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도시철도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화베이 | 베이징 · 톈진 · 스자좡 · 후허하오터 · 타이위안 | |
둥베이 | 선양 · 다롄 · 하얼빈 · 창춘 | ||
화둥 | 직할시 | 상하이 | |
장쑤성 | 난징 · 쑤저우 · 우시 · 창저우 · 쉬저우 · 난퉁 | ||
저장성 | 항저우 · 닝보 · 진화 · 원저우 · 사오싱 · 타이저우 · 자싱 | ||
안후이성 | 허페이 · 우후 | ||
산둥성 | 칭다오 · 지난 | ||
장시성 | 난창 | ||
푸젠성 | 푸저우 · 샤먼 | ||
중난 | 광둥성 | 광저우 · 선전 · 포산 · 둥관 | |
하이난성 | 싼야 | ||
허난성 | 정저우 · 뤄양 | ||
후베이성 | 우한 | ||
후난성 | 창사 | ||
광시좡족자치구 | 난닝 | ||
특별행정구 | 홍콩 · 마카오 | ||
시난 | 청두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12px-CRT_Logo.svg.png 충칭 · 쿤밍 · 구이양 | ||
시베이 | 시안 · 우루무치 · 란저우 | ||
건설 중 표시는 현재 건설중인 도시 |
<colcolor=#fff> 厦门地铁 Amoy Transit Rail 샤먼 궤도교통 | ||
<colbgcolor=#d50c30> 지역 | 중국 푸젠성 샤먼시 | |
구성 노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
총 연장 | 98.4km | |
역 수 | 70 | |
최초 노선 개통일 | 2017년 12월 31일 | |
운영사 | 샤먼궤도건설발전집단 | |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노선도 |
1. 개요
중국 푸젠성 남부 샤먼시의 도시철도이다. 2017년 12월 31일에 1호선이, 2019년 12월 25일에 2호선, 그리고 2021년 6월 25일에는 3호선이 개통되어 현재 3개 노선이 운행 중에 있다.2. 요금
<rowcolor=#ffffff> 샤먼 궤도교통 운임체계 (성인 편도 기준) | |||||||
거리 | 기본4km 이하 | 4km ~ 12km | 12km ~ 18km | 18km ~ 28km | 28km ~ 43km | 43km 초과 | |
요금(元) | ¥2 | ¥1 / 6km마다 | ¥1 / 10km마다 | ¥1 / 15km마다 | 상한없이 ¥1 /20km 마다 | - |
샤먼에서 사용되는 교통카드는 민난(闽南)지역[1]에서 사용되는 易通卡(E tongka)이다. 2004년 5월 출시되었다.
3. 노선
3.1. 운영중인 노선
샤먼 궤도교통 운행 노선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rowcolor=#ffffff> 노선명 | 최초 개통일 | 기점 | 종점 | 운영 길이(㎞) | 역수 |
● 1호선 | 2017년 12월 31일 | 옌네이 | 전하이로 | 30.3 | 24 |
● 2호선 | 2019년 12월 25일 | 우위안완 | 톈주산 | 41.6 | 32 |
● 3호선 | 2021년 6월 25일 | 샤먼기차역 | 차이춰 | 26.5 | 31 |
3.2. 건설중인 노선
<rowcolor=#ffffff> 노선명 | 개통 예정연도 | 길이 | 역수 |
● 4호선 | 2026년 | 69.6 | 12 |
● 6호선 | 2025년 | 32.9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