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8:45:42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d7141a 40px, transparent 4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colbgcolor=#015197> 고대 켈트족
게르만족
훈족
서슬라브족
아바르칸국
사모제국
중세 모라바 공국
대모라비아 왕국
보헤미아 공국
프르셰미슬 왕조
피아스트 왕조
보헤미아 왕국
룩셈부르크 왕조
야기에우워 왕조
근현대 보헤미아 왕국
합스부르크 왕조
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뮌헨 협정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나치 독일 점령기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5공화국
체코 제1공화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1457E 31%,transparent 31%),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D7141A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1457e>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대 모라비아 왕국 · 보헤미아 왕국 · 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평의회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체코 사회주의 공화국) ·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체코 사회민주당 · 체코 대통령 · 체코 총리 · 체코 의회(원로원 · 대의원)
외교 외교 전반 · 비셰그라드 그룹
경제 경제 전반 · 체코 코루나
국방 체코군 · NATO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영화 · 요리 ·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어
인물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 카렐 4세 · 바츨라프 하벨 · 얀 지슈카 · 얀 후스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카렐 차펙 · 알폰스 무하
민족 체코인 · 체코계 미국인 · 체코계 캐나다인 · 체코계 러시아인
기타 체코 조병창 · Railjet · 엑스칼리버 아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B2%B4%EC%BD%94%EC%8A%AC%EB%A1%9C%EB%B0%94%ED%82%A4%EC%95%84.png
진한 파란색이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Bohemia.svg.png

국기.?[1]


체코어: Česká socialistická republika
영어: Czech Socialist Republic

1. 개요

[clearfix]

1. 개요

체코 사회주의 공화국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연방)을 구성한 공화국이자, 체코슬로바키아 연방공화국을 구성한 3대 권력(체코 자치정부, 슬로바키아 자치정부, 프라하 연방정부)이었다.

고트발트 대통령이 1948년인민민주주의 헌법에 바탕한 체코슬로바키아 제4공화국을 출범했지만, 노보트니 대통령이 1960년 7월 11일사회주의 신헌법을 바탕으로 건국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벌써부터 경제의 침체에 시달리고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이미 높은 수준으로 공업화한 나라였는데, 주로 저개발국에 아주 잘 어울리는 소비에트 연방의 산업화 방식을 체코슬로바키아에 응용했기 때문이다. 노보트니는 1965년 신경제 모델을 통해 국민경제의 재건을 시도했는데, 오히려 정치와 경제의 개혁을 촉구하는 대중 여론의 증가를 자극했다. 결국 1968년 1월 5일에 슬로바키아의 개혁파로서 알렉산데르 둡체크가 집권했는데, 8월 21일 소비에트 연방바르샤바 조약 회원국들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여 개혁을 중단했다. 자세한 내용은 프라하의 봄 문서를 참고할 것.

프라하의 봄을 수습한 구스타우 후사크가 정권을 잡았으며 정상화 과정을 통해 국민경제의 고속 성장을 도모할 수가 있었다.[2] 하지만 1980년대에 들어서 경제의 침체가 시작되었고 결국 정권을 야케슈에게 넘겼지만 얼마 안 가 공산정권은 붕괴되었고 국명은 체코 공화국이 되었다.

[1] 사실 이 국기는 보헤미아의 기이다.[2]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동독소련의 1인당 GNI는 12,000달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