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2:48:54

더미:346161848464646464646188184543464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임진왜란 (일본군 대규모 상륙), 일본군 진격 시기
1592년 <colcolor=#f0ad73,white>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日] · 율포 해전[朝] · 금화 전투[日]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 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길주성 전투[日] · 독성산성 전투[朝]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3년
1월
제4차 평양성 전투[朝明]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전투/상주 전투[朝] · 행주 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전선 고착화 및 국지전 시기, 정유재란 (일본군 대규모 재상륙)
1593년
6월
제2차 진주성 전투[日]
1594년
3월
제2차 당항포 해전[朝]
7월
거제도 진공작전[朝]
1597년
2월
부산 진공작전[朝]
3월
기문포 해전[朝]
6월
가덕도 해전[朝]
7월
칠천량 해전[日]
일본군 진격 시기
1597년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성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제1차 석주관 전투[日]
사로병진책, 조명연합군 진격 시기
1597년
11월
제2차 석주관 전투[日]
12월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제1차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제2차 울산성 전투[朝明]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 ||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
蔚山 慶尙左兵營 奪還 戰鬪
<colbgcolor=#C00D45,#01454F><colcolor=#f0ad73,white>
파일:울산병영성 항공사진.jpg

▲ 전투가 벌어졌던 당시 울산병영성의 현재 모습
시기 1597년 12월 22일
장소

조선 경상도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및 약사동 일원
원인 가토 기요마사울산도호부 점령
교전국 <rowcolor=black> 조선-명 연합
(공세)
일본
(수세)
주요 인물
조선 지휘관

파일:조선 어기.svg 불명
지휘관

파일:가토 가몬.svg 불명
명 지휘관

파일:명나라 국기.png 양호
파일:명나라 국기.png 양등산
파일:명나라 국기.png 파새
파일:명나라 국기.png 이여매
병력 연합군: 8300명 이상 불명
피해 피해 없음 400여명 사망
결과 조명연합군의 승리
영향 조명연합군의 좌병영 확보

1. 개요2. 상세3.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1597년 12월 23일 조명연합군과 일본군이 벌인 전투.

2. 상세

1597년 12월 22일 조명연합군은 경주를 완전탈환한 후 다음날인 23일 울산 경상좌도 병영 일대의 일본군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로 일본군 400여명이 사망하였으며, 명나라군의 전사는 없었다. #
지난해 12월 22일 경리가 제독과 함께 대병을 거느리고 경주에서 전진하여 23일에 좌병영의 옛터에서 적을 유인하여 교전하였습니다. 좌협 부장(副將) 이여매(李如梅)는 군사를 나누어 복병을 배치하고, 참장 양등산(楊登山), 유격 파새(擺賽)는 병사를 나누어 적진에 돌격하여 4백여 과(顆)의 수급을 베었으나 관병은 한 명도 사상자가 없었습니다.
선조실록 107권, 선조 31년 12월 4일 을묘 4번째기사 中#

3.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