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6:20

가야고분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20deg, #fff 5%, #000 5%, #000 9%, #fff 9%, #fff 10%, #000 10%, #000 14%, #fff 14%, #fff 15%, #000 15%, #000 19%, #fff 19%, #fff 81%, #cd313a 81%, #cd313a 90%, #0047a0 90%)"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문화유산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화성

경주역사
유적지구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
유적지구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가야고분군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221e1f,#fff> 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colcolor=#fff> 가야고분군
Gaya Tumuli
Tumuli de Gaya
국가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위치 대성동 고분군 <colbgcolor=#fff,#1f2023>경상남도 김해시
지도 [ 펼치기 · 접기 ]
말이산 고분군 경상남도 함안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옥전 고분군 경상남도 합천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지산동 고분군 경상북도 고령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송학동 고분군 경상남도 고성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지도 [ 펼치기 · 접기 ]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경상남도 창녕군
지도 [ 펼치기 · 접기 ]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666
등재연도 2023년
등재기준 (iii)[1]
파일:external/photom.imaeil.com/1.38395405331E+1354001.jpg
고령 지산동 고분군

1. 개요2. 목록3. 여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 가야의 무덤 문화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이다. 해당 고분군들은 각 가야 중심지에 위치한 구릉에 오랜 기간에 걸쳐 조성된 가야의 최상위 지배층의 무덤들로 가야 연맹을 구성했던 각 정치체의 존재와 위세를 명확히 보여주는 유적이다.

또한 고분에서 발굴된 가야식 석곽묘와 토기를 비롯한 부장품은 동일한 문화를 공유한 가야 연맹의 전체적인 지리적 범위를 알려 주고, 이들 사이의 세부적 차이는 각 구성국의 범위와 독자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대등한 수준의 부장품은 가야 연맹이 자율성을 가진 수평적 관계였음을 보여준다.[2]

2023년 5월 11일 유네스코에서 가야고분군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 권고가 내려져 등재가 확실시 되었고, 2023년 9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3]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대성동 고분군

말이산 고분군

옥전 고분군

지산동 고분군

송학동 고분군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

※ 순서와 영문 명칭은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했다.

3. 여담

  •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한국의 세계유산은 총 16건으로 늘었으며 경상남도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통도사(2018년), 남계서원(2019년)에 이어 4번째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 2013년 12월 11일에는 김해·함안 가야고분군이 12월 17일에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이 각각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이후 2018년 5월 14일 가야고분군 유산범위 확대 추진 결정에 따라 남원, 합천, 창녕, 고성의 고분군이 추가되어 2019년에 '가야고분군'이라는 명칭으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으며 2023년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현재에 이른다.
  • 함안군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확정되는 9월 이전에 이미 등재가 사실상 확정인 것으로 여겨 2023년 9월 초 미디어 아트를 열어 축하 분위기를 연출했다.
  • 등재 당시 유네스코는 유산과 완충구역, 특히 경남 창녕의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사이로 난 도로로 인한 영향을 완화하라고 권고했다.# 해당 도로의 이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 다른 가야의 주요 고분 중 부산광역시 복천동 고분군, 연산동 고분군, 가야권 고분군인지 논란이 있는 성주 성산동 고분군은 등재되지 않았으며 장수 삼봉리·동촌리 고분군 또한 제외되어 전북연구원은 차후 장수 가야 고분군 추가 등재 신청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고구려, 백제, 신라에 이어 가야의 유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됨으로써 한반도의 고대 국가 중 네 번째로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한국사의 고대 국가 중 관련 유적이 세계유산에 등재되지 못한 국가는 고조선, 부여, 탐라, 우산국 등이 있다. 다만 고조선은 현재의 북한 지역과 중국 영토에, 부여는 현재의 중국 영토에 있던 국가로 현재 대한민국의 지배권 밖에 있으므로 등재 신청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탐라국과 우산국은 모두 대한민국에 포함되는 지역에 위치하며 일부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그 수가 적고 여전히 베일에 쌓인 국가라는 인식이 강해 더욱 획기적인 발견이 없다면 아마 등재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가야고분군 통합 관리 센터 건립이 추진 중이며 경북, 경남 등의 지자체가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

4. 관련 문서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가야 구성국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전히 학계에서 '가야 연맹설'과 '가야 제국(諸國)설'이 대립 중이다. 앞으로의 연구에 따라 가야계 소국들 간의 관계도가 더욱 명확히 그려질 전망이다. 자세한 내용은 가야 문서 참고 바람.[3] 2023년 9월 10일~9월 24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