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화베이 | | |
| 둥베이 | | ||
| 화둥 | 직할시 | | |
| 장쑤성 | | ||
| 저장성 | | ||
| 안후이성 | | ||
| 산둥성 | | ||
| 장시성 | | ||
| 푸젠성 | | ||
| 중난 | 광둥성 | | |
| 하이난성 | 싼야 | ||
| 허난성 | | ||
| 후베이성 | | ||
| 후난성 | | ||
| 광시좡족자치구 | | ||
| 특별행정구 | | ||
| 시난 | | ||
| 시베이 | | ||
| 건설 중 표시는 현재 건설중인 도시 | |||
| <colcolor=#ffffff> 다롄 지하철 大连地铁 Dalian Metro | |
| | |
| <colbgcolor=#26267a> 지역 |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
| 총 연장 | 237.07km |
| 역 수 | 107 |
| 개통일 | 2003년 5월 1일 |
| 운영사 | 다롄지하철운영유한공사 |
| 다롄 지하철 노선도 |
1. 개요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에서 운행하는 지하철이다.2017년 6월 7일부터 중국 최초로 열차와 승강장에서 표준중국어/영어 뿐만아니라 일본어, 한국어, 러시아어 다국어 안내방송도 송출한다.[1] 안내방송 성우는 불명이다.
로고가 서울교통공사 로고와 비슷하게 생겼다.
2. 역사
| 중국 다롄 지하철 개통 역사 |
1987년부터 지하철을 건설하기 위해 구상을 했지만 승인이 되지 않았고 20년가량이 흐른 2003년 5월 1일, 3호선을 시작으로 운영을 시작했다.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수요에 따라 건설되므로 노선 순서대로 개통되지 않았다.
2009년 1호선 건설을 승인받아 2010년에 1호선 공사에 들어가 2015년 10월 30일에 영업을 개시했다.
3. 운임
1,2호선과 3호선의 요금체계가 다른데, 3호선의 경우 구간요금제를 채택하며 기본 ¥1이다.| 다롄지하철 운임체계 (성인 편도 1,2호선 기준)[2] | ||||||||
| 거리 | 6km 이하 | 6km ~ 12km | 12km ~ 18km | 18km ~ 26km | 26km ~ 34km | 34km ~ 44km | 44km ~ 54km | 54km 초과 |
| 요금(元) | ¥2 | ¥3 | ¥4 | ¥5 | ¥6 | ¥7 | ¥8 | ¥1 /15km마다 |
4. 노선별 분류
4.1. 운영중인 노선
| 노선명 | 최초 개통일 | 기점 | 종점 | 길이(㎞) | 역수 | 비고 |
| ● 다롄 지하철 1호선 | 2015년 10월 30일 | 야오자 | 허커우 | 25.46km | 22 | |
| ● 다롄 지하철 2호선 | 2015년 5월 22일 | 다롄베이역 | 하이즈윈역 | 37.97km | 29 | |
| ● 다롄 지하철 3호선 | 2003년 5월 1일 | 다롄역 | 진스탄 | 25.46km | 22 | |
| ● 다롄 지하철 3호선 지선 | 2008년 12월 28일 | 카이파취 | 주리 | 14.3km | 7 | |
| ● 다롄 지하철 5호선 | 2023년 3월 17일 | 후탄신구 | 허우관 | 24.48km | 17 | |
| ● 다롄 지하철 12호선 | 2014년 5월 1일 | 허커우 | 뤼순신강 | 42.7km | 8 | |
| ● 다롄 지하철 13호선 | 2021년 12월 28일 | 주리역 | 푸란뎬 젠싱 거리 | 43.1km | 11 | [3] |
4.2. 건설중인 노선
| 노선명 | 예정 | 기점 | 종점 | 길이(㎞) | 역수 | 비고 |
| ● 다롄 지하철 4호선 1단계 | 2026년 | 잉청쯔 | 쑤오위완 | 23km | 17 | |
| 다롄 지하철 7호선 | 2027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