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은행 자산 규모 상위 30위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5년 세계 은행 자산 규모 순위 | |||
| 순위 | 국적 | 기업 | 자산 총액 (USD) | |
| 1위 | [[중국| 중국]] | | 6.69조 | |
| 2위 | [[중국| 중국]] | | 5.92조 | |
| 3위 | [[중국| 중국]] | | 5.56조 | |
| 4위 | [[중국| 중국]] | | 4.80조 | |
| 5위 | [[미국| 미국]] | | 4.00조 | |
| 6위 | [[미국| 미국]] | | 3.26조 | |
| 7위 | [[영국| 영국]] | | 2.99조 | |
| 8위 | [[프랑스| 프랑스]] | | 2.81조 | |
| 9위 | [[프랑스| 프랑스]] | | 2.69조 | |
| 10위 | [[일본| 일본]] | | 2.63조 | |
| 11위 | [[중국| 중국]] | | 2.34조 | |
| 12위 | [[미국| 미국]] | | 2.15조 | |
| 13위 | [[중국| 중국]] | | 2.04조 | |
| 14위 | [[일본| 일본]] | | 1.98조 | |
| 15위 | [[미국| 미국]] | | 1.93조 | |
| 16위 | [[스페인| 스페인]] | | 1.90조 | |
| 17위 | [[영국| 영국]] | | 1.90조 | |
| 18위 | [[일본| 일본]] | | 1.81조 | |
| 19위 | [[미국| 미국]] | | 1.68조 | |
| 20위 | [[중국| 중국]] | | 1.67조 | |
| 21위 | [[프랑스| 프랑스]] | | 1.65조 | |
| 22위 | [[프랑스| 프랑스]] | | 1.60조 | |
| 23위 | [[스위스| 스위스]] | | 1.56조 | |
| 24위 | [[일본| 일본]] | | 1.55조 | |
| 25위 | [[캐나다| 캐나다]] | | 1.51조 | |
| 26위 | [[캐나다| 캐나다]] | | 1.45조 | |
| 27위 | [[중국| 중국]] | | 1.44조 | |
| 28위 | [[독일| 독일]] | | 1.44조 | |
| 29위 | [[중국| 중국]] | 파일:중신은행 로고.svg | 1.31조 | |
| 30위 | [[중국| 중국]] | | 1.30조 | |
| 출처: S&P, 2025년 4월 15일 링크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전국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앙은행 | ||
| | |||
| 중국인민은행 | |||
| 개발성 은행 | |||
| | |||
| 국가개발은행 | |||
||<table width=100%><tablebgcolor=#ee1c25><-2> 정책성 은행 ||
| | |
| 중국진출구은행 | 중국농업발전은행 |
| 국유대형상업은행 | ||||
| | | | ||
| 중국은행 | 중국공상은행 | 중국건설은행 | ||
| | | | ||
| 중국농업은행 | 교통은행 | 중국우정저축은행 | ||
| * 이 중 중국은행, 중국공상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농업은행은 4대 은행(四大行)이라고 불린다. | ||||
| 주택저축은행 | ||||
| | ||||
| 중독주방저축은행 | ||||
| 주식형 은행 | ||||
| 중국광다은행 · 중국민생은행 · 초상은행 · 중신은행 · 화샤은행 · 상하이푸둥발전은행 · 핑안은행 · 광파은행 · 싱예은행 · 저상은행 · 보하이은행 · 헝펑은행 | ||||
| 민영은행 | ||||
| 왕상은행 · 웨이중은행 · 민상은행 · 진청은행 · 화루이은행 · 화퉁은행 · 푸민은행 · 신안은행 · 중방은행 · 싼샹은행 · 신왕은행 · 중관춘은행 · 쑤닝은행 · 란하이은행 · 전싱은행 · 이롄은행 · 커상은행 · 위민은행 · 인상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도시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화베이 | ||
| 베이징은행 · 톈진은행 · 화베이은행 · 창저우은행 · 탕산은행 · 청더은행 · 싱타이은행 · 랑팡은행 · 바오딩은행 · 한단은행 · 장자커우은행 · 헝수이은행 · 친황다오은행 · 진상은행 · 산시은행 · 네이멍구은행 · 멍상은행 · 어얼둬쓰은행 · 우하이은행 | ||||
| 둥베이 | ||||
| 탕징은행 · 랴오선은행 · 다롄은행 · 안산은행 · 푸순은행 · 단둥은행 · 진저우은행 · 차오양은행 · 톄링은행 · 잉커우은행 · 푸신은행 · 후루다오은행 · 번시은행 · 판진은행 · 지린은행 · 하얼빈은행 · 룽장은행 | ||||
| 화둥 | ||||
| 상하이은행 · 장쑤은행 · 난징은행 · 쑤저우은행 · 장쑤창장상업은행 · 항저우은행 · 닝보은행 · 닝보통상은행 · 닝보둥하이은행 · 원저우은행 · 진화은행 · 사오싱은행 · 타이저우은행 · 저장친룽상업은행 · 저장민친상업은행 · 자싱은행 · 후저우은행 · 웨이상은행 · 푸젠하이샤은행 · 샤먼은행 · 취안저우은행 · 샤먼국제은행 · 장시은행 · 간저우은행 · 상라오은행 · 지루은행 · 칭다오은행 · 지상은행 · 옌타이은행 · 웨이팡은행 · 라이상은행 · 지닝은행 · 더저우은행 · 린상은행 · 르자오은행 · 웨이하이시상업은행 · 짜오좡은행 · 둥잉은행 · 친안은행 | ||||
| 중난 | ||||
| 중위안은행 · 정저우은행 · 뤄양은행 · 핑딩산은행 · 자오쭤중여은행 · 한커우은행 · 후베이은행 · 창사은행 · 화룽샹장은행 · 광저우은행 · 둥관은행 · 주하이화룬은행 · 광둥난웨은행 · 광둥화싱은행 · 광시베이부완은행 · 구이린은행 · 류저우은행 · 하이난은행 | ||||
| 시난 | ||||
| 충칭은행 · 충칭싼샤은행 · 쓰촨은행 · 청두은행 · 창청화시은행 · 쓰촨톈푸은행 · 쑤이닝은행 · 쯔궁은행 · 몐양시상업은행 · 이빈시상업은행 · 다저우은행 · 러산시상업은행 · 야안시상업은행 · 루저우은행 · 구이양은행 · 구이저우은행 · 푸뎬은행 · 윈난훙타은행 · 취징시상업은행 · 시짱은행 | ||||
| 시베이 | ||||
| 시안은행 · 창안은행 · 란저우은행 · 간쑤은행 · 닝샤은행 · 스쭈이산은행 · 칭하이은행 · 신장은행 · 우루무치은행 · 쿤룬은행 · 쿠얼러은행 · 신장후이화은행 · 하미시상업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농촌합작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허베이성 | ||
| 스자좡회융농촌합작은행 | ||||
| 윈난성 | ||||
| 쿤밍관두농촌합작은행 | ||||
| 산시(陕西)성 | ||||
| 산시푸셴농촌합작은행 · 산시우지농촌합작은행 | ||||
| 간쑤성 | ||||
| 간쑤위중농촌합작은행 · 룽난우두농촌합작은행 · 간쑤닝셴농촌합작은행 · 톈수이친저우농촌합작은행 · 톈수이마이취농촌합작은행 | ||||
| 내몽골 자치구 | ||||
| 시린하오터농촌합작은행 · 퉁랴오나이만농촌합작은행 · 얼롄하오터농촌합작은행 | ||||
| 광시 좡족 자치구 | ||||
| 광시구이린리장농촌합작은행 · 광시바이써유장농촌합작은행 · 광시허저우구이둥농촌합작은행 · 광시류장농촌합작은행 · 광시이저우농촌합작은행 · 광시리푸농촌합작은행 · 광시양숴농촌합작은행 ·광시링촨농촌합작은행 ·광시취안저우농촌합작은행 ·광시싱안농촌합작은행 ·광시핑러농촌합작은행 ·광시핑궈농촌합작은행 ·광시샹저우농촌합작은행 |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 신장스허쯔농촌합작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화베이농촌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베이징시 · 톈진시 | ||
| 베이징농상은행 · 톈진농촌상업은행 · 톈진빈하이농촌상업은행 | ||||
| 허베이성 | ||||
| 허베이창저우룽신농촌상업은행 · 싱타이칭허농촌상업은행 · 탕산농촌상업은행 · 허베이원안농촌상업은행 · 싱타이농촌상업은행 | ||||
| 산시(山西)성 | ||||
| 산시야오두농촌상업은행 · 다퉁베이두농촌상업은행 · 창즈루저우농촌상업은행 · 산시링스농촌상업은행 · 산시우타이농촌상업은행 · 산시샹닝농촌상업은행 · 산시서우양농촌상업은행 · 산시허우마농촌상업은행 · 산시위츠농촌상업은행 · 산시루청농촌상업은행 · 산시위츠농촌상업은행 · 산시멍셴농촌상업은행 · 산시허진농촌상업은행 · 산시루청농촌상업은행 · 산시구자오농촌상업은행 · 산시윈청농촌상업은행 · 산시샤셴농촌상업은행 · 산시칭쉬농촌상업은행 · 산시창즈리두농촌상업은행 · 산시창쯔농촌상업은행 | ||||
| 내몽골 자치구 | ||||
| 어얼둬쓰농상은행 · 네이멍구우라트농촌상업은행 · 이진훠뤄농촌상업은행 · 네이멍구구위안바오산농촌상업은행 · 아라산농촌상업은행 · 바예나오얼허타오농촌상업은행 · 후룬베이얼농촌상업은행 · 츠펑쑹산농촌상업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둥베이농촌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랴오닝성 | ||
| 선양농촌상업은행 · 단둥농촌상업은행 · 라오양농촌상업은행 · 라오둥농촌상업은행 · 덩타농촌상업은행 · 둥강농촌상업은행 · 라오닝펑청농촌상업은행 · 잉커우룽성농촌상업은행 · 진저우톈차오농촌상업은행 · 푸순왕화농촌상업은행 · 싱청농촌상업은행 · 안산농촌상업은행 · 칭위안농촌상업은행 · 후루다오롄산농촌상업은행 · 다롄농촌상업은행 | ||||
| 지린성 | ||||
| 지린주타이농촌상업은행 · 창춘농촌상업은행 · 창춘발전상은행 · 지린솽양농촌상업은행 · 지린위수농촌상업은행 · 지린더후이농촌상업은행 · 지린눙안농촌상업은행 · 지린환청농촌상업은행 · 지린수란농촌상업은행 · 지린자오허농촌상업은행 · 지린판스농촌상업은행 · 지린융지지린판스농촌상업은행 · 지린궁주링지린판스농촌상업은행 · 랴오위안지린판스농촌상업은행 · 지린둥펑지린판스농촌상업은행 · 옌볜농촌상업은행 · 지린룽징농촌상업은행 · 지린안투농촌상업은행 · 지린왕칭농촌상업은행 · 지린허룽농촌상업은행 · 지린훈춘농촌상업은행 · 지린둔화농촌상업은행 · 지린바이청농촌상업은행 · 지린다안농촌상업은행 · 지린전라이농촌상업은행 · 창바이산보호개발구농촌상업은행 · 지린궈얼뤄쓰농촌상업은행 · 퉁화농촌상업은행 · 지린퉁화하이커농촌상업은행 · 지린훈난농촌상업은행 · 지린메이허커우농촌상업은행 · 지린류허농촌상업은행 · 지린지안농촌상업은행 · 지린훈장농촌상업은행 · 지린푸쑹농촌상업은행 · 지린린장농촌상업은행 · 지린징위농촌상업은행 | ||||
| 헤이룽장성 | ||||
| 다싱안링농상은행 · 헤이허농촌상업은행 · 유이농촌상업은행 · 헤이룽장둥닝농촌상업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화둥농촌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상하이시 · 장쑤성 | ||
| 상하이농촌상업은행 · 장쑤가오춘농촌상업은행 · 장쑤리수이농촌상업은행 · 쉬저우화이하이농촌상업은행 · 장쑤신이농촌상업은행 · 장쑤피저우농촌상업은행 · 장쑤이싱농촌상업은행 · 장쑤양중농촌상업은행 · 장쑤단양농촌상업은행 · 장쑤쥐룽농촌상업은행 · 장쑤전장농촌상업은행 · 장쑤바오잉농촌상업은행 · 장쑤이정농촌상업은행 · 장쑤가오유농촌상업은행 · 장쑤장두농촌상업은행 · 장쑤진후농촌상업은행 · 장쑤쉬이농촌상업은행 · 장쑤롄수이농촌상업은행 · 장쑤화이안농촌상업은행 · 장쑤간위농촌상업은행 · 장쑤슈양농촌상업은행 · 장쑤쓰훙농촌상업은행 · 장쑤쓰양농촌상업은행 · 장쑤민펑농촌상업은행 · 장쑤싱화농촌상업은행 · 장쑤타이저우농촌상업은행 · 장쑤장옌농촌상업은행 · 장쑤둥타이농촌상업은행 · 장쑤샹수이농촌상업은행 · 장쑤다펑농촌상업은행 · 장쑤푸닝농촌상업은행 · 장쑤젠후농촌상업은행 · 장쑤루둥농촌상업은행 · 장쑤치둥농촌상업은행 · 장쑤하이안농촌상업은행 · 장쑤하이먼농촌상업은행 · 장쑤루가오농촌상업은행 · 장쑤난퉁농촌상업은행 · 장쑤쯔진농촌상업은행 · 장쑤서양농촌상업은행 · 펑셴농촌상업은행 · 장자강농촌상업은행 · 우시농촌상업은행 · 창수농촌상업은행 · 쑤저우농촌상업은행 · 징장농촌상업은행 · 장쑤옌청황하이농촌상업은행 · 장인농촌상업은행 · 쿤산농촌상업은행 · 타이창농촌상업은행 · 장난농촌상업은행 · 롄윈강둥팡농촌상업은행 | ||||
| 저장성 | ||||
| 항저우연합은행 · 쑤산농상은행 · 푸양농상은행 · 루청농상은행 · 어우하이농상은행 · 룽완농상은행 · 루이안농상은행 · 러칭농상은행 · 융자농상은행 · 창난농상은행 · 허청농상은행 · 자산농상은행 · 하이닝농상은행 · 안지농상은행 · 더칭농상은행 · 주지농상은행 · 상위농상은행 · 신창농상은행 · 이우농상은행 · 융캉농상은행 · 둥양농상은행 · 장산농상은행 · 톈타이농상은행 · 롄두농상은행 · 위항농상은행 · 진화청친농상은행 · 루이펑농상은행 · 칭톈농촌상업은행 · 푸퉈농촌상업은행 · 딩하이해양농상은행 · 난쉰농상은행 · 인저우은행 | ||||
| 안후이성 | ||||
| 우후양쯔농촌상업은행 · 허페이과기농촌상업은행 · 츠저우주화농촌상업은행 · 안후이마안산농촌상업은행 · 안칭두슈농촌상업은행 · 안후이페이시농촌상업은행 | ||||
| 푸젠성 | ||||
| 푸저우농촌상업은행 · 장저우농촌상업은행 · 취안저우농촌상업은행 · 푸젠푸톈농촌상업은행 · 난핑농촌상업은행 · 싼밍시농촌상업은행 · 닝더농촌상업은행 · 푸젠상항농촌상업은행 · 샤먼농촌상업은행 · 푸젠푸징회통농촌상업은행 · 푸젠징탄농촌상업은행 | ||||
| 장시성 | ||||
| 난창훙두농촌상업은행 · 주장농상은행 · 이춘농상은행 · 간저우농촌상업은행 · 징더전농상은행 · 신위농상은행 · 지안농상은행 · 난창농촌상업은행 | ||||
| 산둥성 | ||||
| 산둥지양농촌상업은행 · 칭다오농상은행 · 산둥보싱농촌상업은행 · 산둥저우핑농촌상업은행 · 산둥위청농촌상업은행 · 산둥광라오농촌상업은행 · 산둥쿤리농촌상업은행 · 산둥윈청농촌상업은행 · 류청농촌상업은행 · 웨이팡농촌상업은행 · 산둥창러농촌상업은행 · 산둥린거우농촌상업은행 · 산둥창이농촌상업은행 · 산둥가오미농촌상업은행 · 산둥칭저우농촌상업은행 · 산둥서우광농촌상업은행 · 산둥지청농촌상업은행 · 산둥닝양농촌상업은행 · 웨이하이농촌상업은행 · 산둥룽청농촌상업은행 · 옌타이농촌상업은행 · 산둥라이저우농촌상업은행 · 산둥타이얼좡농촌상업은행 · 산둥텅저우농촌상업은행 · 산둥장뎬농촌상업은행 · 산둥저우춘농촌상업은행 · 라이우농상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중난농촌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허난성 | ||
| 허난볜징농촌상업은행 · 허난신정농촌상업은행 · 안양상두농촌상업은행 · 허비농촌상업은행 · 쥔셴농촌상업은행 · 이촨농촌상업은행 · 쉬창웨이두농촌상업은행 · 싼먼샤후빈농촌상업은행 · 허난뤄산농촌상업은행 · 허난신셴농촌상업은행 · 후이셴농촌상업은행 · 허난쿠스농촌상업은행 · 허난타이첸농촌상업은행 · 허난지리농촌상업은행 · 허난루저우농촌상업은행 · 허난몐츠농촌상업은행 · 허난루스농촌상업은행 · 허난옌링농촌상업은행 · 허난췌산농촌상업은행 · 상추화상농촌상업은행 | ||||
| 후베이성 | ||||
| 우한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주산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쯔구이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쑹쯔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첸장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주시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다예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이언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리촨농촌상업은행 · 후베이퉁산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다우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창양농촌상업은행 · 징먼둥바오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마청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우쉐농촌상업은행 · 후베이훙안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뤄톈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잉산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셴타오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싼샤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쑤이저우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돤펑농촌상업은행 · 후베이탕양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스옌농촌상업은행 · 황스농촌상업은행 · 후베이구청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샹양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셴양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충양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윈멍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언스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치춘농촌상업은행 · 후베이양신농촌상업은행 · 후베이톈먼농촌상업은행 · 후베이바둥농촌상업은행 | ||||
| 광둥성 | ||||
| 선전농촌상업은행 · 광저우농촌상업은행 · 주하이농촌상업은행 · 둥관농촌상업은행 · 후이저우농촌상업은행 · 후이둥농촌상업은행 · 보뤄농촌상업은행 · 룽먼농촌상업은행 · 장먼농촌상업은행 · 광둥양둥농촌상업은행 · 허위안농촌상업은행 · 둥위안농촌상업은행 · 지칭루이저우농촌상업은행 · 가오야오농촌상업은행 · 제양농촌상업은행 · 제시농촌상업은행 · 포산농촌상업은행 · 순더농촌상업은행 · 난하이농촌상업은행 · 가오밍농촌상업은행 · 칭위안농촌상업은행 · 광둥다푸농촌상업은행 · 광둥신싱농촌상업은행 · 중산농촌상업은행 | ||||
| 광시 좡족 자치구 | ||||
| 광시충쭤구이난농촌상업은행 · 광시린구이농촌상업은행 · 광시천시농촌상업은행 · 광시둥싱농촌상업은행 · 광시징시농촌상업은행 · 광시핑샹농촌상업은행 · 광시마산농촌상업은행 · 광시상린농촌상업은행 · 광시루자이농촌상업은행 · 광시룽안농촌상업은행 · 광시관양농촌상업은행 · 광시쯔위안농촌상업은행 · 광시멍산농촌상업은행 · 광시톈양농촌상업은행 · 광시톈둥농촌상업은행 · 광시나포농촌상업은행 · 광시링윈농촌상업은행 · 광시러예농촌상업은행 · 광시톈린농촌상업은행 · 광시사오핑농촌상업은행 · 광시푸쑤이농촌상업은행 · 광시닝밍농촌상업은행 · 광시룽저우농촌상업은행 · 광시다신농촌상업은행 · 광시톈덩농촌상업은행 · 광시룽성농촌상업은행 · 광시궁청농촌상업은행 · 광시룽린농촌상업은행 · 광시푸촨농촌상업은행 · 광시푸베이농촌상업은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시난 · 시베이농촌상업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충칭시 · 쓰촨성 | ||
| 충칭농촌상업은행 · 청두농촌상업은행 · 창닝주하이농촌상업은행 · 이빈추이핑농촌상업은행 · 러산싼장농촌상업은행 · 판즈화농촌상업은행 · 쓰촨쉬융농촌상업은행 · 쓰촨쥔롄농촌상업은행 · 루저우룽마탄농촌상업은행 | ||||
| 구이저우성 | ||||
| 구아양농촌상업은행 | ||||
| 산시(陕西)성 | ||||
| 산시친눙농촌상업은행 · 산시선무농촌상업은행 | ||||
| 간쑤성 | ||||
| 주취안농촌상업은행 · 우웨이농촌상업은행 · 란저우농촌상업은행 · 구량농촌상업은행 · 톈주농촌상업은행 · 융창농촌상업은행 · 진촨농촌상업은행 | ||||
| 칭하이성 | ||||
| 시닝농촌상업은행 | ||||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
| 황허농촌상업은행 |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 톈산농촌상업은행 | }}}}}}}}} | |||
| 중국우정저축은행 中国邮政储蓄银行 Postal Savings Bank of China Co., Ltd (PSBC) | |
| | |
| <colbgcolor=#026649> 국가 | |
| 설립년 | 2007년 3월 6일([age(2007-03-06)]주년) |
| 본사 소재지 | 베이징시 시청구 진룽다제3호 北京市西城区金融大街3号 |
| 업종 | 금융업 |
| 시가총액 | 66조 1,527억원(2022. 07. 15.) |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 상장 시장 | 상하이증권거래소601658 홍콩증권거래소1658 |
| SWIFT코드 | PSBCCNBJ |
| 회장 | 장진량(张金良) |
| 은행장 | 류젠쥔(刘建军) |
| 지배 구조 | 중국우정집단 67.29% |
| 본사 위치 | |
| 주소 | |
1. 개요
중국의 6개 국유대형상업은행 중 하나로, 6개 은행 중에서 제일 늦게 설립된 은행이다. 시가총액 역시 6위였으나 현재는 교통은행을 제치고 5위에 오르고 있다. 또한 국유대형상업은행 6개 중 유일하게 대한민국 지점이 없는 은행이기도 하다.2. 역사
역사는 굉장히 짧지만, 중화민국 시절에 우정저축조례(郵政儲金條例)를 통해 이미 우정저축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었고, 우정총국(郵政總局/現 중화민국 중화우정)이 해당 업무를 맡았다.그러나 1953년, 중앙인민정부는 해당 업무를 중단시켰고 해당 업무는 1986년이 되어서야 재개되었다.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우전부(邮电部) 및 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이 공동으로 사업을 맡았으며, 우전부가 송금업무를 담당하고 중국인민은행이 저축업무를 담당하는 체제였다.
2001년 7월 1일부터 전자송금업무가 시작되었고, 2004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8%를 넘어서 9%대를 바라보고 가자 2005년에 은행업무를 분리시키기로 결정한다.
이후 2007년 3월 6일에 공식적으로 중국우정저축은행이 설립되었고, 2016년 9월 28일에 홍콩증권거래소, 2019년 12월 10일에 상하이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