f1b5|r576]]}}}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uuid=d3248bef-c8f3-4fd1-a41e-213b9544f1b5#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마이크 트라웃/선수 경력?from=576|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