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화베이 | | |
둥베이 | | ||
화둥 | 직할시 | | |
장쑤성 | | ||
저장성 | | ||
안후이성 | 허페이 · | ||
산둥성 | | ||
장시성 | | ||
푸젠성 | | ||
중난 | 광둥성 | | |
하이난성 | 싼야 | ||
허난성 | | ||
후베이성 | 우한 | ||
후난성 | | ||
광시좡족자치구 | | ||
특별행정구 | | ||
시난 | | ||
시베이 | | ||
건설 중 표시는 현재 건설중인 도시 |
<colcolor=#fff> 福州地铁 Fuzhou Metro 푸저우 지하철 | |
| |
<colbgcolor=#079445> 지역 | |
구성 노선 | ● 푸저우 지하철 1호선 ● 푸저우 지하철 2호선 ● 푸저우 지하철 3호선 ● 푸저우 지하철 4호선 ● 푸저우 지하철 5호선 ● 푸저우 지하철 6호선 ● 푸저우 지하철 7호선 ● 푸저우 지하철 F1선 |
총 연장 | 143km |
역 수 | 총 100개 |
최초 개통일 | 2016년 5월 18일 |
궤간 | 1435mm |
전기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신호장비 | ATC |
통행방향 | 오른쪽 |
운영사 | 푸저우지하철집단 푸저우중뎬커궤도교통(2호선) |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福州地铁 | Fuzhou Metro |
[clearfix]
1. 개요
중국 푸저우 지하철 개통 역사 |
2016년 5월 18일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2023년 현재 5개 노선이 운행중이다.
2. 노선
푸저우 지하철 운행 노선 | |||
| | 3호선 | |
| | 7호선 | |
노선명 | 최초 개통일 | 기점 | 종점 | 길이(㎞) | 역수 | 비고 |
● 푸저우 지하철 1호선 | 2016년 5월 18일 | 샹펑 | 싼장커우 | 29.8 | 25 | 전구간 지하 |
● 푸저우 지하철 2호선 | 2019년 4월 26일 | 수양 | 양리 | 30.63 | 22 | 전구간 지하[1] |
● 푸저우 지하철 4호선 1구간 | 2023년 8월 27일 | 펑황츠 | 디펑장 | 24 | 19 | 전구간 지하 |
● 푸저우 지하철 5호선 1구간 | 2022년 4월 29일 | 징시호우위 | 뤄저우구전 | 22.4 | 17 | 전구간 지하 |
● 푸저우 지하철 6호선 1구간 | 2022년 8월 28일 | 판둔 | 완쇼우 | 31.3 | 14 | 전구간 지하 |
2.1. 공사중
노선명 | 예정 개통년도 | 기점 | 종점 | 길이(㎞) | 역수 | 비고 |
● 푸저우 지하철 F1선[2] | 2025년 | 푸저우기차역 | 원링 | 62.4 | 13 | 일부 지하 |
[1] BOT 방식으로 건설되어 별도 운영사인 푸저우중뎬커궤도교통이 운영중이며 최대주주는 푸저우지하철집단이고 나머지 지분은 중국전자과기집단, 중철전기화국집단 등이 보유하고 있다.[2] 푸저우역과 푸저우 창러 국제공항을 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