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5:09:46

나가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인도의 문자에 대한 내용은 데바나가리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인도의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상세3. 용례

1. 개요

일본어에서 '무효'라는 의미를 가진 나가레([ruby(流,ruby=なが)]れ)에서 유래한 어휘. '나가리 됐다'고 주로 쓰인다.

2. 상세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BA0000> 파일:화투1.png화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A0000><colcolor=#FFF> 화투 게임
고스톱 고스톱(맞고) · 민화투 · 삼봉 · 코이코이
섰다 가보잡기 · 도리짓고 땡 · 불붙이기 · 섰다
재수 갑오떼기 · 삼각산 · 월떼기
기타 나이롱뽕 · 돼지잡기 · 메모리[범용] · 월남뽕
화투 용어
목록 갑오 · (쓰리고 · 포고) · 고도리 · 기리 · 나가리 · 낙장불입 · (고박 · 광박 · 독박 · 피박) · 밤일낮장 · 비풍초똥팔삼 · (자뻑) · 이노시카쵸 · 일타쌍피 · 장땡 · · 총통 · · 화투 섞기
화투 패 구성
(1) · 만막(3) · 만월(8) · 봉황(11) · 오노노 도후(12, 비광)
열끗
고도리
휘파람새(2) · 두견새(4) · 기러기(8)
이노시카쵸
나비(6) · 멧돼지(7) · 사슴(10)
기타 열끗
야츠하시(5) · 사카즈키(9, 쌍피 전환 가능) · 제비(12)
홍단(1, 2, 3) · 초단(4, 5, 7, 12?) · 청단(6, 9, 10)
일반 피
22장
쌍피
사카즈키(9, 열끗 전환 가능) · 오동(11, 열끗인 경우 존재) · 지옥문(12) · 보너스 패(0 ~ 6장, 2 ~ 3점)
기타 화투 관련 문서
관련 인물
디자이너
우장춘
기타
관련 기업 닌텐도
관련 작품 타짜(만화) · 타짜(영화) · 타짜: 신의 손
[범용] 다른 게임 카드 사용 사례가 있다. }}}}}}}}}

고스톱에서 아무도 3점(맞고 7점)을 내지 못했거나 '고'를 선언한 참여자가 마지막에 스톱을 선언할 수 있는 점수를 내지 못한 경우 판이 무승부가 되는데, 이를 '나가리'라고 한다. 판이 나가리가 되면 다음 판은 2배의 배율이 적용된다.[1]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계획이나 약속이 무산되었거나 특정 대상이 배제되었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 되었다.

표준어가 아니기 때문에 국립국어원에서는 '허사(헛일)', '무산', '무효', ‘유찰’ 또는 ‘깨짐’ 등으로 다듬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

3. 용례

  • 영화 신세계에서 강형철"아아... 이러면 완전히 나가리인데..." 라는 명대사가 있다. 그리고 그 직후...
  • 술 게임에서 "이번 판은 나가리입니다.[2] 다음 판을 기대하세요. ([빠르게] 어이!어이!어이!) 다음 판도 나가리면 소주 한 병 원샷입니다. ([빠르게] 어이! 어이! 어이!)"라는 대사가 있다.
  • 박성호[3]는 "나가리는 깨어지거나 취소된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 플라워 파이트 용어다. 판이 나가리가 난다는 것은 곧 판이 깨어진다는 뜻"이라고 풀이하였다.
  • 비리로 잘 먹고 잘 살던 사람이 걸려서 나가리되면 쌤통이라 카더라.
  •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한때 친구들 사이에서 잘 나갔다가 소외되는 현상을 '나가리 당하다'라고 말했고 그 소외된 대상을 '나가리'라고 부르기도 했다.
  • 개그콘서트 코너 중 바니바니에서 박은영이 '나가리'란 가명을 사용하고 있다.


[1] 피망 고스톱류의 경우 2인 이상 총통이거나 바닥패가 총통일 때도 나가리로 처리한다.[2] 그러니까 이번 게임은 그냥 없던 것처럼 흘러 보내고, 재시합을 하자는 의미.[3] 장르 소설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