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은행 자산 규모 상위 30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5년 세계 은행 자산 규모 순위 | |||
| 순위 | 국적 | 기업 | 자산 총액 (USD) | |
| 1위 | [[중국| 중국]] | | 6.69조 | |
| 2위 | [[중국| 중국]] | | 5.92조 | |
| 3위 | [[중국| 중국]] | | 5.56조 | |
| 4위 | [[중국| 중국]] | | 4.80조 | |
| 5위 | [[미국| 미국]] | | 4.00조 | |
| 6위 | [[미국| 미국]] | | 3.26조 | |
| 7위 | [[영국| 영국]] | | 2.99조 | |
| 8위 | [[프랑스| 프랑스]] | | 2.81조 | |
| 9위 | [[프랑스| 프랑스]] | | 2.69조 | |
| 10위 | [[일본| 일본]] | | 2.63조 | |
| 11위 | [[중국| 중국]] | | 2.34조 | |
| 12위 | [[미국| 미국]] | | 2.15조 | |
| 13위 | [[중국| 중국]] | | 2.04조 | |
| 14위 | [[일본| 일본]] | | 1.98조 | |
| 15위 | [[미국| 미국]] | | 1.93조 | |
| 16위 | [[스페인| 스페인]] | | 1.90조 | |
| 17위 | [[영국| 영국]] | | 1.90조 | |
| 18위 | [[일본| 일본]] | | 1.81조 | |
| 19위 | [[미국| 미국]] | | 1.68조 | |
| 20위 | [[중국| 중국]] | | 1.67조 | |
| 21위 | [[프랑스| 프랑스]] | | 1.65조 | |
| 22위 | [[프랑스| 프랑스]] | | 1.60조 | |
| 23위 | [[스위스| 스위스]] | | 1.56조 | |
| 24위 | [[일본| 일본]] | | 1.55조 | |
| 25위 | [[캐나다| 캐나다]] | | 1.51조 | |
| 26위 | [[캐나다| 캐나다]] | | 1.45조 | |
| 27위 | [[중국| 중국]] | | 1.44조 | |
| 28위 | [[독일| 독일]] | | 1.44조 | |
| 29위 | [[중국| 중국]] | 파일:중신은행 로고.svg | 1.31조 | |
| 30위 | [[중국| 중국]] | | 1.30조 | |
| 출처: S&P, 2025년 4월 15일 링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em" | | |
| | | |
| BPCE 그룹 | ||
| [[세계| | }}}}}}}}} | |
| <colbgcolor=#006A4E><colcolor=#fff> 크레디 아그리콜 Crédit Agricole | |||
| | |||
| 법인명 | Crédit Agricole S.A. 크레디 아그리콜 주식회사 | ||
| 국가 | | ||
| 설립일 | 1885년 2월 23일(지역 농업 신용조합) 1894년 11월 5일(법 제정 및 은행 설립) | ||
| 창립자 | 쥘 멜린[1] | ||
| 업종명 | 금융업 | ||
| 이사회 | 의장 도미니크 르페브르 (2015~2025년) | ||
| 직원 수 | 154,000명 (2025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재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 <colbgcolor=#006A4E><colcolor=#FFF> 자산 | 2조 3,097억 EUR (2024년) | |
| 자본 | 833.11억 EUR (2024년) | ||
| 부채 | 1조 5,407억 EUR (2024년) | ||
| 매출액 | 253.27억 EUR (2024년) | ||
| 영업 이익 | 104.28억 EUR (2024년) | ||
| 당기 순이익 | 70.87억 EUR (2024년) | ||
| 신용 등급 | Aa3 (2024년~ / 무디스) A+ (2018년~ / S&P 글로벌) A+ (2017년~ / 피치레이팅스) | }}}}}}}}} | |
| 상장 여부 | 상장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주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 <colbgcolor=#006A4E><colcolor=#FFF> 주식 | 유로넥스트 파리 (2001년~ / ACA) | |
| ISIN | FR0000045072 | ||
| 편입 지수 | CAC 40 | ||
| 시가 총액 | 약 508억 EUR (2025년 3월 21일) | }}}}}}}}} | |
| SWIFT | AGRIFRPPXXX | ||
| 주요 자회사 | Amundi 크레디 리오네(Crédit Lyonnais) | ||
| 소재지 | 일드프랑스 오드센 몽루주 50 Av. Jean Jaurès 92 120 | ||
| 링크 | |||
1. 개요
프랑스의 금융지주회사로 세계 최대의 협동조합 금융그룹. 농업과의 연관성으로 La banque verte(녹색은행)이라고 불린다.2. 역사
1894년 프랑스 농업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름의 아그리콜(농업)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는 한국의 농협은행 같은 국책은행이었으나 1980년 사업 다각화와 확장을 거쳐 1988년 민영화되었다. 2003년 크레디리오네 소매은행을 인수하였다.3. 대한민국 지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중앙은행 | |
| | ||
| 국내은행 | ||
| 국책은행 | ||
| 특수은행 | ||
| 시중은행 | ||
| 지방은행 | ||
| 인터넷전문은행 | ||
| 외국은행의 국내지점 | ||
| 미국 | ||
| 유럽 | ||
| 일본 | ||
| 중국 | ||
| 기타 국가 | ||
| ⊛: 소매금융 미취급 은행 | ㉨: 지방은행에서 전환된 은행 은행연합회 은행경영공시 기준 # | ||
|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 | 대한민국의 증권사 | 대한민국의 없어진 은행 | SWIFT 코드 보기 | ||
대한민국에는 크레디 아그리콜 CIB 서울지점[2], 크레디 아그리콜 아시아증권 서울지점, NH-Amundi자산운용[3] 등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