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1:01:28

Geometry Dash/문제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eometry Dash
파일:Geometry Dash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게임 요소
파일:icon-kit.png 아이콘킷(레퍼런스) · 파일:gmd-achivements.png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
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GDDLadder · GDDP · NLW Spreadsheets · ILL · 관련 사이트
· 용어(소고기 · 입지메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모더레이터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역사(10주년)
공식 컨텐츠
파일:EasyGMD.png 스테이지(The Tower) · 파일:MapPackFolderGMD.png 맵팩 · 파일:DemonGauntletIcon.png 건틀렛
파일:DailyLevelGMD.png 데일리 레벨 · 파일:weekly.png 위클리 데몬 · 파일:gdevent.png 이벤트 레벨(NCS x Geometry Dash)
온라인 레벨
파일:gmdcp.png 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파일:GD_플레이버튼.png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개별 문서)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
난이도 구분
파일:EasyDemonGMD.png Easy(개별 문서) · 파일:MediumDemonGMD.png Medium(개별 문서) · 파일:DemonGMD.png Hard · 파일:InsaneDemonGMD.png Insane(개별 문서) · 파일:ExtremeDemonGMD.png Extreme(개별 문서)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AREDL · 챌린지 · 플랫포머
연동 게임
기타
RobTopGames · Mega Hack · Geode(CBF)


1. 개요2. 어려워지는 크리에이팅3. 유/무명인의 격차가 좁혀지기 어려운 시스템4. 유저 문화
4.1. 성숙하지 못한 유저층4.2. 핵 사용4.3. 저열한 저작권 인식
5. 부적절한 레벨6. 업데이트 관련7. 난이도 표기8. 물리엔진 패치로 인한 커스텀 레벨의 버그9. 서버 관련 문제

1. 개요

Geometry Dash의 문제점을 다루는 문서.

2. 어려워지는 크리에이팅

예전에 비해 요구되는 커스텀 레벨의 완성도가 크게 까다로워졌다. 게임 초기만 해도 블럭과 여러 장애물들로 게임플레이를 만들고 장식을 조금 넣어주는 정도가 끝이었기 때문에, 맵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오브젝트가 순수하게 게임플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추후 1.9, 2.0, 2.1 세 번에 걸친 업데이트를 통해 색상 설정의 한계치가 높아지고, 여러 기능을 지정하는 트리거가 다량으로 출시되면서 크리에이팅의 자유도가 크게 발전했다. 이에 유저들이 우수한 레벨 디자인과 트리거들을 곁들여 더욱 더 높은 수준의 레벨들을 제작하게 되었다.

무후광 레이팅이라도 받기 위한 기본적인 레벨 디자인의 수준도 크게 높아졌다. 여기서 한 단계 발전한 피쳐드나 에픽은 크리에이팅에 숙련되지 않으면 매우 받기 힘들다.

실제로, 길어야 주 단위마다 레벨을 내어 레이팅을 받을 수 있었던 2.0 이전과 달리 2.1 중반에 들어서는 이정도면 제작 속도가 빠르다는 호평을 들으며, 레벨에 너무 많은 정성을 쏟은 나머지 제작 기간이 몇년이나 되는 레벨들도 생기게 되었다. 개개인이 부담없이 제작해서 빠르게 레벨을 출시했던 2.0 이전과 비교하면 많이 무거워졌다. 1.9~2.0에 유행하기 시작한 합작이 대중화된 것도 이러한 점 때문 아니냐는 시각 또한 존재한다.

출시 주기 뿐만이 아닌, 오브젝트 사용량 역시 크게 변화했다. 긴 길이와 꽉 찬 배경을 가진 Death Moon 정도를 제외하면 3만 오브젝트를 넘어갈 일이 없었던 1.9버전에 비해, 2.1에 들어서는 몇 십만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몇몇 레벨들은 소위 LDM(Low-Detailed Mode)이라고 하는 자체 오브젝트 경량화 트리거를 넣기도 하지만, LDM을 켜도 렉이 걸리는 경우까지 발생해 작정하고 ULDM[1]까지 넣기도 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를 하고 싶어도 컴퓨터 및 휴대폰 사양이 부족해 레벨을 플레이하지 못하는 웃지 못할 일들이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공식 포럼에서는 Bypass 유저들이 제 주사율을 뽑을 수 있도록 공식적으로 인증한 LDM 버전을 서버에 공유하기도 한다. Butiti 3 등이 그 예시.
이에 따라 오브젝트를 지나치게 사용하기보다 오브젝트를 효율적으로 쓰면서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크리에이터들이 재평가 받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크리에이팅 입문 장벽을 줄이기 위해 크리에이터들이 자체 크리에이팅 강좌나 팁, 피드백을 올리는 시도도 있었고, 2020년까지도 신인들이 조금씩이지만 꾸준하게 나오고 있다.

2.2 업데이트를 거치고 나서는 트리거의 다양화와 방향 전환, 카메라, VFX, 셰이드 등의 시스템의 도입으로 순수 진입장벽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졌지만, 퀄리티를 뽑아내기는 더 쉽게 되었다. 카메라 워킹만 적절히 활용해 주어도 맵에 맞는 적당하면서 좋은 이펙팅을 만들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오토 빌드의 도입 또한 크리에이팅의 시간을 단축해 주었다.

3. 유/무명인의 격차가 좁혀지기 어려운 시스템

유명인의 맵에 대한 접근성이 무명인의 맵에 대한 접근성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유명인에 비해 무명인은 별맵을 받기 더 힘들다.[2] 롭탑 역시 무명인 맵의 존재를 알기 힘들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시스템적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제작자인 RobTopGames는 일부 유명한 유저들에게 Mod (Moderater, 통칭 '모더') 라는 권한을 주어 별이 붙을 만한 레벨을 롭탑 자신에게 추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만들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친목의 한 단계 발전한 모습이 되었다. 그 결과 예전보다는 무명인의 맵들이 별이 잘 붙게 되는 상당히 효과를 가져온 편. 이 모더들이 롭탑에게 맵을 추천해줌에 따라 좀 더 다양하고 많은 맵이 레이팅되고 있고 Viprin의 경우에는 해킹당한 유저들의 계정 복구를 위해 이 권한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롭탑이 모더들을 많이 만들다 보니 예전처럼 무명인이 모더 단 1명에게만 맵을 보내달라고 부탁해 별이 붙는다는 것은 어림도 없다. 모더들 수가 급증함에 따라 별맵 청탁도 증가하게 되고, 감당하기 힘든 롭탑은 모더들의 별맵 요청을 다 받아들이지 못하게 할 지경까지 오자 모더들의 별맵 요청이 묻히는 경우가 생겨 그 실권도 하락했다. 즉 예전에는 1명에게 부탁하면 될 것을 이제는 적어도 5명에게 부탁해야 별을 받을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다. 물론 별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지 붙는다고 100% 보장할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모더들에게 맵을 보내보면서 활발한 홍보가 필요한 것.

다만 최근에는 모더들의 활동이 뜸해졌는지, 2021년 10월 1일에 많은 모더가 모더직을 박탈당하거나, 엘더 모더에서 일반 모더로 강등되었다.

모더 시스템은 후술하는 '유저 문화' 문단과 연결된다.

2025년 6월, Robtop이 크리에이터 포인트를 가진 크리에이터의 레벨들만 Magic Tab에 표시되도록 변경하였다. 따라서 크리에이터 포인트를 가지지 않은 크리에이터들은 아무리 좋은 레벨을 만든다고 해도 알려지기가 어렵다. 부적절한 레벨들이나 스팸성 좋아요 유도 레벨들이 표시되지 않도록 이러한 조취를 취한 것으로 보이나 무명 크리에이터들의 레벨들을 알린다는 매직탭의 본래 기능을 잃어버렸다는 평이 많다.

4. 유저 문화

4.1. 성숙하지 못한 유저층

아무래도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의 연령층이 그리 높지는 않은 게임이다 보니[3], 무개념 유저층들의 비중이 낮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불법 복제 문제이다. Geometry Dash는 예나 지금이나 마인크래프트와 함께 불법 복제의 상징과도 같은 게임으로, 그 문제가 심각하다. 거기다 업데이트 시기도 느릿느릿해서 불법 복제판이 넘쳐나오는 건 물론 정품을 하고 있어도 "너도 복돌이냐?" 라는 질문이 나오고, 유튜브에선 자연스럽게 "지메대 정품 다운" 이라는 사기로 저작권 개념이 미숙한 어린 아이들을 현혹시켜 인식이 매우 나쁘다. 저작권을 잘 모르는 데다가 경제적 자유가 없어 현질을 못 하는 아이들은 불법 프로그램의 유혹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그러다가 랜섬웨어라도 걸리면... 현재는 인기의 하락과 그때 그 세대들의 성장으로 인해 많이 감소했으나, 아직도 마인크래프트와 함께 불법 복제판의 일등 공신이라 불리는 게임이다.[4]

Geometry Dash는 Google Play, App Store, Steam 외엔 정품을 배포하지 않는다. 유튜브나 구글링해서 나오는 수상한 다운로드 링크는 100% 짝퉁이거나 비정상적인 다운로드 루트임을 명심할 것. 때문에 정식으로 사는 데에 오류가 생긴 기기가 아닌 이상은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다운로드하는 앱이 아니더라도 구글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짝퉁 복제판들이 있다. 지오메트리 대시를 웹사이트로 그대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크래치에 있는 리메이크 버전을 그대로 복제하거나 엉성하게 새로 만드는 경우다. 이로 인해 일부 유튜버들이 이러한 짝퉁 게임들을 진짜 게임으로 착각하고 플레이했다가 피해를 보는 사건도 존재했다.

또 다른 문제는 Geometry Dash의 유명 레벨에서 사용된 배경음악 달려가서 Geometry Dash 관련 댓글을 도배하는 문화이다. 작곡가가 무명이거나, 그닥 유명하진 않거나 매니악하지만 퀄리티가 좋은 음악이 GD에 쓰이면 GD와 관련된 음악 등에 이 댓글이 달려 있다. 음악이 좋아하는 게임에 있다고 즐거워하는 것을 왜 욕하냐고 물을 수도 있겠지만, 지금 도배러들이 하고 있는 행동은 순수한 즐거움이라 보기 어렵다. 애초에 GD 관련 댓글으로 좋아요를 받으려는 관종들이 대다수다.[5][6] 또한 이들은 다른 맵에 같은 BGM을 쓴 유명 맵의 이름을 도배하거나 GD와 상관없는 곳을 GD 댓글으로 도배한 적도 있었다.

예를 들어서 Creo - Dimension의 경우 Black Blizzard의 BGM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 공개된 지 채 1시간도 안 지나 Creo의 영상 조회수는 순식간에 5배가 되고 댓글은 거의 10배가 되었다! 아예 Creo의 곡을 처음 쓴 KrmaL 본인이 댓글에다가 Creo한테 사과하는 글이 있을 정도. 또 다른 예시로는, Knobbelboy가 God eater[7]맵에 사용된 노래인 crystal corruption 노래를 작곡한 liaquo 아티스트에게 노래 영상에 GD 관련 댓글이 많다는 이유로 사과를 하기도 했다. 이후 Creo의 또 다른 곡인 CarnivoresSphere가 각각 유명한 데몬맵인 Digital DescentZodiac에 사용되면서 이런 행위가 늘어나고 있다.

무개념 유저들의 사이버불링 문제도 잊을 만 하면 터져나오고 있다. 이 사이버불링이 가장 극단적으로 터져나온 것이 바로 Space Gauntlet 우승작인 Abducted 사태이다. 우승 이후 소감에서 제작자인 vegtam은 기뻐하면서도 '이제 사람들이 나를 싫어할 것이다'라고 걱정했는데, 아니나다를까 이 우려는 그대로 들이맞아 Abducted가 우승한 것을 아니꼽게 본 무개념 유저층[8]이 vegtam과 Abducted의 원래 배경음악 작곡가였던 Synthion에게 비난을 퍼부어 결국 작곡가 Synthion이 Newgrounds에 업로드된 자신의 모든 곡을 내리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태는 결국 작곡가이자 크리에이터인 MrKoolTrix에게 전용 배경음악을 만드는 것을 RobTop이 직접 의뢰하고서야 끝이 났는데, 이 사태가 터진지 두 달도 안 지나서 이벤트 레벨인 Skeletal Shenanigans에도 무개념 유저층의 테러[9]가 이어져 제작자 YoReid가 이에 대한 글을 남기기도 했다.

4.2. 핵 사용

사실상 해결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로, 그 이유는 대다수의 유저가 핵을 사용할 정도로 핵이 보편화되었기 때문. 핵을 안 쓰는 사람을 찾기가 더 힘들 지경이다. 사실상 핵 프로그램이 Geometry Dash의 비공식 DLC나 모드팩 취급과 마찬가지인 상황으로, 커뮤니티에서 대놓고 핵 프로그램의 판매처를 소개하고 있고 아무도 그에 대해 비판하지 않는다. 대다수 유저들과 개발자인 RobTop조차 손을 놓은 것이나 마찬가지인 문제로, 현재는 핵을 사용한 것을 숨기지만 않으면 핵 사용을 허용하는 분위기로 커뮤니티의 여론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다.그리고 지금은 10주년 영상에 메가핵이 나왔다

사실 핵의 존재 자체는 어쩔 수가 없는 것이, 지오메트리 대시의 구조 상 핵을 막을 방법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유저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일단 깔렸다면, 그 프로그램은 조작 되는 걸 막을 수가 없다. 그래서 핵을 막을 의지가 있는 다른 게임들은 온라인 접속을 강요해서 주기적으로 유저가 프로그램을 변조했는지 확인하고, 중요한 정보는 아예 유저한테 보내주지도 않으며, 모든 중요 데이터를 서버에서 죄다 처리하는 식으로 해결한다. 당연히 이렇게 만들면 오프라인 플레이가 불가능해지고 데이터 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 면에서 지오메트리 대시는 설계부터가 오프라인 친화적이다. 유저쪽에서 거의 모든 걸 처리하고 서버로는 결과만 보내주는 방식으로,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만들어놨다. 이러니 핵이 없을 수가 있나.

게다가, 설령 핵을 막는답시고 서버랑 긴밀하게 연동되게 바꿔봤자 핵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아무리 서버가 모든 일을 다 처리한다고 해도, 일단 유저의 입력을 받기는 해야 하고, 또 그 입력을 처리한 결과값을 유저에게 보내주긴 해야 한다. 그러니 '유저의 입력을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결과값을 받아서 사운드나 그래픽 형태로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유저의 컴퓨터에 깔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렇게 유저의 컴퓨터에 깔리게 되는 프로그램은? 앞서 말했듯이 조작에 취약하다. 대놓고 코드나 리소스를 변조하는 건 감지할 수 있지만, 몰래 작동 중인 프로그램의 정보를 읽어들인다던가, 컨트롤을 유저 대신 봇이 해준다던가 하는 식으로 직접 변조를 피하며 조작질을 하면 진짜 답이 없다. 적어도 2025년 현재 시점으로선, 이런 걸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어떤 pc 게임이든 에임봇과 월핵이 있는 이유가 이거다.

이건 모든 pc 게임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한계점이다. 물론 게임사도 바보는 아니다. 현재로선 다른 유저의 신고를 받아서 핵으로 처리하거나, 입력 패턴을 분석해서 이 정도면 봇이라고 추정하거나, 안티치트 프로그램을 깔아서 유저의 컴퓨터가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일일이 감시하다가 핵을 쓰는 것 같으면 응징하거나 등등 여러 방법으로 탐지 후 사후차단하는 방식을 고안해냈다. 물론 이 모든 방법들도 우회 가능하며, 그저 핵 제작 및 사용을 까다롭게 만들 뿐이다.

여기서 지오메트리 대시는 어디까지나 홀로 플레이하는 게임이란 걸 기억할 필요가 있다. 솔로 플레이가 기본인 게임 주제에, 온라인으로 계속 연동시키고, 유저의 컴퓨터에 사실상 스파이웨어나 다름 없는 안티치트 프로그램을 깔아버리고, 계정 생성도 제한하겠다? 이렇게까지 할 이유가 없고, 이렇게 만들어버리면 오히려 일반 유저들도 불만을 토해내며 대량의 유저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지오메트리 대시의 핵 문제는 손을 놓은 게 아니라 애초부터 손을 댈 수가 없는 문제라고 보는 게 맞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핵 프로그램도 점점 발달하고 있고, 핵을 사용해 맵을 깬 사실을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해지고 있다. 이미 상위권 난이도 레벨조차 핵으로 클리어해놓고 들키지 않은 유저가 적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 지금껏 수백 개의 데몬들을 전부 핵으로 깼다는 것을 시인하거나 고발당한 유저들도 간간이 나오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매우 고질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다.[10]

이렇게 된 이유는 게임의 개발자로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게임의 빈틈을 보완해야 할 사람인 Robtop이, 애초에 업데이트를 거의 하지 않으니 유저들이 직접 게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11] 여러 핵을 만들어 유통시키고 있는 것이다. 개발자가 해야 할 일을 유저가 하고 있다.

흔히 알려진, 특히 악영향을 끼칠 위험이 높은 핵은 다음과 같으며, 여러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핵도 있다.
  • 스피드핵: 게임 속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핵이자 잘 알려진 핵. 다만 게임 속도는 느려지고 음악 재생 속도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맵이 끝나기도 전에 음악이 끝나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 공점이나 물음표, 화살표 등 음악에 반응하는 오브젝트들이 펄싱을 하지 않는다. 또한, 후에 핵으로 클리어한 영상을 올릴 때 느려진 게임 영상을 빨리감기+정상 속도의 음악을 다시 삽입하고 끝낸다면 맵이 끝나고 아이콘이 빨려들어갈때, Level Complete 효과음이 들리지 않는다![12] 이것도 어떻게든 짜집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정확하지가 않으면 적발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1.9 이후 유저들의 대처가 노련해지고 Twitch 에서 생방송하는 것이 주류가 되면서 많이 식은 핵. 현재는 아래의 노클립 핵과 함께 레벨 미리보기 용도로만 쓰이는 수준이다. 참고로 속도 조절도 안하고 그냥 바로 맵의 끝으로 달려가게 하는 핵도 있다.
  • 노클립핵: 지메대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잘 알려진 핵이며 아이콘을 무적으로 만드는 핵, 모든 히트박스를 제거해 아이콘을 죽지 않게 하고 관통하게 한다. 이 핵만 있으면 사일런트 서클이고 나발이고 죄다 노멀모드 클리어가 가능하다. 모든 장애물과 블럭을 통과하고, 심지어 중력 반전 상태로 천장에 꽂혀도 죽지 않고 블록이 있는 것처럼 계속 전진한다. 효과적이고 쉽지만, 조금이라도 아이콘이 장애물들을 통과하는 모양이 나오면 그 즉시 적발인 핵. 이 핵은 사실 진짜 핵 용도로보다는 만우절용으로 쓰거나, Insane~Extreme Demon 미리보기용이나 맵을 클리어 할 때 실수를 하거나. 기록이 날아간 경우에 더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가끔 히트박스 때문에 이 핵을 쓰지 않았는데도 썼다고 오해받는 경우도 있다.

    다만 별개로 별을 모으는 사람들의 이 핵의 사용문제는 심각한데, 빠른 별 획득을 위함과 귀차니즘으로 인해 노클립을 사용한다. 예로 Noctafly라는 리더보드 1위 유저(현재 지메에 기록돼있는 리더보드)가 일부 맵에 핵을 썼다는 게 탄로나 리더보드에서 밴을 당하였다. 더군다나 중상위권 이상 인세인, 익스트림 데몬을 뜬금없는 사람이 깬다면 의심을 당연히 받지만, 6~8성정도까지는 조용히 핵을 써서 깬다고 할지라도 깨도 의심을 받기가 어렵다. 별을 모으는 유저들에게 매우 적대시되는 핵이다. 사실 이 핵은 스피드핵 보다도 사람들이 더 많이 쓰는 핵이다.

    일부러 모든 히트박스를 없애 노클립 버전으로 올라온 맵들도 존재한다. noclip bloodbath 등이 그 예. 프레임 블록 등을 이용해 핵을 쓰지 않고도 노클립 맵을 만들 수 있는데, 이렇게 디자인이 되어있는 경우도 있고, 이렇게 레이아웃 상태인 경우도 있다. 2.2에는 no touch를 키면 오브젝트 히트박스를 핵 없이 제거할 수 있다.

    방지하는 방법도 있다. 레벨에서 배, 볼 등이 땅 바로 위에서 진행되지 않으면 땅 위에 볼 포탈을 놓고 \방향 언덕 블록을 볼 포탈 위부터 땅 속까지 깔아주면 노클립이라 죽진 않지만 거기서 무한정으로 전진하지 않는다![13][14]
  • Geometry Dash Bot(일명 GDbot): 2.1부터 생겨난 핵. 과거에는 아주 드물게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모습이 있었지만 아무래도 매크로라 그런지 오토맵과 같은 너무 정교한 플레이라 너무 쉽게 걸렸다. 하지만 지금은 GDbot이라는 지오메트리대시에 최적화된 매크로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구동 방식은 기본적으로 TAS와 같은 사람이 미리 플레이해놓은 것을 세이브시켜 로드하는 방식으로[15] GDbot을 이용해 주요 부분 또는 맵 전체를 매크로로 저장해[16] 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스트리밍이 아닌 녹화본으로 된 클리어 영상을 올리면 핵 의심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스트리밍을 하면서 여러번 직접 플레이하다 눈치채지 못하게 빠르게 매크로를 불러오는 식으로 사용해서 웬만해선 절대 알아낼 수 없다. 하지만 평소에는 반도 못 가던 맵을 갑자기 잘 클리어하면 의심을 받을 수 있어 보통 거의 클리어가 다 되어 가는 맵에 사용하는데, 또 다 클리어돼 가는 맵을 이제 와서 핵으로 클리어하면 성취감을 못 느끼니(...) 보통 수만 어템을 넘기고도 못 깰 정도의 어려운 일부 구간에만 매크로를 저장하는 식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아예 봇이 스스로 루트를 찾아서 맵을 클리어하기도 한다.[17][18] 2021년부터는 이 핵을 업커밍 인세인, 익스트림 데몬을 미리 보여주는 쇼케이스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19] 이렇게만 사용해준다면 여기 설명된 핵 중 크리에이팅 핵, 에디터 핵과 더불어 그나마 유익하게(?) 쓰이는 중.
  • 코인 파인더: 모드메뉴 APK에 있는 신종 핵으로, 코인의 위치를 알려주는 핵 위의 노클립 핵을 써서 6~8성정도를 조용히 깨는 경우와 비슷하며, 플레이어 위치와 코인 위치 사이 선을 그어준다. 맵을 뜯어서 코인을 볼 정도로 코인 모으기에 악착같은 코인 그라인더들에겐 치명적인 핵.
  • 에디터 핵: 업로드 되어 있는 레벨의 에디터를 이용해 장애물 등을 조작할 수 있다.[20] 이 핵을 사용해 영상을 올리면 거의 확정적으로 들켜서 보통은 144hz 버그 수정 등의 용도로 더 많이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 강제 복사&복사 차단: 2.2에 들어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한 핵. 비밀번호가 걸려있거나 복사가 금지된 맵을 강제로 복사하거나, 모든 맵에 자유 복사가 허용된 2.2 이후의 맵에 비밀번호를 걸거나 복사를 금지시키는 핵이 존재한다. 심지어 어느 한 쪽의 핵이 다른 핵을 무력화시키는 현상도 빈번허게 존재하기에[21] 두 핵 개발자가 서로 경쟁하며 막고 뚫는 치열한 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 이외에 가시 히트박스만 지워주는 Spike 핵, 맵의 진행도를 0퍼센트로 바꾸어주는 Uncompleted 핵[22], 맵을 베리파이하지 않아도 서버에 올릴 수 있게 해주는 Verify 핵, 모든 아이콘을 해금하게 해 주는 아이콘 핵[23], 없는 음악을 있는 것 마냥 속여서 업로드하는 핵 등 천차만별의 핵들이 존재한다.

4.3. 저열한 저작권 인식

상업, 동인 음악을 가리지 않는 무단 도용도 문제다. 1.9 초기 뉴그라운즈를 통한 커스텀 음악을 지원하자 유저들이 커스텀 맵에 사용하기 위해 스크릴렉스등의 유명 작곡가의 곡을 무단으로 업로드하기 시작하면서[24] 무단 도용의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 국산 리듬게임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인 La Campanella : Nu Rave의 경우는 Funnygame이 제작한 맵 때문에 유명해져 최다 조회수를 기록한 비공식 BGA 업로드 영상에 맵의 추억을 회상하고 곡과 맵을 칭찬하는 각종 유명 GD 유튜버들의 성지순례와 더불어 유튜브 댓글에 GD와 맵 제작자 Funnygame으로 도배하는 일도 벌어졌다. 똑같이 Funnygame이 손을 댄 오투잼 시리즈死月[25] 같은 일이 벌어졌다.[26] 작곡가인 SHK가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는 하지만 이는 작곡가인 SHK가 이례적인 거지 무단 도용으로 곡이 유명해지는 것을 반기는 작곡가는 절대로 없다는 것이다.[27] 특히 동방 프로젝트 음악들은 더욱 심각한데. 霊知の太陽信仰 ~ Nuclear Fusion[28], ネイティブフェイス[29], 少女が見た日本の原風景[30] 같은 노래들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

시간이 지나며 뉴그라운즈의 단속으로 무단으로 올라오는 곡들이 금방 잘리기 시작하고, 바로 쓸 수 없게 하는 조치도 취해지면서 유저들은 다른 방식을 생각했는데, 그렇게 나온 방식이 바로 NONG(Not On NewGrounds)이라고 하는 방식이다. NONG은 쓰고 싶은 곡의 MP3파일을 다른 곡의 뉴그라운즈 아이디로 바꾼 후 게임 파일에 넣어 쓰는 방식으로, 이 방법이 대중화되면서[31] 저작권 침해가 과거보다 더욱 늘었다. 상업용 음악, 동인 음악, 대중음악이던 전부 가리지 않는 곡의 무단 사용과 팬덤의 패악질은 결국 지오메트리 대시의 인식을 악화시켰다.

그 외에도 심지어 1.9까지만 해도 GD 유저들을 반기던 Xtrullor의 경우에는 유저들의 행패가 극에 달하던 2016년 말에 GD유저들을 참지 못해 Newground에서 자신의 모든 곡을 내린 적도 있었다.[32] 며칠 안 돼서 곡들이 다시 올라오긴 했지만 인기 있던 곡들을 빼면 GD에서의 곡 사용을 한동안 막아놨다. 이 사건은 아직까지도 이어지는 현재 진행형이다. 요즘은 무개념 댓글을 저지하려는 움직임이 많이 늘어났지만, 없어지지 않았다.

RobTop 측도 이 문제를 인지했는지, 카메리아를 비롯한 작곡가들이랑 NCS와 공식으로 협업을 시작하였다.#

5. 부적절한 레벨

또 다른 문제로 크리에이팅이 검열이 전혀 없어서,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인 것들을 만들어 올릴 수 있어서 문제가 많다.[33][34]

리센트 맵을 안 하면 그만이지만, 방송 중 맵 아이디를 추천받는 스트리머나, 리센트 맵을 둘러보는 것을 주 콘텐츠로 하는 유저들이 피해를 볼 수 있기에 작지 않은 문제이다.

또한 해결이 매우 힘든 문제인데, 이유는 모더들이 몇 초에 1개씩 계속 밀려오는 많은 리센트 탭을 전부 검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

6. 업데이트 관련

마지막 업데이트 이후 경과 시간
D[dday(2024-11-09)]일
2.2 업데이트 이전까지 가장 중요한 문제점이었으며, 2017년 11월 15일 2.11 업데이트를 마지막으로 2023년 12월 19일까지 이루어젔으나 2024년 11월 9일 2.207 업데이트를 마지막으로 인게임 내의 업데이트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사실 업데이트 주기 연장 문제점은 2.0 시절부터 있었다. 2.1 출시 당시, 2.0이 나온지 1년이 지나도록 온갖 떡밥이랑 '여름 세일' 같은 말과 '팬아트!' 라는 글만을 올린 채로 소식도 업데이트도 말도 없으니 당장 댓글만 봐도 너무 느리다, 오래 기다리는데 왜 이리 소식이 없냐 등과 1인 개발이잖아 좀 기다리자 등 사람들끼리의 갈등이 있었다. 옛날은 몇 개월이면 두 스테이지씩 올라왔으나 요즈음에는 거의 1년이 지나도록 별 소식도 없이 팬아트와 세일글은 빠릿하게 올라오니 목빠지게 기다리는 사람들은 속이 터질 지경.

또한 RobTop의 잦은 말 바꾸기와 출시 연기도 충분히 비판 대상. 일찍이 RobTop은 2016년 5월 21일 2.1 업데이트로 구체적인 업데이트 날짜까지 언급했다가, 정작 그 날짜가 되자 그런데 짜잔! 절대라는 건 없군요급 뉘앙스의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후 2016년 12월 15일 업데이트를 예고한 후 실제 12월 15일이 되자 역시 RobTop은 말을 바꾸기 바빴으며, 업뎃은 이루어지지 않았다.[35] 물론 추가 과금요소가 없는 게임이고, 사실상 1인 개발에 가까운 게임임을 감안하더라도 이러한 잦은 연기와 말바꾸기는 비판 여론이 일기 충분하다. 물론 개발이 일정보다 늦어지면 억지로 출시하기보다는 연기를 하는 게 맞아도 Geometry Dash 자체가 여전히 수십~수백만명이 플레이하는 게임이며, 개중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를 날마다 확인할 정도로 업데이트를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은 상태인데, 이러한 잦은 업데이트 연기나 취소를 별다른 해명이나 사과 없이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는 RobTop의 언행도 문제가 적다고 보기 힘들다. 제작자 롭탑롭트롤이라고 불리는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36]

2.11 이후로는 더욱 문제가 심해졌다. RobTop은 6년이 넘는 기간동안 2.2 업데이트에 대한 떡밥을 계속 던져 왔음에도 불구, 실제 업데이트 날짜를 어느 정도 예고했음에도 이 예고한 날짜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왔으며, 이 때문에 수많은 유저들의 분노가 이어졌다. 그리고 2020년 12월 22일이 오기 전까지 롭탑은 Viprin과의 협업으로 아이콘 업데이트를 진행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또 하나의 떡밥을 풀었다. 그러나 결국 2020년 12월 22일, 업데이트는 진행되지 않았고 이 이후에 플랫포머 모드라는 별 희한한 모드에 대한 떡밥을 또다시 풀어냄으로써 약속을 지키지 않는 대참사가 발생하고 만다.

그러나 이 부분은 다른 해석의 여지가 존재한다. 일단 위에서도 말했듯, 대규모 업데이트를 혼자서 해내는 것이 무리이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업데이트 연기 공지는 매번 예고 날짜 하루 전에 올라왔고, 예고가 연달아 틀리자 더 이상 날짜를 예고하지는 않았다. 이 말인즉슨, 날짜에 맞춰 제출했으나, 버그가 많아 기각되었다는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이야기다.[37] 그리고 2.0이 나오고 지금까지 롭탑은 2개의 DLC(Meltdown, World)도 내놓았고, 맵 퀄리티도 높아진데다 신작을 준비하느라 기간이 늦어졌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2.2 소식도 2.1이 출시된지 5개월 뒤에 예고사진 2장과 떡밥 15개 가량이 나왔다. 이와 같은 추가 사항으로 인해 최악을 보여준 2.1 업데이트 기간을 뛰어넘어 버렸다.[38]

소폭 수정된 2.11을 제외하면[39] 6년하고도 1개월 이상 2.2버전이 출시되지 않았다.[40] 원래 소규모 업데이트로 하려 했으나, 대규모로 하기로 했다고 롭탑이 댓글창에서 전하기는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걸 고려해도 너무 오래 걸린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이에, 참지 못한 GuitarHeroStyles업데이트가 늦은 이유에 대해 롭탑에게 보낸 영상을 올렸다. 이에 Viprin이 멀티플레이 기능 때문에 늦어질 거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드디어 롭탑이 트위치에서 2.2 업데이트에 대한 언급을 오랜만에 하였다. 2018년 크리스마스에 출시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쉽지 않을 것이라 하였기 때문에 유저들은 내년 1월 쯤에 출시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또한 그와 동시에 2.2 업데이트 이후 같이 일할 동업자 한 명을 최초로 구하겠다고 하였다![41]언급 영상 번역본비공식 정규직원 ViPriN이 이제 공식 정규 직원이 된다 카더라


한국 시간으로 2019년 2월 23일 정오 즈음에 파티클 업데이트 예고 영상이 떴다! 파티클 하나 하나의 섬세한 조정까지 가능하고 에디터 창에서 새로운 오브젝트들이 생긴 것을 엿볼 수 있다.

2020년 말에 들어서는 롭탑이 직접 트위치 개인 방송을 통해 2.2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보여준다거나 새로운 건틀렛, 트리거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1년 안에는 업데이트를 할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42] 그런데 2.1 초기에 공개된 22번째 공식맵[43]은 완전히 비공개로 하여 비밀리에 만든 건지 아니면 안 만든 건지 소식이 없다.

2021년 8월 14일에 2.2 스닉픽이 나오면서 2.2가 곧 나올거라는 막연한 가능성이 다시(...) 생겼다.[44]
2.2 스닉픽 영상

2022년 3월도 역시 출시가 안돼 업데이트가 언제까지 미뤄질지 불명. 다만 디스코드에서 2.2 관련 떡밥을 다시 뿌렸고 또한 지금 이후로 더 무언가를 추가하지는 않을 것이라 밝혔기에 올해 안에 업데이트가 되기를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2023년 6월까지 소식은 없다.



업데이트가 6년째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는 간단하다. 그 내용이 너무나도 막대하여, 1인 개발자로서는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의 인식과 달리 롭탑이 놀고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내용이 지나치게 많다면, 업데이트를 쪼개면 되는데도 불구하고, 한번의 업데이트에 전부 넣어 다른 요소도 출시가 연기되는 것이 문제이다.

주된 2.2 업데이트의 내용들은 대략 다음과 같은데,
  • 플랫포머 모드
  • 새로운 레벨과 스윙콥터 모드
  • 80가지의 새로운 트리거
  • 700개의 새로운 아이콘
  • 새로운 오브젝트

이전 업데이트에 비하면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

파일:IMG_1237.jpg
한국 기준으로 2023년 8월 14일날 공개된 10주년 기념 영상에서 2023년 10월에 2.2가 나온다고 예고하였다.

그러나 2023년 10월 22일, 공식 채널에 2.2 트레일러가 올라옴과 동시에 2.2의 출시일을 11월로 연기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2023년 11월 27일, 롭탑이 2.2 버전을 곧 출시할 예정이라는 게시글을 올렸으나 11월 30일까지도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면서 12월로 연기됨이 확정되었다.

2023년 12월 20일에 드디어 2.2가 정식 출시되었지만, Versus 기능과 23번째 공식맵인 Explorers를 포함한 일부 기능들은 2.21 업데이트로 미뤄지게 되었다.[45]

그러나 NCS 콜라보 업데이트가 실시된 2.207 업데이트 이후 업데이트가 다시 반 년 넘게 동결된 상태이다.

7. 난이도 표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문제점/난이도 표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ometry Dash/문제점/난이도 표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eometry Dash/문제점/난이도 표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물리엔진 패치로 인한 커스텀 레벨의 버그

대규모 패치 때마다 종종 게임의 물리엔진을 변경하는데, 문제는 이전 버전의 물리엔진을 기준으로 게임플레이가 짜여진 맵들도 업데이트로 얄짤없이 물리엔진이 바뀌어버려 멀쩡한 레벨이 칼타이밍을 요구하는 맵으로 바뀌거나 아예 클리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물리엔진이 바뀌는 패치마다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맵팩 레벨인 pg clubstep의 초반 큐브[46], Windy landscape 3%[47], Volume 11%[48] 같은 경우. 특히 과거의 오토 레벨에서 이런 현상이 매우 자주 나타난다.

사실 2.2 업데이트로 과거 물리엔진으로 전환하는 옵션이 추가되었으나 버그로 인해 작동되지 않아서 생긴 문제이다.

9. 서버 관련 문제

게임 서버 자체가 보안에 상당히 취약하며, 온라인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서버가 이런 꼴이라면 게임하는 데 상당히 많은 지장을 주게 된다. 2015년 8월 해킹 사건 등 몇 번의 사건에서 계속해서 서버가 공격당했다. 취약하다 못해 물보안이다.

이후 2023년 12월 기준 이런 일은 잦아들었으나 여전히 피해를 보는 소수의 플레이어들은 존재한다.


[1] Ultra LDM이라는 뜻으로, LDM의 강화판[2] 당연하겠지만 유명인이라고 해서 맵을 대충 만들거나 퀄리티와 게임플레이가 좋지 못한 맵을 서버에 업로드하면...이는 무명인과 동일하게 별맵을 받지 못한다.무후광 레이팅이라도 받기 위한 퀄리티 수준으로 맵을 제작해서 서버에 올리면 유명인은 그나마 무후광 레이팅이라도 받지, 무명인은 그 수준의 퀄리티와 게임플레이를 보여주는 맵을 제작해서 올려도 별맵을 받기 매우 힘들다...[3] 사실 성인이 되고나서는 현생 때문에 게임을 즐기기가 쉽지 않고 게임 실력이 최전성기를 찍을 때가 중~고등학생 시기이다. 당장 Zoink, wPopoff만 보아도 알 수 있다.[4] 마인크래프트는 그나마 이걸 고칠 노력이라도 했지, 얘는 지금도 잘만 실행된다. 심지어 1.9 이전에는 업데이트를 하면 기존의 계정 데이터는 전송되지 못했으나 1.9 업데이트로 계정 시스템이 추가되어 업데이트가 되어도 자신이 플레이한 정보를 그대로 넘겨받을 수 있다.[5] 유튜브의 각종edm 영상에 뜬끔없이 지메 아이콘 프사를 쓰고 'anyone from gd?'같은 댓글을 단다면 빼박 GMD 무개념 팬덤이다.[6] ColBreakz의 음악인 10000을 예로 들면, 그 음악을 이용해 만든 지메 맵 이름 Hypersonic!! 이런 식으로 도배해댄다.[7] 현재는 astral divinity라는 맵으로 수정되었다.[8] 심지어 이 중에는 여러 고퀄리티 합작으로 알려진 네임드 크리에이터 Arclia도 있었다. Arclia는 이후 사과문을 올렸다.[9] 살인 협박도 받았다는데, 이유가 다른 것도 아니고 ULDM이 없다는 이유(즉 렉 때문에 못하겠다는 이유)였다고 한다.[10] 예를 들어 최근에 포럼 1위 spaceuk가 핵 사용으로 잡힌 사건도 있다.[11] 실제로 메가핵의 제작자인 앱솔루트는 더 나아가서 더 많은 기능과 편의성을 개선하고 심지어 게임의 버그까지 수정한 새로운 버전의 메가핵도 꾸준히 업데이트하고 있다. 아예 롭탑 대신 앱솔루트가 게임 제작자였다면 2.2는 벌써 나오고 남았을 것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심심찮게 들리고, 소수점 퍼센트, 프랙티스 브금 제거, FPS Bypass 등 메가핵의 기능들이 2.2 업데이트에 추가되는 등 많은 유저들의 칭송(?)을 받고 있다.[12] 그런데 효과음을 아예 꺼버리면 Level complete 효과음이 들리지 않기 때문에 굳이 짜집기를 할 필요도 없다.[13] 이것을 사용한 대표적인 맵으로는 인세인 데몬 극상위권 맵인 OVERDOSE가 있으며, 중간에 노클립을 써서 맵을 벗어난다면 텔레포트 포탈로 특정 구간으로 보내버린 후 stop nocilping bitch라고 놀리는 문자를 보여준 후 아예 못가게 막아버린다[14] 물론 이것도 좌표를 옮기는 핵이 있어 뚫을 수 있지만 노클립만 쓰는 핵유저들을 막는 데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참고로 에디터에서 Ignore Damage 옵션을 켜놓은 채 저 상황이 나올 때도 역시 멈춰버린다.[15] 아주 어려운 맵을 저장하려면 실력이 있어야 해서 보통 고수들의 초고난이도 데몬맵을 클리어할 때 사용한다.[16] 일부러 죽는 부분까지 매크로에 넣는 등의 응용도 가능하다.[17] 쉽게 말해 오토모드로 만드는 거다.[18] 물론 이것은 봇이 하는 것이다보니 일명 길 개척을(...) 하기도 한다.[19] 이전까지는 각 파트별로 녹화하여 컷 편집을 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제 깔끔하게 봇이 알아서 조종해주니 이런 고생을 할 필요가 없는 것[20] 이 핵을 이용해 Rustam이 Digital Descent의 버그를 고치려다 실수로 Start pos를 지우지 않아 Combined가 핵 의심을 받기도 했다.[21] 보통 더 최근에 업데이트된 핵이 업데이트가 늦은 핵을 무력화시킨다.[22] 이게 왜 필요하냐면 맵 에디팅에서 맵의 진행도를 리셋해주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맵 하나를 완주한 다음, 맵에 오류가 생겨 오류를 고쳐도 맵은 Unverified 상태가 되지만 진행도는 여전히 100%로 남게 된다.[23] 실력자들 중에서도 아이콘핵을 사용하는 사람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24] 후술할 死月과 Teminite와 Panda Eyes가 작곡한 Highscore같이 작곡가가 직접 곡을 올려주어 해결되는 경우가 있지만 극소수다.[25] 원 이름보다는 영어로 풀어쓴 Death Moon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있다.[26] 심지어 과거에는 해당 곡과 같은 시리즈인 死月2의 유튜브 댓글 영상에는 이 곡을 뉴그라운즈에 올려달라는 GD 유저들의 댓글들로 도배가 되었던 적이 있었다.[27] 지메는 아니지만 일례로 Sound Souler의 경우 무단 도용에 대해 매우 불쾌해하는 반응을 보였다.[28] Yatagarasu. 다만 이쪽은 뉴그라운즈 작곡가가 리믹스한 버전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나마 참작 여지가 있다.[29] Artifice[30] Calamity[31] 이 방식을 사용한 레벨 중 레이팅 된 레벨도 많다.[32] 다만 이 부분은 약간 다른 해석의 여지가 있는 게, 이 분이 자신의 곡들을 내릴 때도 전부 내렸던 것은 아니고 GD에서 인기가 엄청나게 높은 곡들 일부를 제외하고 내린 것이다. (Supernova 등) 그리고 롭탑이 저작권에 걸리는 곡들을 뉴그라운즈에서 올리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 강경한 대응을 시작했을 때 "드디어 만족스러운 변화가 일어났다"며 다시 올렸다. 참고 링크. 즉 Xtrullor는 도배 문제보다는 저작권에 걸리는 곡을 뉴그라운즈에 올리는 일부 몰지각한 GD러의 행위에 항의하기 위해서 곡을 내렸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33] 다행이 이런 맵들이 리센트 탭에서만 볼 수 있다.[34] 주로 2003devin의 맵들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특히 Man Man은 Collab Level은 명함도 못내미는 미친 수위를 자랑해 삭제되었다.[35] 그래도 GD 월드 버전은 12월 21일에 제때 출시했다.[36] 1.9까지만 해도 이런 말이 사실상 없었다. 그때는 업데이트가 매우 잘 이뤄지고 꽤나 전성기를 이루었기 때문.[37] 실제로도 2.1에 약간의 오류가 그대로 남아있었다.[38] 2.2 예고사진에 스윙콥터 모드라는 것이 나왔고, 스닉픽에 랜덤 트리거가 나옴으로써 상당한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현재 기대감이 크지만 시간이 지나치게 늦어지고 있다.[39] 2.11도 업데이트로 친다 해도 5년 넘게 2.2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다.[40] 이는 1.0 -> 2.11보다 약 2년 더 길다.[41] 지메대는 1인 개발 게임이다.[42] 했으면 좋겠다는 걸 넘어서서 아예 해야 된다는 말까지 나온다. 2017년부터 유저들이 기다려온 간절한 업데이트를 또다시 미룬다면 그때는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도 하고, 롭탑 본인에게도 그리 좋은 일은 아니다.그런데 짜잔![43] Explorers라는 곡이라고 하나, Newgrounds에는 음악이 없다.[44] 8월 15일 새벽 5시 최초 공개[45] 2.2 업데이트가 된지 1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업데이트 되지 않았다.[46] 1.8 업데이트 이후 경사면이 바뀌면서 초반부 큐브 구간의 통과가 불가능했던 적이 있다.[47] 경사면을 오르지 못한다.[48] 경사면 효과를 너무 크게 받아 천장가시에 박아 죽는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if external != "o"
[[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uuid=|r7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uui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from=79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if external != "o"
[[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uuid=|r79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Geometry Dash/문제점 및 사건 사고?from=79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