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급, |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다이호, |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 군수지원함 |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제1호형 수송함 |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1. 개요
和浦丸일본 육군의 수송함으로 전후 대한민국 첫 1만톤급 원양 화물선이다.
원래는 아키우라 마루급 화물선 제 2번선으로 건조 되었다.
2. 역사
1938년 미쓰비시 조선에서 건조된 화물선으로 태평양 전쟁 당시 육군으로 징발 되었다.그러다 1945년 7월 20일 부산진 앞바다에서 기뢰를 맞아 옆으로 기울어져 얇은 해안가에 착저했다.
종전 이후, 1950년경, 당시 대한해운공사 회장인 남궁련씨가 미군정으로부터 허가를 받고, 일본으로 예인하여 수리하였는데, 당시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수리대금을 내지 못해 수리 마쳤음에도 인수받지 못했다.
그러다 당시 대통령인 이승만으로부터 70만불 대금을 받아 간신히 지불하여, 선명을 '고려호'(M.S. KOREA)로 개명하여 1952년 10월 3일에 부산항 제1부두에서 당시 정부요인들도 참석할 만큼 엄청난 입항식을 맞이했다.
그리고 1952년 10월 21일에 고철 1,460톤을 싣고 부산항 제1부두에서 출항하여 첫 태평양 항해하는데 큰 성공했다.
그후로도 8년간 원양 정기 화물선으로 운용하다 원양 부정기 화물선으로 전환하여 16년 더 항해하고 1976년 8월에 퇴역하여 폐선했다.
3. 제원
| 선종 | 화물선 | |
| 기공 | 1938년 5월 4일 | |
| 진수 | 1938년 10월 12일 | |
| 완공 | 1938년 12월 20일 | |
| 좌초 | 1945년 7월 20일 | |
| 제적 | 1945년 8월 17일 | |
| 재취항(고려호) | 1952년 10월 3일 | |
| 퇴역 | 1976년 8월 | |
| 길이 | 132.59m | |
| 폭 | 17.83m | |
| 흘수선 | 최대 16.01m | |
| 기본 배수량 | 6,804t | |
| 만재 배수량 | 14,602t | |
| 화물 적재량 | 10,230t | |
| 추진 기관 | 미쓰비시 디젤기관 1기/스크류 1기(최대 출력 4,604HP) | |
| 최고 속도 | 16.5노트(30.558Km/h) | |
| 순항 속도 | 13노트(20.076Km/h) | |
| 항속 거리 | 13.5노트로 50,000해리(92,600km) | |
| 인원수 | 44명(승무원) | |
4. 기타
5. 둘러보기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 바레인 | 카타르 |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