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 醴泉 琴南里 黃木根(팽나무) Hwangmokgeun (Japanese Hackberry) in Geumnam-ri, Yecheon | |
소재지 | 경북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 696번지 |
소유자 | 농림수산부 외 |
관리자 | 예천군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
수량/면적 | 1주 |
지정연도 | 1998-12-23 |
|
1. 개요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금남리에 위치한 팽나무. 천연기념물 (구)400호다.2. 상세
수고 12.7m, 둘레 5.65m에 수령은 500년 정도로 추정되는 팽나무다. 금남리의 당산나무이자 정자나무로, 농지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국내에서 가장 많은 땅을 소유한 나무로, 같은 예천군 소재의 천연기념물인 석송령과 함께 재산을 가지고 세금도 납부하는 나무로 유명하다. 이 나무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는 무려 4120평(1만 3620㎡)이다.[1] 이는 석송령이 소유한 땅의 두 배 가량이다. 당연히 현대 대한민국의 법률 상으로는 식물이 재산을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이 나무가 재산을 가질수 있게 된 것은 석송령과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 때 등기가 이전되었기 때문이다. 1939년 금남리 주민들이 마을의 공동 재산이던 토지 등기를 이 나무에 이전했으며, 황목근이라는 이름도 이때 붙었다. 잎이 노랗기 때문에 황(黃)씨 성에 근본 있는 나무라는 뜻의 목근(木根)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나무 주변에는 공원이 조성되었는데, 나무 뒷편에서 황목근의 후계목이 자라고 있다. 이름은 주민들의 공모를 통해 뽑힌 황만수(黃萬壽). 장수하라는 의미에서 붙었다고 한다.
3. 외부링크
4. 천연기념물 제400호
팽나무는 남부지방에서 폭나무·포구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나무가 매우 크게 자라며 옛날부터 풍수지리설에 따른 비보림이나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으로 많이 심었다.
예천 금남리 황목근은 나이가 5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는 팽나무로 높이 12.7m, 둘레 5.65m이다. ‘황목근’이란 이름은 1939년 마을 공동재산의 토지를 팽나무 앞으로 등기 이전하면서 팽나무가 5월에 황색꽃을 피운다하여 황(黃)이란 성과 목근(木根)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한다. 현재 황목근은 아주 넓은 땅을 소유하고 세금을 내고 있다. 금원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으로 신성시되고 있으며 매년 정월 대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예천 금남리 황목근은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 자라왔으며 마을 주민 공동체 의식을 상징화하는 문화성과 함께 나무를 사람처럼 생각하는 특이한 점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예천 금남리 황목근은 나이가 5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는 팽나무로 높이 12.7m, 둘레 5.65m이다. ‘황목근’이란 이름은 1939년 마을 공동재산의 토지를 팽나무 앞으로 등기 이전하면서 팽나무가 5월에 황색꽃을 피운다하여 황(黃)이란 성과 목근(木根)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전한다. 현재 황목근은 아주 넓은 땅을 소유하고 세금을 내고 있다. 금원마을을 지켜주는 수호목으로 신성시되고 있으며 매년 정월 대보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예천 금남리 황목근은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속에 자라왔으며 마을 주민 공동체 의식을 상징화하는 문화성과 함께 나무를 사람처럼 생각하는 특이한 점 때문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5. 교통
5.1. 철도
- 일반 철도역: 용궁역(무궁화호)
5.2. 버스
용궁-읍부리/용궁역(3590833·702046) * 점촌 방면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덕계 |
문경시 시내버스 | |
일반 |
용궁-읍부리/용궁역(3590778·702047) * 예천 방면 | |
예천군 농어촌버스 | |
농어촌 | 덕계 |
문경시 시내버스 | |
일반 |
[1] 정식으로 등기된 토지는 3700평(1만 2231㎡)이며, 소유자가 황목근으로 이전하기로 약속했으나, 그전에 사망하거나 기타 사유로 등기를 미루고 있는 땅 420평(1389㎡)이 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