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0:08:06

천안함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wiki style="display:inline; font-size: 0px"
{{{#!html <a href="https://namu.wiki/acl/천안함"><span style="font-size: 0.95rem; 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a>}}}}}}을 확인하세요.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천안함(PCC-772)이 피격한 사건}}}에 대한 내용은 [[천안함 피격 사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천안함 피격 사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천안함 피격 사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천안함(PCC-772)이 피격한 사건: }}}[[천안함 피격 사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천안함 피격 사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천안함 피격 사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1대 천안정 (LCI-101)3. 2대 천안함 (LST-801)4. 3대 천안함 (PCC-772)5. 4대 천안함 (FFG-826)

1. 개요

4척의 대한민국 해군 함정이 '천안' (天安)으로 명명됐다.

|| 구분 || 함종
선체번호
|| 함명 || 건조자 || 진수 || 인수 || 취역 || 퇴역 || 비고 || 소속 ||
1대 LCI-101 서울→천안 New Jersey Shipbuilding Corp. 1944-04-17 1946-09-15 1946-10-29 1949-01-20 전 USS LCI(M)-594 -
2대 LST-701/801[1] 천안→용화[2] American Bridge Co. 1944-03-20 1949-07-01 1949-07-01 1959-04-15 전 USS LST-659 -
3대 PCC-772 천안 코리아타코마 1987-07-24 1988-12-30 1988-12-31 2010-06-11 2010-03-26 피격침몰 제2함대[3]
4대 FFG-826 천안 HD현대중공업 2021-11-09 2023-05-15 2023-05-19 - - 제2함대

2. 1대 천안정 (LCI-101)

대한민국 해군의 함대 세력표(Fleet List)에 등록된 최초의 군함은 상륙정(LCI: Landing Craft Infantry) '서울정'이다. 조선해안경비대는 1946년 9월 14일 미 해군이 사용하던 387톤급 LCI 2척을 인수하기 위해 선박을 운용해본 경험이 있는 대원 20명을 긴급 소집했다. 다음날 부산으로 이동한 이들은 LCI를 인수한 뒤 미 군사고문단의 도움을 받아 진해에 입항했다. 조선해안경비대는 인수한 LCI를 조함창에서 정비한 뒤 1946년 10월 29일 오후 진해 군항 3부두에서 2척 중 먼저 정비를 마친 1척을 ‘서울정’으로 명명했다. 이후 '천안정'으로 개칭됐고, 1949년 1월 20일부로 함대 세력표에서 제외됐다.#

3. 2대 천안함 (LST-801)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50514171203.jpg

대한민국 해군이 처음 도입한 상륙함은 '천안함'이다. 해군은 1949년 7월 1일 교통부로부터 천안호를 인수해 LST-701 천안함으로 명명했다. 1950년 4월 20일에는 선체번호를 801로, 1951년 7월 17일에는 용화함으로 함명을 변경했다.#

천안함은 1,800톤급 상륙함(LST)으로, 1943년 12월 31일 미국에서 기공, 1944년 3월 20일 진수, 동년 4월 20일 미 해군의 USS LST-659로 취역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활약했다. 종전후 1946년 1월 7일 퇴역했고, 이후 대한해운공사가 인수했다. 6.25 전쟁 당시 육군 제17연대가 옹진반도에 고립되자 천안함이 투입되어 17연대를 철수시켰고, 이 외에 미 공군 딘 헤스 대령의 전기에 천안함의 활약이 언급된다. 종전 뒤 1959년 4월에 퇴역 및 폐선처리되었고, 이후 포항급 초계함 14번함이 천안함의 이름을 이어받아 세번째 천안함이 된다.

4. 3대 천안함 (PCC-772)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1655><tablebgcolor=#011655> 파일:천안함 추모 로고.png천안함 피격 사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11665><colcolor=#fff> 인물 최원일 · 전준영
한주호 · 천안함 46용사
논란 및 음모론 제시되는 의혹 · 주장과 반박
문재인 정부의 천안함 재조사 논란 · 천안함 왜곡 영화 개봉 논란 · 썰전 유시민 천안함 왜곡 주장 · KBS 추적60분 왜곡 방영 사건 · 조상호 천안함 망언 논란 · 고등학교 교사 천안함 모욕 사건 ·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 이래경 임명 논란 · 권칠승의 천안함 함장 막말 논란 · 기타 왜곡 관련 논란
기타 #s-2(PCC-772) · 연어급 잠수정 · CHT-02D · 북한/대남 도발 · 서해수호의 날 · 서해교전 · 북방한계선 · 772함 수병은 귀환하라
}}}}}}}}} ||
파일:attachment/UploadedFiles/pcc_772.jpg
피격 3일 전[4], 2010년 3월 23일 화천함(AOE-59)에서 촬영됨.

포항급 초계함의 14번함인 천안함 (PCC-772)은 충청남도 천안시의 이름을 딴 3번째 대한민국 해군 함정으로, 1987년 진수, 1990년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에 배치되었다.

1999년 6월 15일 발발한 제1연평해전에서 천안함은 교전이 벌어지자 기습 공격하고 도주하는 북한 어뢰정을 집중 사격해 큰 피해를 입혔다. 이 과정에서 천안함도 몇 발의 기관포탄을 맞았다. 천안함은 2010년 3월 26일 밤 북한 잠수정의 기습적인 어뢰 공격으로 침몰했다. 승조원 104명 중 58명은 구조됐지만 46명이 전사했다.#

4.1. 부대가

우리는 피끓는 대한의 남아

젊은 바다 사랑하여 여기 모였다

거친 파도 몰려와 우릴 덮쳐도

굳세게 전진하여 싸워 이긴다

우리는 자랑스런 천안함 용사

싸우자(싸우자) 이기자(이기자) 무적 천안함

우리는 정의로운 천안함 용사

조국 해양 지키고자 여기 모였다

우리 바다 넘보는 자 어느 누구도

부릅뜬 우리 눈을 죽일 수 없으리

우리는 자랑스런 천안함 용사

싸우자(싸우자) 이기자(이기자) 무적 천안함
천안함가

4.2. 제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항급 초계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급 초계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항급 초계함#|]][[포항급 초계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함종 초계함(PCC: Patrol Combat Corvette)
함명 (선체번호) 천안 (PCC-772)
임무 대함작전, 대공작전, 대잠작전, 선단호송작전, 탐색•구조작전, 함포지원
건조자 코리아 타코마 조선
건조 기간 1985년 12월 19일 ~ 1988년 12월 29일
건조 비용 280억 원
기공 1986년 8월 6일
진수 1987년 7월 24일
부대창설 1988년 11월 1일
인수 1988년 12월 30일
취역 1988년 12월 31일
예속 1990년 7월 1일 (2함대)
퇴역 2010년 6월 11일
승조원 104명[5]
마지막 함장 최원일 중령
마지막 부장 김덕원 소령
마지막 주임원사 이창기 원사[6]
배수량 만재: 1,223톤, 경하: 972톤
길이 88.32m
10m
속력/항속거리 최대속도: 32kts/800NM, 경제속도: 15kts/4,000NM
주요 무장 Harpoon 대함유도탄, 어뢰, 76•40mm 함포
주요 장비 대함 사통레이더, 전자전 장비, 선체고정형 음탐기
천안함은 1983년에서 1993년 사이 28척이 취역한 PCC (동해급 초계함, 포항급 초계함) 중 포항급 초계함 중기형에 해당한다.

4.3. 천안함 피격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안함 피격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안함 피격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안함 피격 사건#|]][[천안함 피격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해군 제2함대 소속으로 2010년 3월 26일 21시 22분 백령도 남방 2.5㎞ 지점 서해 NLL 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중 조선인민군 해군연어급 잠수정어뢰 공격에 의해 침몰했다.

천안함은 1999년 제1연평해전에 참전했고 이때 후미에 피격을 당한 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7] 특히, 후미에 북한의 포격을 당했을 때, 천안함의 디젤기관실의 격벽하단에 균열이 발생하여, 그 후로 천안함이 침몰할 당시까지도 수리를 하지 않은 채, 비상식적인 운항을 지속하였음이, 천안함 승조원 가족들의 증언을 통하여 사실로 드러나기도 하였으며, 천안함이 잠수정과 1차 스크루 충돌을 하였을 때, 이 균열부위가 더욱 벌어져, 바닷물이 급속히 새어들어와 디젤기관실을 뒤덥자, 이에 좌초하였다는 엉뚱한 보고를 해군본부로 날린 원인이 되었다.
파일:천안함 실물.jpg
인양 후 실물 PCC-772 천안
2014년부터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제2함대 평택 해군기지에 실물 전시 중이며, 서해수호관 견학 중에 해당 천안함과 당시 피격된 흔적 또한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제2연평해전에 참전했던 참수리급 고속정의 실물도 함께 전시하고 있다. 정신전력교육 차원에서 타군에서 견학을 오는 경우도 있다.

5. 4대 천안함 (FFG-826)

파일:FFG 826 천안.jpg
▲ 천안함(FFG-826)
위 항목의 포항급 초계함(PCC) 14번함 PCC-772 천안함을 기리기 위해 함명을 계승하였으며 부대마크도 PCC-772 천안함의 것과 흡사하게 디자인되었다. 2대 함장으로 PCC-772 천안함에서 작전관(당시 대위)을 지냈던 박연수 중령이 임명되었다. 다수의 언론에서는 더 크고 더욱 대잠전에 강해진 천안함의 부활을 기념하는 보도를 내었다. FFG-826 천안함은 PCC-772 천안함과 동일하게 제2함대에 배치되어 서해를 방어하는 임무에 투입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급 호위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급 호위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구급 호위함#|]][[대구급 호위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천안함(FFG-826) 진수식
▲ 천안함(FFG-826) 취역식

[1] 선체번호 변경: 1950-04-20[2] 함명 변경: 1951-07-17[3] 제2함대 제22초계함전대 (제22전투전대)[4] 출처 블루 페이퍼[5] 침몰 당시 함장 항해 중령 최원일, 장교 10명[6] 전탐장, 피격 당시 전사, 준위 추서.[7] 중기관총에서 발사된 총탄 3발이 기관부를 관통했으나 별 피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