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23:47:29

혈관조영술

Angiography
파일:external/osuemed.files.wordpress.com/moyamoya1.jpg

1. 개요2. 종류
2.1. 고식적 혈관조영술(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TFCA)2.2. CT 혈관조영술 (3D Angio CT)2.3. 자기공명 혈관조영술2.4. 계수감쇄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2.5. 경동맥 조영술(Carotid Angiography)
3. 합병증
3.1. 뇌허혈증(Cerebral ischaemia)3.2. 조영제 과민반응(Contrast sensitivity)

[clearfix]

1. 개요

카테터(도관), CT 또는 MRI 촬영을 시행할 때 혈액 속에 X선이 투과하기 어려운 아이오딘이나 자기장에 민감한 가돌리늄 킬레이트 등 조영제(contrast agent)를 주입하여 선명한 체내 이미지를 얻는 검사 방법이다.

1930년대 처음 시도되어 현재까지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혈관의 전체적인 모양과 막힌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뇌졸중, 심근경색, 동맥류, 뇌동정맥기형, 모야모야병 및 기타 혈관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필수적이다. 최신 고성능 MRI를 이용한 혈관조영술(MRA)은 조영제를 투입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MRA는 촬영 영역이 좁고 수술을 하기 위한 참고용으로서는 부정확한 부분이 있어 대부분의 질환에서는 침습적 혈관조영술을 병행해야 한다. 다만 조영제는 사람에 따라 과민 반응이나 해독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건강검진에서나 혈관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무조건 조영술을 하지 않고 MRA 검사를 먼저 해 본다. 뇌혈관 질환을 뇌혈관 조영술로 정확히 진단하게 되면, 약물치료, 신경중재치료, 수술 등의 방법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2. 종류

2.1. 고식적 혈관조영술(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TFCA)

본래 혈관조영술이라고 하면 대부분 이를 뜻하지만 CT와 MRI를 이용한 혈관조영술 시행이 크게 늘어나면서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수술실과 비슷한 멸균실에서 환자복 바지를 벗고 누운 다음 사타구니 한쪽을 국소마취하고 대퇴동맥에 약 2mm 직경의 카테터를 집어넣는다. 이후 의사가 카테터를 움직이면서 대동맥을 따라 심장이나 의 하단부에 위치시킨다. 환자는 숨을 참은 상태에서 관상동맥이나 뇌동맥에 조영제를 투입, X선을 투과하여 혈관의 2D 영상을 얻어낸다. 물론 그 전에도 카테터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해 X선을 계속 촬영한다. 이를 위한 X선 기계는 C-Arm이라고 해서 상대적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 만약 혈관이 막혀 있다면 그 다음 부분은 보이지 않는다. 뇌동맥에 조영제가 들어오면 브레인 프리즈 현상과 비슷하게 얼굴, 입안이 화끈해지고 비문증이 굉장히 심해지며 구역질이 날 수 있다. 검사가 끝나면 대퇴동맥을 물리적으로 눌러서 지혈을 하는데 최소 3시간에서 최대 48시간까지 침대에서 절대적 안정(ABR)을 취해야 한다. 검사 당일은 물론 다음날도 축구등산(...) 등을 하여 많이 움직이면 터질 수 있으므로 절대적 안정 해제 이후라도 최소 3일간은 주의해야 한다.

단순 혈관 촬영 이외에도 카테터를 이용해서 막힌 혈관을 뚫거나 부풀어오른 부분을 묶어주는 혈관내 수술(Endovascular surgery) 또는 혈관중재술(Intervention)을 시행하기도 한다. 뇌동맥류에 대한 시술을 할 때는 전신마취가 필요하며 수 시간 이상이 걸린다.

보통, 심장은 심장(순환기)내과의사가 시행하고 그 외의 부위는 영상의학과 의사가 시행하는데 최근엔 흉부외과 의사와 신경외과 의사의 참여가 늘고 있다.

2.2. CT 혈관조영술 (3D Angio CT)

정맥으로 조영제를 투입하고 CT를 촬영한 다음 이미지를 보정하여 조영증강된 혈관을 3D로 재구성하면 대동맥을 비롯한 몇몇 혈관의 모양을 볼 수 있다. 작은 혈관은 잘 안보이기 때문에 주로 큰 혈관에 발생하는 동맥류를 찾거나 관상동맥을 보기 위해 시행된다. (채널 수가 높은 MDCT 사용)

2.3.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MRA라는 약어로 불린다. 보통 동맥경화, 모야모야, 뇌동맥류 등 뇌혈관이상을 선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영제를 쓰지 않는 방법으로는 인체 내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혈액의 자기공명 신호를 걸러내서 단면영상이나 3차원영상을 얻어내면, 정상혈관은 잘 보이고 비정상혈관과 일반 조직은 잘 안 보이게 된다. 가돌리늄 조영제를 정맥에 투여하면 촬영 부위의 상당수 정맥과 동맥이 고신호로 보인다. TOF 방식으로 조영제 없이 혈관촬영이 가능하지만 MRI 역시 조영제를 사용한 경우가 더욱 선명하게 잘 보인다.

2.4. 계수감쇄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계수감쇄 혈관조영술(DSA)은 앞에서 언급한 경동맥 조영술의 관혈적(invasive)인 면을 보완하여 정맥 또는 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비관혈적(noninvasive) 조영술로 외래방문을 통해서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SA 검사법은 조영제 주입전후의 X-선 노출에 따른 데이터를 매우 빨리 개개의 화소마다 감산하여 영상을 얻게 된다. 최신 장치의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이용하면 3차원 혈관 영상을 얻을 수 있고, 특정 부위만을 더 확대하여 볼 수도 있으며, 3차원 영상을 원하는 평면상에서 회전시킨 영상도 얻을 수 있다.

2.5. 경동맥 조영술(Carotid Angiography)

경동맥 조영술에서는 주로 전, 후면(antero-posterior) 및 특면(lateral) 영상을 평가하게 된다. 특별한 위치에 동맥류(aneurysm)가 의심될 때에는 사위(oblique) 영상을 얻어 평가한다.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은 전뇌동맥과 중뇌동맥으로 분리되며 전뇌동맥은 주로 뇌량(corpus callosum) 쪽을 지나 내측 전두엽 부위의 혈류를 담당하며, 중뇌동맥은 실비우스 열(sylvian fissure)을 지나 외측 전두엽과 측두엽에 혈류를 공급한다. 영상을 회전시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경사면(oblique) 촬영을 하여 병변 확인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ex: aneurysm).

3. 합병증

최근 비이온화(non-ionic) 조영제가 개발되어(ex: iohexol, iopamidol) 혈관조영술에 따른 합병증은 상당히 감소하였다.

3.1. 뇌허혈증(Cerebral ischaemia)

  • 카테터에 의해 기존의 반(plague)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
  • 저혈압이 야기되는 경우
  • 조영제 주사에 따른 혈관 연축(vessel spasm)이 초래되는 경우

3.2. 조영제 과민반응(Contrast sensitivity)

3만~10만 명 중 한 명은 사망하는 등 부작용이 가끔 발생될 수도 있으나 주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