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00:27:30

나우루항공

나우루 항공에서 넘어옴

오세아니아의 플래그 캐리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프랑스 원형.pn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나우루항공 로고.svg파일:나우루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칼린 로고.svg파일:에어칼린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svg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바누아투 로고.svg파일:에어 바누아투 로고 화이트.svg
파일:사모아 항공 로고.svg파일:사모아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파일:프랑스 원형.png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솔로몬 항공 로고.svg파일:솔로몬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뉴기니 로고.svg파일:에어 뉴기니 로고 화이트.svg
파일:피지 항공 로고.svg파일:피지 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타히티 누이 로고 가로형.svg
파일:콴타스항공 로고.svg파일:콴타스항공 로고 화이트.svg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파일:에어 키리바시 로고.svg파일:에어 키리바시 로고 화이트.svg
파일:에어 마셜 아일랜드 로고.svg파일:에어 마셜 아일랜드 로고 화이트.svg
}}}}}}}}} ||
||<-3><tablealign=right><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12D66><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212D66><colcolor=#fff> 나우루항공
Nauru Airlines
||
파일:나우루항공 로고.svg파일:나우루항공 로고 화이트.svg
<colbgcolor=#212D66>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우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우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우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일 1969년 9월 17일
운항 개시 1970년 2월 14일
보유 항공기 수 7(+1)
취항지 수 7
허브 공항 나우루 국제공항
런치 커스터머 포커 F28-1000
모회사 나우루 정부
항공 동맹 미가입
마일리지
부호 <colbgcolor=#212D66> 콜사인 AIR NAURU
IATA ON
ICAO RON
항공권 식별번호 123
슬로건 Airlines of the Central Pacific
링크 파일:나우루항공 로고.jp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able bordercolor=#212D66><tablewidth=100%><nopad> 파일:98796_1647589016.jpg ||
보잉 737-79L[1]
1. 개요2. 역사3. 운항노선4. 보유 항공기5. 여담

1. 개요

나우루의 국영항공사

주로 오세아니아에 취항하고 허브 공항나우루 국제공항이 있다.[2]

본사는 나우루브리즈번에 있다. 이전 명칭은 아워 항공(Our Airlines) 이다.

2. 역사

  • 1970년 2월 14일에 에어 나우루란 이름으로 설립되어 브리즈번까지 다쏘 팔콘 20 전세기로 부정기 운항을 시작했다. 최초 정기 노선은 1972년에 포커 28 항공기가 등록기호 C2-RN1로 인도되면서 시작됐다. 1975년 보잉 737-200기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976년 6월 16일에 보잉 727-100기를 운항하기 시작했다. 1994년 보잉 737-400을 도입하여 보잉 737-200을 대체했다. 그러나 인광석이 고갈되며 나우루의 경제가 몰락하자 90년대부터 나우루 정부에 의해 여러번 운항을 당하기 시작했으며 2005년 유일한 비행기였던 보잉 737-400이 압류당하고 말았다.[3] 이듬해인 2006년, 대만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명을 아워 항공(Our Airlines)으로 바꾼뒤 보잉 737-300을 중고로 도입해 다시 운항을 시작했다. 2014년 8월 1일에 아워 항공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3. 운항노선

  • 2024년 1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운행노선 (국제선)
출발공항 도착공항 운행 횟수 항공사
나우루 국제공항 브리즈번 공항 오스트레일리아 일요일, 1회 나우루항공
난디 국제공항 피지
팔라우 국제공항 팔라우
본리키 국제공항(타라와) 키리바시
캐시디 국제공항(크리스마스 섬)
마주로 마셜 국제공항 마셜 제도
폰페이 국제공항 미크로네시아
  • 결국 인광석이 고갈된 이후로는 적자 누적을 견디지 못하고 전성기에 5대에 달하던 보잉기도 하나 둘 팔아치우는 신세가 되었다. 마지막 남은 보잉기마저도 2005년 채권자에게 압류되어 외부와의 항공교통이 두절되는 등 곡절을 겪다가 현재는 대만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름을 바꾸고 보잉 737-300 2대, 737-300 화물기 2대 및 보잉 737-700 1대로 근근히 운항하고 있다. 다만 기체 등록번호는 호주식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런 지원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나우루가 대만의 몇 안 되는 수교국이었기 때문. 주 1회, 일요일 호주 브리즈번 공항에서 나우루행 비행기를 탈 수 있는데, 수요가 적어서 항공료는 꽤 비싼 편. 그나마 정부에서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반값 요금을 받고 있는데 그마저도 100만 원이 넘는다.
  • 나우루에 입국하려는 외국인들은 브리즈번 공항에서 비자를 받아야 한다. 왕복 항공권 발권 시 입국비자 가능. 다만 한국인의 경우는 EU,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위스, 일본 등 국적자 등과 더불어 범죄 기록 제출 면제가 가능하다.

4. 보유 항공기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나우루항공/보유 기종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총 7기를 보유하고 있는데 모두 보잉 737기이다.

5. 여담

파일:EeODID5VAAEffTO.jpg
[1] 신도장 적용 기체.[2] 유일하게 나우루에 취항하고 있다.[3] 그 탓에 사람들은 배를 교통 수단으로 써야 했다고 한다.[4] 과거에는 코로나 관련 물품 수송을 위해 들어왔으며, 코로나가 어느 정도 종식된 현재도 가끔씩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