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keepall>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b133e><colcolor=#fff>고기류 | 치킨, 프라이드치킨, 버팔로 윙, 비어 캔 치킨, 치킨너겟, 바비큐, 칠면조 구이, 스테이크 - 포터하우스, 스팸, 터덕킨, 미트로프 |
| 빵류 | 햄버거, 핫도그, 콘도그, 시카고식 피자, 당근 케이크, 치즈케이크, 레드 벨벳 케이크, 시폰케이크, 브라우니 - 대마초 브라우니, 도넛, 컵케이크, 머핀, 베이글, 사과 파이, 호박 파이, 호두 파이, 크림 파이, 팬케이크, 옥수수빵, 피넛 버터 앤드 젤리, 몬테크리스토 샌드위치, 코블러 | |
| 밥류 | 잠발라야, 캘리포니아 롤, 무스비 | |
| 면류 | 치킨누들수프, 크림소스 스파게티, 마카로니 앤 치즈 | |
| 해산물류 | 랍스터 롤, 시푸드 보일, 크랩 케이크, 포케 | |
| 과자류 | 비스킷, 초코칩 쿠키, 팝콘, 나초, 시리얼, 오레오, 감자칩 | |
| 액체류 | 콘수프, 호박죽, 콜라, 카페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밀크셰이크, 살구수프 | |
| 기타 | 바나나 스플릿, 베이크드 빈즈, 검보, 클램차우더, 그래놀라, 나폴리탄 아이스크림, 땅콩버터, 루트비어, 마시멜로, 스모어, 스크램블드에그, 아메리칸 브렉퍼스트, 에그 베네딕트, 감자 샐러드, 해시 브라운, 웨지 포테이토, 어니언링, 치즈볼, 치즈스틱, 미국식 중화 요리, 하와이 요리 |
| |
| 옥수수 반죽을 팬케이크처럼 둥글게 부쳐서 만든 콘폰(Corn pone) |
1. 개요
Cornbread이름 그대로 옥수수로 만든 빵. 보통 옥수수 가루로 만든 반죽을 쪄서 만든다.
2. 상세
| 1796년에 기록된 레시피대로 재현한 옥수수빵 |
이런 역사가 있는지라 아직까지도 미국인의 향토 음식으로 취급되며 조리법도 만드는 사람마다 다 달라서 엄청나게 많다. 만드는 법도 매우 간단해서 많이 소비된다. 특히 추수감사절에도 칠면조와 함께 빼놓을 수 없는 음식 중 하나 취급이다. 물론 시대가 지나면서 순 옥수수로 만드는 것보다는 밀가루에 옥수수가루를 섞거나, 발효빵으로 만들거나, 오븐으로 굽거나 하는 등 좀 더 조리기법이 발달했다. 우선 구워서 만드는 콘브레드의 경우 모양새는 파운드 케이크에 좀 더 가깝고, 박력분 혹은 중력분과 옥수수 가루를 섞어 만드는 콘브레드의 경우 레시피에 따라 스콘과 좀 더 비슷한 모양이 된다.[1]
콘벨트(Corn Belt)와 인근 지방, 특히 미국 남부를 상징하는 식품 중에 하나로, 남부인들이 자기네 문화로 자랑하는 것을 꼽으면 으레 이 옥수수빵과 문샤인, 손님에 대한 따뜻한 환대와 개척자 정신 등이 나온다.
쪄서 만든 것 외에도 팬케이크처럼 옥수수 반죽을 프라이팬에 구워서 만드는 콘폰(Corn Pone)이라는 형태의 옥수수빵도 있다. 소설 허클베리 핀의 모험에서 나온 것으로 유명한데, 작중에서도 제과점 빵보다 질이 낮은 저질음식이라고 까인다. 여행용 케이크(Journey Cake) 혹은 조니 케이크(Johnny Cake), 괭이 케이크(Hoe Cake)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데 여행 케이크는 이름 그대로 만들기 간단해서 여행용 식량으로 좋았기 때문이고, 조니 케이크는 Journey의 발음이 와전되어서 붙은 이름, 그리고 괭이 케이크는 변변찮은 조리도구도 없는 가난한 노동자들이 괭이날을 달궈서 거기에 팬케이크나 콘폰을 구워먹었다는 이야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3. 한국에서
| 요리덕후 김주임의 검정 고무신에 등장한 옥수수빵을 재현하는 영상 |
당시 미국이 원조한 옥수수 가루는 사료용으로 가공된 거친 옥수수 가루였는데 여기에는 뒷사정이 좀 있다. 미국은 매년 자국에서 필요한 분량 이상의 잉여 식량이 넘쳐나는 국가라 식량 생산 업계에서 정치계에 활발히 로비 활동을 벌여서 잉여 식량들을 정부가 처리를 해주고 있는데, 옥수수의 경우 과잉 생산된 옥수수가 썩어넘치다보니 옥수수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석유를 대신하는 바이오 연료를 만드는 등의 잉여짓도 '옥수수 소비를 위해' 꾸준히 행할 정도이며 그러고도 잉여 옥수수 처리가 쉽지 않아서 가축 사료에 섞어넣어서 가축들이 살찌기 좋게 하는 용도로 만드는 가루 타입으로 가공해서 보존기간 증가 및 저장 공간 효율을 높여서 창고에 비축해두고 있다. 우유 또한 마찬가지로 그 옥수수보다도 더 잘 상하는 우유의 특성상 수분을 제거하여 분유 형태로 가공해서 보존기간 증가 및 저장 공간 효율을 높여서 창고에 비축해두고 있다. 그러던 차에 대한민국에 식량 원조가 필요해지니 마침 창고 공간만 미친듯이 잡아먹는 애물단지였던 이 옥수수와 분유를 짬처리용으로 기쁘게 '원조'해줬던 것.[2]
문제는 가축 사료용으로 거칠게 가공한 옥수수이니만큼 옥수수가루 자체도 맛이 있을리가 없었던데다가,[3] 당시 학교에서는 제대로 된 조리시설도 없었기 때문에 고안해낸 방법이 적당히 옥수수 가루와 분유와 물을 섞어서 만든 반죽을 솥에 쪄서 만든 것이였고, 가장 기초적인 소금간조차 안되어있는 맹빵을 만들어 준 것이니 지금 기준으로는 맛은 별로 없었지만[4] 당시에는 삼시세끼 챙겨먹는 것도 어려워 간식이라고 할 것이 배추 뿌리나 보리 구운 것 정도 뿐이었으니 시대상으로 보면 꽤 먹음직한 음식이었을 것이다.
요즘에도 추억의 옥수수빵이라고 판매되고는 하는데, 그때와는 달리 이것은 명백히 돈 받고 판매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버터나 설탕 같은 것들은 꿈에도 못 꾸는 시절이라 순 맹탕빵을 만들었던 그 시절과는 달리 간과 향신료가 적절히 섞여있어서 먹음직스러운 물건으로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그 당시의 완벽한 재현품은 아니다. 애초에 가난했던 시절 그나마 있던 재료로 만든 음식인지라 21세기에 팔 만한 음식도 아니다. 종종 인터넷 상에서 요리 관련 유튜버 중에 그 당시의 옥수수빵을 재현해서 실제 그 옥수수빵을 먹었던 부모님/조부모님께 대접하는 영상이 있는데 그 시절 그 물건은 맞지만 딱히 먹고싶지는 않다는 반응을 공통적으로 보여준다.
어떤 옥수수빵들은 표면이 소보로처럼 울퉁불퉁하고 좀 바삭한 편이며, 이런 옥수수빵은 사실 맛도 레시피도 스콘에 더 가깝거나 아예 스콘의 일종이다.[5]
술빵 중에도 옥수수빵 혹은 옥수수술빵이라 불리는 것들이 있는데 옥수수가루가 들어가서 색이 일반 술빵에 비해 좀 더 노랗다. 그걸 빼면 그냥 영락없는 술빵.
4. 여담
[1] 아예 cornbread scone, corn meal scone이라고 해서 스콘의 일종으로 분류되는 레시피도 있다.[2] 같은 맥락에서 중국이 미국산 식량의 최대 수입 국가이기도 한데, 이는 돼지고기를 좋아하는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 때문에 돼지를 빠르게 살찌우기 위해 대량의 대두(단백질)와 옥수수(탄수화물)를 사료에 섞어서 돼지에게 지급해야 하지만 중국 자체 생산분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대두와 옥수수를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그러고도 돼지고기 생산량이 부족해서 미국산 돼지고기마저 잔뜩 수입하고 있는 형국이다. 미-중 무역 분쟁에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 오만가지 물건들의 관세를 팍팍 올리거나 수출/수입량을 통제하는 와중에도 유독 미국산 식량들에 대한 관세 증가나 수출/수입량 통제에 대한 이야기가 거의 없는 것은 미국 입장에서 중국은 저 잉여 식량들을 어떻게든 대신 처리해주는 고마운 큰손이고, 중국 입장에서도 돼지고기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정권이 교체될만큼 민감한 사안이라 그 돼지고기 공급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미국산 농수산물과 미국산 돼지고기이기 때문에 서로의 이해관계가 매우 잘 맞아떨어져서 식량 문제만큼은 이 악물고 서로 언급을 피하는 것이다.[3] 이런 옥수수빵이 사라지고 없는 남한과는 달리 북한은 아직도 사료용 옥수수로 지은 옥수수밥을 주식으로 먹고 있는 편인데, 전량 중국에서 생산되었으나 돼지사료용으로도 못쓸만큼 상태가 매우 나쁜 최하급 옥수수들이다보니 더욱 맛이 없다. 그나마도 없어서 형편이 어려운 가정일수록 밥에서 이 옥수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높아져서 최악의 경우에는 옥수수밥이 아니라 밥옥수수로 불러야 할만큼 옥수수가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샛노란 물건을 밥으로 먹는 지경까지 간다.[4] 이런 빵은 오늘날 한국에서 빵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과자류와는 달리 서양에서 빵이라고 부르며 식사용으로 먹는 주식용 빵에 가까우나, 사실 식사용 빵에도 소금간 약간 정도는 들어가기 때문에 그것보다 더 열악한 물건이다.[5] 일부에선 아예 옥수수빵 말고 옥수수스콘 이라고 이름붙이고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