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17:59:34

자유 에너지

화학퍼텐셜에서 넘어옴
'''열역학 · 통계역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 개념 <colbgcolor=#FFF,#111><colcolor=#000,#fff>열역학 법칙{열역학 제1법칙(열역학 과정) · 열역학 제2법칙(엔트로피)} · 질량 보존 법칙 · 에너지 · 물질 · 온도(절대영도) · 압력 · (비열 · 열용량) · (일률) · (반응계 · 고립계) · · 밀도 · 기체 법칙{보일 법칙 · 샤를 법칙 · 게이뤼삭 법칙 · 아보가드로 법칙 · 이상 기체 법칙(이상 기체)} · 기체 분자 운동론
통계역학 앙상블 · 분배함수 · 맥스웰-볼츠만 분포 · 페르미-디랙 분포 · 보스-아인슈타인 분포 · 맥스웰-볼츠만 통계 · 페르미-디랙 통계 ·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 페르미온 응집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복잡계(카오스 이론) · 흑체복사 · 브라운 운동 · 역온도 · 위상 공간
열역학 퍼텐셜 내부 에너지 · 엔탈피 · 자유 에너지(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 깁스 자유 에너지) · 란다우 퍼텐셜 · 르장드르 변환
응용 및 현상 현상 가역성 · 화학 퍼텐셜 · 상전이 · 열전달{전도(열전도율 · 전도체) · 대류 · 복사} · 판데르발스 힘 · 열처리 · 열량(칼로리) · 네른스트 식 · 물리화학 둘러보기
열기관 내연기관 · 외연기관 · 열효율(엑서지) · 열교환기(히트펌프) · 카르노 기관 · 영구기관 · 열전 소자
관련 문서 화학 둘러보기 · 스털링 근사 · 전자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기계공학 · 화학공학 · 정보이론 · 맥스웰의 악마 · 볼츠만 두뇌 · 에르고딕 가설 · 브라질너트 효과 }}}}}}}}}

1. 개요2. 정의3. 깁스 자유 에너지
3.1. 해석3.2. 화학 퍼텐셜
4.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5. 관련 문서

1. 개요

어떤 물질계가 주위에 대해 가역적으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총칭하며, 내부에너지 U의 르장드르 변환으로부터 얻어진다. 쉽게 말하자면, 가지고 있는 에너지 중 실제로 일로 변환될 수 있는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역적'은 화학 반응에서 사용하는 가역성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1] 쉽게 설명하자면 미소량의 조건 변화만으로도 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는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며 현실에서는 실현이 불가능하다.[2]

2009년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육 과정에서는 주로 화학Ⅱ에서 이를 자세히 다루었지만, 난이도 문제로 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에서는 자유 에너지 자체가 삭제됐다.

2. 정의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와 깁스 자유 에너지 두가지가 있다.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는 등적의 상태(부피가 일정한 용기 안에 갇힌 기체의 반응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깁스 자유 에너지는 등압의 상태(등적상태를 가정하기 어려운, 열린 공간에서 고체나 액체의 반응)에서 사용된다.

내부 에너지를 U, 엔탈피를 H, 절대온도를 T, 엔트로피를 S 라고 할 때, 자유에너지의 정의는
  • 깁스 자유 에너지 [math( G=H-TS )]
  •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math( A=U-TS )]

각각 엔탈피 [math(H)] 또는 내부 에너지 [math(U)]에서 [math( TS )] 항을 뺀 것으로, 흔히 자유 에너지란 계의 내부 에너지 중에 실제 일로 변환 가능한 에너지양을 뜻한다고 해석된다.

또한 양변을 온도 [math( T )]로 나눠보면 우변은 엔트로피의 양대 구성요소인 열엔트로피[3]와 구성(Configurational) 엔트로피[4]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자유 에너지는 반응이 자발적인지의 지표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3. 깁스 자유 에너지

조시어 깁스가 정립한 열역학 함수.

일정한 온도와 압력 내에서 계의 에너지는
[math(E_{sys}=Q_{sys}+W)][5]
라고 볼 수 있다. 이때 일 [math( W )]는 [math( -P \Delta V)]이다.

그리고 [math( Q_{sys} )]는 엔탈피의 변화량 [math( \Delta H_{sys} )]이다.
[math(\Delta H_{sys} = - \Delta H_{sur} )][이유],
[math(\Delta S_{sur} = \Delta H_{sur} / T )]

이므로 총 엔트로피 [math( S_{net} )]는

[math( \Delta S_{net} = \Delta S_{sys} + \Delta S_{sur} )]
[math( \Delta S_{net} = \Delta S_{sys} + \Delta H_{sur} / T )]
[math( \Delta S_{net} = \Delta S_{sys} - \Delta H_{sys} / T )]

이제 양변에 절대온도 [math( T )]를 곱하고 [math( -TS_{net} )]에 대하여 전개하면
[math( -T\Delta S_{net} = -T \Delta S_{sys} + \Delta H_{sys} )]

[math( -T\Delta S_{net} )]를 [math( \Delta G )] 로 치환하면

[math( \Delta G = \Delta H_{sys} - T\Delta S_{sys})]
가 유도된다.

앞으로 편의상 [math(\Delta H_{sys})]를 [math(\Delta H)], [math(\Delta S_{sys})]를 [math(\Delta S)]라 하자.

3.1. 해석

  • [math( \Delta G<0 )]인 경우 정반응이 자발적인 반응이다.
  • [math( \Delta G=0 )]인 경우 동적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다.
  • [math( \Delta G>0 )]인 경우 역반응이 자발적인 반응이다.

[math( \Delta H)]와 [math( \Delta S)]의 부호에 따른 (정)반응의 자발성을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math( \Delta H > 0)] [math( \Delta H < 0)]
[math( \Delta S > 0)] 온도가 높을 때만 자발적이다. 항상 자발적이다.
[math( \Delta S < 0)] 항상 비자발적이다. 온도가 낮을 때만 자발적이다.
다음은 자발적인 반응의 예시이다.
  • 소금이 녹는 반응
    열을 흡수[7]하므로 [math( \Delta H > 0 )]이며, 고체 결정격자를 이루던 이온들은 물 속에 퍼져서 무질서해지므로 [math( \Delta S > 0 )]이다. 따라서 [math( \Delta G = \Delta H - T \Delta S )]는 [math( T )]가 클수록 작아지므로 높은 온도에서 자발적임을 알 수 있다.
  • 연료의 연소 반응
    열을 방출하므로 [math( \Delta H < 0 )]이며, 분자는 무질서해지므로 [math( \Delta S > 0 )]이다. 따라서 [math( \Delta G = \Delta H - T \Delta S )]는 언제나 음수이므로 온도에 무관하게 자발적임을 알 수 있다.

이 외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자발적이라고 느끼기 어렵지만 열역학적으로는 자발적인 현상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생물학적 에너지 변환 과정인 ATP가수분해에서도 자유 에너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ATP는 세포 내 에너지 저장과 전달의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가수분해 과정에서 분자 내의 고에너지 결합이 분해되어 에너지가 방출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생명활동 기능을 수행하는데, ATP가수분해해서 얻은 에너지들은 66%가 열 생성에 사용된다.

이를 토대로 수소 자동차연료전지 등이 이것을 활용한 예시. 이들 반응은 반응물과 생성물 간 깁스 에너지 변화량 자체는 음의 값을 띄나, 대부분 반응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가 높아서 일상생활에서는 일어나기 힘든 반응들이다. 이들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촉매를 활용하여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거나, 전기 등을 활용해 활성화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공급해줄 필요가 있다.

3.2. 화학 퍼텐셜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7CEFA> 기본 정보 원소(할로젠 · 금속 · 준금속 · 비활성 기체 · 동위원소) · 원자(양성자 · 중성자 · 전자) · 분자 · 이온(양이온 · 음이온)
물질 순물질(동소체 · 화합물) · 혼합물(균일 혼합물 · 불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이성질체
화학 반응 · (앙금) · 작용기 · 가역성 · 화학 반응 속도론(촉매 · 반감기) · 첨가 반응 · 제거 반응 · 치환 반응 · 산염기반응 · 산화환원반응(산화수) · 고리형 협동반응 · 유기반응 · 클릭 화학
화학양론 질량 · 부피 · 밀도 · 분자량 · 질량 보존 법칙 · 일정 성분비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열화학 법칙 엔트로피 · 엔탈피 · 깁스 자유 에너지(화학 퍼텐셜) · 열출입(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총열량 불변의 법칙 · 기체 법칙 · 화학 평형의 법칙(르 샤틀리에의 원리 · 동적평형)
용액 용질 · 용매 · 농도(퍼센트 농도· 몰 농도 · 몰랄 농도) · 용해도(용해도 규칙 · 포화 용액) · 증기압력 · 삼투 · 헨리의 법칙 · 전해질
총괄성 증기압 내림 · 끓는점 오름 · 어는점 내림 · 라울 법칙 · 반트 호프의 법칙
전기화학
·
양자화학
수소 원자 모형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유효 핵전하 ·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전기음성도 · 극성 · 무극성 · 휘켈 규칙 · 분자간력(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수소 결합) · 네른스트 식 · 준위
전자 배치 양자수 · 오비탈(분자 오비탈 · 혼성 오비탈) · 전자껍질 · 쌓음원리 · 훈트 규칙 · 파울리 배타 원리 · 원자가전자 · 최외각 전자 · 옥텟 규칙 · 우드워드-호프만 법칙 · 라디칼
화학 결합 금속 결합 · 진틀상 · 이온 결합 · 공유 결합(배위 결합 · 배위자) · 공명 구조
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 분광학
분석기법 적정 · 기기분석(크로마토그래피 · NMR)
틀:양자역학 · 틀:통계역학 · 틀:주기율표 · 틀:화학식 · 틀:화학의 분과 · 틀:산염기 · 화학 관련 정보 }}}}}}}}}

Chemical Potential.
열린계의 반응자발성을 판별하기 위한 열역학 함수이며, 이는 곧 계의 깁스자유에너지의 입자변화에 따른 미소변화와 같다.

4.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르면
[math(dU = \delta Q - \delta W)] U는 내부에너지, Q는 외부에 전달된 열량, W 는 계(system)가 한 일이다. 헬름홀츠 자유에너지의 정의 양변을 미분하면
[math(dA = dU - (SdT + TdS))]
여기서 [math( dU )]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math(dU = \delta Q - \delta W)] 형태가 된다.

여기에 엔트로피 정의와 압력과 일의 관계를 대입해서 식을 변형하면 ([math(dS = dQ/T)], [math(\delta W = pdV)])
[math(dA = dU - (SdT + TdS) =)]
[math( TdS - pdV - (SdT + TdS) = -pdV - SdT)]

만약 계(system)가 등온 과정([math( dT = 0 )])이라면 위의 식은,
[math(dA = -pdV = -\delta W)]로 정리할 수 있다.
즉, 헬름홀츠 자유에너지가 작을 수록 계에서 뽑아낼 수 있는 에너지가 크다고 해석 가능하다.

5. 관련 문서



[1] 반응론에서는 어떤 반응의 역반응이 약간의 조건 변화만으로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면 가역 반응이라고 한다.[2] 미소량의 변화만으로 반응의 방향이 결정된다면 그 상태는 사실상 평형(에 무한히 근접한)상태라는 의미이며, 따라서 가역 반응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은 무한하다.[3] 온도에 의한 엔트로피.[4] 분자의 구조에 의한 엔트로피.[5] 물리량 [math(X)]에 대하여 [math(X_{sys})]는 계(system)의 [math(X)]를, [math(X_{sur})]은 주위(surrounding)의 [math(X)]를 의미한다.[이유] 고립계(우주)의 에너지 총합은 일정하다.[7] 소금이 녹을 때 Na+와 Cl-의 결합이 끊어지고 각각 물분자 쌍극자의 delta - 및 delta +와 결합하는데, Na+와 Cl-사이의 결합이 각 이온과 물분자 쌍극자들과의 결합보다 강하므로 소금이 물에 녹는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더 차가워지는 이유가 이것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