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2d62>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2d62><colcolor=#fff> 투수 | <colcolor=#eb6e1f,#eb6e1f> 39 웨스네스키 · 41 아리게티 · 43 맥컬러스 Jr. · 48 오커트 · 52 아브레우 · 53 하비에르 · 54 알렉산더 · 56 블랑코 · 58 브라운 · 60 월터 · 61 고든 · 62 소사 · 63 오트 · 64 밴와이 · 65 데 로스 산토스 · 68 프랭스 · 69 블루바 · 70 머레이 · 71 헤이더 · 74 킹 · # 피어슨 · # 우욜라 | |
| 포수 | 18 살라사르 · 21 디아스 | ||
| 내야수 | 1 코레아 · 3 페냐 · 8 워커 · 10 위트컴 · 15 파레데스 · 28 매튜스 · # 앨런 | ||
| 외야수 | 4 산체스 · 6 마이어스 · 9 데젠조 · 11 스미스 · 16 콜 · 26 트래멀 · 27 알투베 · 31 멜튼 · 44 알바레즈 | ||
| ''' | |||
| | }}}}}}}}} | ||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58번 | ||||
| 브룩스 레일리 (2020~2021) | → | 헌터 브라운 (2022~) | → | 현역 |
| | |
| <colbgcolor=#002d62><colcolor=#ffffff> 휴스턴 애스트로스 No.58 | |
| 헌터 브라운 Hunter Brown | |
| 본명 | 헌터 노아 브라운 Hunter Noah Brown |
| 출생 | 1998년 8월 29일 ([age(1998-08-29)]세) |
|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
| 국적 | |
| 학력 | 웨인 주립대학교 |
| 신체 | 188cm | 99kg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입단 | 2019년 드래프트 5라운드 (전체 166번, HOU) |
| 소속팀 | 휴스턴 애스트로스 (2022~) |
| 계약 | Pre-Arb / $807,400 |
| 연봉 | 2025 / $807,400 |
| 에이전트 | 보라스 코퍼레이션 |
| SNS | |
1. 개요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휴스턴 애스트로스
| |
2.1.1. 2022 시즌
2022년까지는 팜이 황폐화된 휴스턴 내에서 제레미 페냐 등과 함께 최고의 유망주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며[1] 9월 5일 텍사스 레인저스전에 선발등판해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6이닝 5K 3피안타 1볼넷 무실점을 기록해 승리투수가 되었다.시즌 최종 성적은 7경기 20⅓이닝 2승 0패 2홀드 ERA 0.89 22삼진 0피홈런 7볼넷 피안타율 .205 WHIP 1.08.
2.1.2. 2023 시즌
첫 풀타임 시즌 소화의 여파인지 시즌 막판으로 갈수록 성적이 나빠지는 모습을 보이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2.1.3. 2024 시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헌터 브라운/선수 경력/2024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헌터 브라운/선수 경력/2024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4. 2025 시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헌터 브라운/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헌터 브라운/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피칭 스타일
평균 구속 97마일, 최고 구속 99.6마일의 포심 패스트볼과 평균 구속 83마일의 너클 커브, 평균 구속 93.2마일, 최고 구속 96.6마일의 커터, 평균 구속 96마일, 최고 구속 99마일의 싱커, 평균 구속 88마일의 체인지업을 던지는 파이어볼러. 스플리터도 간간히 구사했지만 체인지업으로 바꿨으며, 2024년에는 싱커를 장착하여 2024년 기준으로는 포심, 싱커, 커터, 너클 커브, 체인지업을 구사하며 땅볼 유도와 탈삼진을 오가는 완급 조절형 피처로 진화했다.
단점은 멘탈과 커맨드. 제구가 심하게 나쁘다기 보다는 잘 하다가 주자가 나가거나 한번 정타를 맞으면 실투를 던져서 더 맞거나 이상한 투구 패턴이나 볼배합을 보이곤 한다. 브라운이 부진한 경기는 보통 내야 실책이 나오고 이후 볼넷 안주겠다고 정직하게 정면 승부하다 대놓고 실투 던지고 장타 맞고 멸망하는 패턴이 반복된다. 즉 멘탈이 나간다고 해서 제구 난조를 보이는 것은 아니고 진짜 정직한 로케이션에 실투를 던지다 망하는 유형이다.
단순히 멘탈 뿐만 아니라 포심이 구속 대비 완성도가 평범하다는 문제도 있다. 이는 24시즌 초 뿐만 아니라 23시즌 부진과도 연관이 있는데 브라운의 포심은 구속만 빠를 뿐 브라운 본인이 존경하는 저스틴 벌랜더와 달리 의외로 구위가 좋지 못하다. 구종 가치도 낮은 편으로 오히려 새로 장착한 싱커의 구종 가치가 더 좋다. 23시즌은 포심에 의존하며 정직하게 힘 싸움하다 망한 경우고 24시즌은 싱커 던지다 잘 안풀리면 예전처럼 포심 던지다 망하는 것이다. 그나마 커브 명가 휴스턴 유망주 답게 커브 완성도가 괜찮아서 평상시에는 커브 포함 여러 변화구도 잘 섞어서 삼진도 잘 솎아내고 싱커로 땅볼유도도 잘한다. 상술한 멘탈이 괜찮을 경우 한정이지만.
상술했듯 2024 시즌 중반에 새로 싱커를 장착[2]하더니 성적이 기하급수적으로 좋아졌다. 새로 장착한 것 치고는 완성도가 매우 높은 편으로 우완 프램버 발데스가 연상될 정도로 땅볼 유도가 매우 뛰어나다. 사용하는 구종도 발데스와 똑같아서 사실상 구속 더 빠른 오른손 발데스다. 싱커 투수가 된 이후로는 땅볼 유도형 투수로 변했지만 필요할 때는 기존처럼 탈삼진도 잡아내기 때문에 싱커볼러 치고는 탈삼진률이 높다.[3] 다만 발데스와 차이점이라면 발데스는 싱커가 주무기로서 완벽하게 땅볼 유도에 특화됐다면 브라운은 싱커볼러가 되긴 했으나 땅볼 유도도 될 뿐 너클 커브와 포심도 섞으면서 삼진도 잘 잡는 유형이다. 오히려 상황에 따라 땅볼 유도까지 되는 탈삼진형 하이브리드 싱커 볼러에 가깝다.
한솥밥을 먹었던 에이스 저스틴 벌랜더와 투구폼이 흡사한데, 본인이 직접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한 마디로 구속이 좀 느린 2000년대의 벌랜더를 보는 듯하다.[4]
2025년에는 포심마저 피안타율이 0할대를 기록하는 등 포심 구위가 급상승하여 발데스나 벌랜더보다는 케빈 브라운을 연상케 하는 하이브리드형 싱커볼러로 정착했다.[5][6]
4. 수상 내역
| 수상 내역 |
5. 연도별 성적
| |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2 | HOU | 7 | 2 | 0 | 0 | 2 | 20⅓ | 0.89 | 15 | 0 | 7 | 0 | 22 | 1.082 | 438 | 0.6 | 0.8 |
| 2023 | 31 | 11 | 13 | 0 | 0 | 155⅔ | 5.09 | 157 | 26 | 55 | 9 | 178 | 1.362 | 83 | 1.8 | 0.1 | |
| 2024 | 31 | 11 | 9 | 0 | 0 | 170 | 3.49 | 156 | 18 | 60 | 5 | 179 | 1.271 | 113 | 3.1 | 2.6 | |
| 2025 | 31 | 12 | 9 | 0 | 0 | 185⅓ | 2.43 | 133 | 17 | 57 | 7 | 206 | 1.026 | 172 | 4.6 | 6.1 | |
| MLB 통산 (4시즌) | 100 | 36 | 31 | 0 | 2 | 531⅓ | 3.49 | 361 | 61 | 179 | 21 | 585 | 1.205 | 119 | 10.2 | 9.5 | |
6. 여담
- 디트로이트 출신인 데다가 당시 디트로이트의 에이스였던 저스틴 벌랜더의 팬으로 자랐다고 한다. 벌랜더와 비슷한 투구폼을 가졌다는 점에서 그야말로 완벽한 벌랜더 팬이다. 근데 마침 벌랜더와 같은 팀이 되었으니 정말로 성덕이 따로 없는 셈. 브라운의 콜업 다음 해에 벌랜더가 뉴욕 메츠로 떠나버렸지만, 트레이드 데드라인에 벌랜더가 휴스턴으로 컴백하면서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다시 벌랜더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떠나면서 이별하게 되었다.
- 현지에서 디젤이라는 별명이 있다.
7. 둘러보기
| 헌터 브라운의 수상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 2022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25 |
| 2025 ALL-MLB SECOND TEAM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YY | OF | CHC | OF | AZ | OF | ||||||
| TOR | SS | MIL | 2B | ||||||||
| TB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
ATH | 1B ||
| PHI | DH | LAD | C | |||
| PHI | SP | MIL | SP | SEA | SP | PHI | SP | HOU | SP |
| NYM | RP | SEA | RP | |||
}}} ||
}}} ||
| | ||||
| 크리스 부비치 (캔자스시티 로열스) | → | 헌터 브라운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네이선 이볼디 (텍사스 레인저스) |
[1] 애초에 휴스턴이 주력 선수들은 거의 다 중남미에서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데려오는 경우가 흔한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휴스턴이 윈나우를 달리며 픽이 뒤로 밀린 데다가 상위픽 지명에서 성공하는 경우가 2016년부터는 거의 드물었기도 했다. 물론 상위픽에서 카를로스 코레아, 알렉스 브레그먼, 카일 터커 등을 지명했던 리즈 시절도 있긴 했었지만.[2] 알렉스 브레그먼의 조언을 받아 장착했다.[3] 다만 포심으로 잡아내던 과거와 달리 커브와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로 잡아내는 편이었다.[4] 참고로 2000년대 벌랜더는 평속은 브라운과 비슷하거나 좀 더 낮았지만 최고 구속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5] 발데스는 말 그대로 땅볼유도에 몰빵된 땅볼 투수고 벌랜더는 휴스턴 시기부터는 포심에 모든 것이 담긴 파워 피처다. 그러나 헌터 브라운은 포심 싱커가 적절히 배합된 유형이라 케빈 브라운에 더 가깝다. 벌랜더의 폼으로 던지는 케빈 브라운이라고 볼 수 있다.[6] 여담으로 헌터 브라운의 아버지의 이름도 케빈 브라운으로 투수 케빈 브라운과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