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9 09:30:31

마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과(Dioscoreaceae)에 대한 내용은 마(식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시아 전통의상
한국
한복
한족
한푸
일본
기모노
인도·방글라데시·네팔
사리
몽골
태국
쑤타이
미얀마
론지
북방 유목민
호복
유대인·이스라엘
키파


파일:attachment/666.jpg
장쩌민조지 부시. 이들이 입고 있는 의상은 마과가 아니라 개량형인 탕좡이다.
1. 개요2. 역사3. 기타

1. 개요

마괘, 馬掛.
만주어: ᠣᠯᠪᠣ(Olbo, 올보)

중국 만주족전통의상이였으나 청나라 때 널리 퍼져 중국 전통의상의 대표적인 옷이 되었다. 인민복 주로 남자들이 많이 입고 나오긴 하나 여자들도 많이 입는 의상이다.

한복의 부속 중 하나인 마고자와 그 용도가 비슷한데, 마고자의 유래가 바로 마과이다.

2. 역사

청나라남자들이 기마시 장삼 위에 착용하던 보온용 단상의였으나, 베이징으로 수도를 옮긴 이후부터는 팔기사병만 착용할 수 있었다.[1] 강희제(1661-1722) 시기에는 부유한 사람만 착용이 가능한 옷이었으나, 옹정제(1722-1735) 이후에는 일반 백성도 입을 수 있게 되었다.[2] 순치제 치세나 강희제 치세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일반 한족 백성들이 마과를 입고 나온다면 이는 창작물의 반영 오류이며, 만약 실제 순치제나 강희제 때의 청나라에서 그런 일이 일어났다간 청나라의 지배민족인 만주족의 기득권에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엄히 다스려졌을 것이다.

신해혁명 이후 대륙 중화민국 시기에는 중산복과 함께 정장으로 취급되었다. 흔히 근대 상하이를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인 마과에 중절모 조합이 이 시기에 주로 입었던 의상이다.

지금 중국에선 전통 마과는 만주족 전통문화 축제나 청나라 배경 사극 촬영을 제외하면 거의 볼 수 없게 되었고 전통 장삼(시지갼)이 치파오로 개량된 것처럼 마과도 탕좡(唐裝)이란 옷으로 개량되었다. 마과와 비슷하나 장삼 위에 입지 않고 몸통 부분이 대체적으로 더 긴 편. 중국 무술인들이나 중국집 마스코트 인형 등이 입고 있는 옷도 사실 마과가 아니라 탕좡이다. 베이비스타의 과거 캐릭터가 탕좡을 입고 있었다.

3. 기타

파일:황마과.jpg
청나라 황실이 배경인 드라마나 영화에서 황색마과가 자주 나온다. 황색마과는 아무나 입을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다. 중앙고위관료나 승전한 장군이 하사받을 수 있었다. 고관이 아니어도 황제의 친위대인 대내시위들은 모두 황색마과를 입었다. 하지만 하사받은 권신과는 달리 이들은 황제를 호위하는 직무를 수행할 때만 입을 수 있었고 평상시에는 입을 수 없었다.

연갱요, 보르지기트 셍게린첸, 이홍장, 증국번, 좌종당, 차오쿤 등의 고관이 황색마과를 받았다. 거상 호설암은 군량미를 기부해서 황색마과를 받았다.

패전하면 자격을 회수당하기도 했다. 이홍장은 받았다가 패전해서 회수당했고 승전해서 다시 받았다.

태평천국의 난을 도운 영국군 지휘관 찰스 조지 고든도 받았다.

하지만 가경제 시절에는 공훈이 특별하지 않아도 황색마과를 받는 경우가 많았다. 서태후도 함부로 황색마과를 하사했다.


[1] 한족들에게 만주족의 의상을 강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한족들의 옷이 만주족과 100% 완전히 똑같아지면 한족을 피지배 민족으로 차별하기가 상대적으로 곤란해질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인 듯하다.[2] 옹정제만주 귀족이나 한족 지주 같은 기득권에게는 문자의 옥으로 엄히 다스리는 등 여러모로 무자비했으나, 일부 농민들에게 벼슬을 내리기도 하고 지방 백성들에게도 깊은 마음을 쓰는 등 일반 백성들에게는 성군이었음을 감안하면 일종의 기득권 견제책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