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3:33:08

징후고속철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징광고속철도 · 징하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스타이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진친고속철도 · 징진도시간철도 · 징슝도시간철도 · 장다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징바오고속철도 · 진싱도시간철도 · 징탕도시간철도 · 징빈도시간철도 · 진바오철도[快] · 카츠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화이싱도시간철도 · 베이징순환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진슝도시간철도
계획 바오어고속철도 · 인타이고속철도 · 진청도시간철도 · 더상고속철도 · 스슝도시간철도 · 진창도시간철도 · 딩창도시간철도 · 징스한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랑줘도시간철도 · 탕준도시간철도 · 제2징친도시간철도 · 싱헝도시간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둥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하고속철도 · 선다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판잉고속철도 · 단다도시간철도[快] · 하자철도[快] · 무쑤이철도[快] · 하무고속철도 · 하치고속철도 · 둔바이고속철도 · 무자고속철도 · 창훈도시간철도 · 카츠고속철도 · 차오링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선단고속철도
건설 선바이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계획 치하이만고속철도 · 퉁치고속철도 · 무둔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항융고속철도 · 융타이원철도[快] · 원푸철도[快] · 푸샤철도[快] · 샤선철도[快] · 자오지고속철도 · 지칭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후닝도시간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허벙고속철도 · 닝항고속철도 · 웨이룽고속철도 · 칭룽도시간철도 · 칭옌철도[快] · 옌퉁고속철도 · 후쑤퉁철도[快] · 푸샤고속철도 · 롄전고속철도 · 상항고속철도 · 허안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허푸고속철도 · 푸핑철도[快] · 창푸철도[快] · 융푸철도[快] · 진원철도[快] · 취주철도[快] · 쉬롄고속철도 · 쉬옌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룽샤철도[快] · 간루이룽철도[快] · 지라이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화이샤오연락선 · 룽룽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항타이고속철도 · 창주도시간철도 · 지정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닝안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건설 진웨이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장산고속철도 · 웨이쑤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창주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취리철도[快] · 융저우철도 · 지빈고속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닝화이도시간철도 · 화이헝철도[快] · 난룽철도[快] · 루안징고속철도 · 허칭고속철도 · 지짜오고속철도 · 양마도시간철도 · 루퉁쑤후도시간철도
계획 융타이원고속철도 · 원푸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안후이성) · 더상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후자항고속철도 · 옌이고속철도 · 닝쉬안도시간철도 · 허신루도시간철도 · 빈린고속철도 · 쑤베이도시간철도 · 닝벙도시간철도 · 창타이철도 · 허캉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항린지고속철도 · 전쉬안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징광고속철도 · 광선강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선잔철도 · 친베이고속철도 · 친팡철도[快] · 팡둥철도[快] · 상항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황황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광주도시간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창이창고속철도 · 뤄사오철도[快] · 헝류철도[快] · 류난도시간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난친철도[快]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우시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광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지정고속철도 · 정지도시간철도 · 우황도시간철도 · 장지화이고속철도 · 창주탄도시간철도 · 메이산철도[快] · 난핑고속철도 · 광칭도시간철도 · 정카이도시간철도 · 우셴도시간철도 · 우샤오도시간철도 · 셴타오도시간철도 · 광포자오도시간철도 · 광후이도시간철도 · 광포순환선 · 수이선도시간철도 · 룽룽고속철도
건설 장산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선장철도 · 샹징고속철도 · 징이고속철도 · 이창고속철도 · 이뤄고속철도 · 사오융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 난위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우한허브직통선 · 광허고속철도 · 광중아오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계획 허잔고속철도 · 자오뤄핑고속철도 · 난헝고속철도 · 잔하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허우도시간철도 · 우위도시간철도 · 위베이도시간철도 · 위구이도시간철도 · 구이베이도시간철도 · 류허도시간철도 · 류싼도시간철도 · 광칭융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아오둥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상저우도시간철도 · 광선제2고속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청이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위구이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위철도[快] · 청구이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청위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몐루고속철도 · 안류고속철도 · 미멍고속철도 · 지위철도[快] · 구이카이도시간철도[快] · 구이양순환철도[快] · 바난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위첸고속철도 · 판싱철도
계획 위구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루쭌고속철도 · 수이판도시간철도 · 두카이도시간철도 · 류웨이도시간철도 · 웨이자오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2910> 운행 <colbgcolor=#ffffff,#191919>쉬란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인시고속철도 · 란위철도[快] · 인란고속철도 · 란신고속철도 · 란중도시간철도[快] · 란장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건설 시위고속철도 · 옌위어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허철도[快] · 우시고속철도
계획 인타이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관중도시간철도
[快] 쾌속철도
}}}}}}}}}

파일:chinarailways_white.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 京沪高速铁路
Beijing-Shanghai High-Speed Railway
징후고속철도
}}}
파일:cr400af-golden-phoenix-02-gr.jpg
CR400형 전동차
운행계통도
[ 펼치기 · 접기 ]
노선 정보
분류 고속철도
기점 베이징난역
종점 상하이훙차오역
역 수 17
개업일 2011년 6월 30일
소유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운영자 중국국가철로집단
사용차량 CRH2형 전동차
CRH5형 전동차
CRH380형 전동차
CR400형 전동차
차량기지 베이징동차단
상하이훙차오동차단
지난시동차운용소
난징난동차운영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1318㎞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차내신호식
신호장비 CTCS-3
최고속도 350㎞/h
개통 연혁 2011. 6. 30. 베이징난상하이훙차오

1. 개요2. 역사3. 노선 정보
3.1. 고속선 구간 정보
4. 운행 열차5. 제2징후고속철도6. 역 목록
6.1. 톈진시연락선6.2. 링셴연락선6.3. 징지난연락선6.4. 지징난연락선6.5. 다왕좡연락선6.6. 난샤쑹연락선6.7. 쉬저우둥연락선6.8. 황두연락선
7. 사건 및 사고

[clearfix]

1. 개요

징후고속철도는 노선길이 1,318 km에 달하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두 도시인 베이징상하이, 환보하이 경제권, 그리고 양쯔강 삼각주[1]를 잇는 역할을 한다. 2008년 4월 18일에 착공했으며 2010년 11월 15일에 공사를 마쳤다. 상업운행에 들어간 날은 중국 공산당 창당 90주년을 하루 앞둔 2011년 6월 30일이다.[2] 본 노선은 "한번에 지어진 가장 긴 고속철도 노선"[3]이라는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인데 '징후(京沪)'인 이유는 국공내전 종전 직전(1949년)까지 '쑹후시'로 불렸기 때문으로 쑹후시 시절의 흔적과 향수가 짙게 남은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상하이시 문서 참조.

2. 역사

노선의 구상 당시에는 노선길이 1305 km, 최고속도 380 km/h를 상정하고 계획되었다. 계획대로 지어졌다면 직통기준 베이징난역 부터 상하이훙차오역까지 표정속도 329 km/h인 3시간 58분이 소요될 예정이었다. 계획대로 지어졌다면 기존선을 달릴경우 10시간 가까이 걸리던 소요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은 이 구상안을 강하게 지지했던 당시의 중국 철도부 국장(장관급)이 경질되면서 좌절된다. 동시에 베이징-상하이 고속선 구상안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겼다.
  • 최고속도를 구상안의 380 km/h 에서 300 km/h로 하향
  • 베이징난역에서 출발 상하이훙차오역에 도착하되 난징난역에서 무조건 정차
  • 300 km/h로 달리는 열차외에 한단계 낮은 급의 최고속도 250 km/h로 달리는 편성 추가 투입

2020년 1월 16일 중국국가철도그룹의 자회사이자 징후고속철도를 운영하고 있는 징후고속철도유한공사가 상하이증권교역소에 상장[4]하면서 중국본토에서 광선철도에 이어 두번째로 주식시장에 상장한 철도운영회사가 되었다.

3. 노선 정보

전 중국 철도 노선들을 대표하는 노선이자 중국 고속철도 노선들 중에서도 대표하는 노선인 만큼, 한국의 경부고속철도, 일본의 도카이도 신칸센과 비슷한 포지션이라 볼 수 있다.

중국의 직할시 3곳(베이징, 톈진, 상하이)을 직통으로 연결해주는 데다가, 난징지난이라는 대도시들도 지나기 때문에 구간수요가 매우 많다. 개통 초기에는 소득대비 표값이 비쌌고, 원저우 철도 사고의 여파로 인해 적자를 봤지만, 이후 2014년부터 흑자를 보기 시작하여 매년 수백억 위안 수준의 흑자를 보고있었으며, 2019년에는 연간 이용객수가 2억명을 넘겼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는 코로나 19로 이용객수가 크게 줄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한화 수천억원 가량의 흑자를 봤을 정도로 황금노선이다.

특히 춘절이나 국경절 같은 명절연휴가 되면 사람들이 그야말로 넘쳐흐르는 풍경을 볼 수 있다. 피크 때에는 고속철도임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5분으로 줄어드는 기적이 일어나기도 한다. 코로나 이후 귀성길과 여행객들로 붐벼 배차간격을 1분으로 줄이기도 하였다. 중국 국철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황금노선으로 징후고속철도유한공사의 부채비율이 2019년 기준으로 자산대비 14%에 불과한 그야말로 알짜회사로 손꼽힌다.

현재 코로나 이후 급증한 승객으로 인해 피크타임 서대동부급인 일부 열차에 한해 16+8량 열차를 중련운행하고있다. 심지어 선로 포화상태로 일부 노선에 한해 복복선 공사중이다.

3.1. 고속선 구간 정보

베이징-상하이 고속선은 최고영업속도 350 km/h를 상정하고 건설되었다. 또한,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380 km/h로도 주행이 가능하다.

고속선답게 다리와 터널을 매우 많이 건설했다. 노선의 87%인 1,140 km는 고가위에 지어졌으며, 다리는 무려 244개나 건설되었다. 또한, 터널은 총 22개가 건설되어 있으며, 이 터널 구간의 총 연장은 16.1km이다.
  • 단양쿤산 사이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교량인 164km의 단쿤 특대교가 놓여져있다.
  •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교량 또한 이 노선상에 건설되어 있는데, 랑팡과 칭시안을 잇는다.
  • 베이징 제 4순환로에서 랑팡을 잇는 교량 또한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긴 교량이다.

이런 노력에 힘입어 베이징-상하이 고속선의 최소 곡선반경은 7000 m이다. [5]

4. 운행 열차

징후고속철도를 오가는 열차는 2024년 10월 현재 열차번호가 G(고속동차조)로 시작하는 350km/h급 CR400 푸싱호 열차와 300km/h 급 CRH380 허셰호 열차가 운행하며 비즈니스클레스(商务座), 프리미엄 1등석(优选一等座)[6] 그리고 일등석(一等座)과 이등석(二等座)으로 구분되어 있다. 대부분의 편성에는 운행시간이 4~5시간인 만큼 카페객차나 식당객차가 존재한다. CRH380 편성은 총 24개 정차역 중 6~7개 역에 정차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 열차들의 전체 소요시간은 4시간 30분 ~ 6시간 20분 정도이다. 반면에 G급보다 아래인 D(동차조 动车组)계열 열차가 있었으나 시간표 개정으로 전부 침대동차조 열차로 편성되어 징후고속철도가 아닌 징후철도로 주행하여 12시간 정도 소요된다.

2024년 10월 현재 베이징과 상하이를 가장 빠르게 연결시켜주는 열차는 베이징난역을 베이징시간 17시 정각에 출발하여 난징난역을 20시 14분에 잠시 정차한 후 상하이훙차오역에 21시 18분에 도착하는 G21 열차로 대략 4시간 18분이 소요된다. 다만, 기종점인 베이징난역과 상하이홍차오역이 모두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제 도심 간 도심의 이동 시간은 그것보다 더 걸린다. 고속철도가 비행기와 비교해 가지는 최고의 장점이 접근성인데, 상하이홍차오역은 아예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과 붙어 있을 정도로 시내에서 멀다. 그럼에도 베이징-상하이 수요가 엄청나다보니 비행기고 고속철도고 구분 없이 성업 중이다.[7]

5. 제2징후고속철도

베이징~상하이 노선답게 손꼽히는 흑자노선으로서 가축수송급이 되다보니 기존의 여객수송을 분산시키는 제2징후고속철도를 2027년[8] 개통을 목표로 만들고 있는 중이다.
제2징후고속철도는 징후고속철도처럼 단일노선이 아닌, 여러 철도를 연결한 형태로 구성된다.

6. 역 목록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환승 노선
베이징난 北京南 베이징시 펑타이구 징진도시간철도
징후철도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베이징 4호선
파일:베이징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베이징 14호선
랑 팡 廊 坊 허베이성 랑팡시 안츠구
징진 선로소 京津线路所 톈진시 베이천구 톈진시연락선
진후 선로소 津沪线路所 시칭구 진친고속철도
톈진난 天津南 톈진 3호선
창저우시 沧州西 허베이성 창저우시 창현 스헝창강도시간철도
더저우둥 德州东 산둥성 더저우시 더청구 스지고속철도
더상고속철도
링셴연락선
지난시 济南西 지난시 화이인구 지정고속철도
지난시연락선
징지난연락선
지난 1호선
추이마좡 선로소 崔马庄路所 스중구 지징난연락선
타이안 泰 安 타이안시 다이웨구
취푸둥 曲阜东 지닝시 취푸시 다왕좡연락선
난샤쑹연락선
(르란고속철도)
지짜오고속철도
텅저우둥 滕州东 짜오좡시 텅저우시 지짜오고속철도
짜오좡 枣 庄 쉐청구
쉬저우둥 徐州东 장쑤성 쉬저우시 구러우구 쉬란고속철도
쉬옌고속철도
쉬롄고속철도
쉬저우둥연락선
쉬저우 1호선
쑤저우둥 宿州东 안후이성 쑤저우시 융차오구
벙부난 蚌埠南 벙부시 룽쯔후구 허벙고속철도
화이쑤벙도시간철도
딩위안 定 远 추저우시 딩위안현
추저우 滁 州 취안자오현 베이옌장고속철도 난징 S4호선
난징난 南京南 장쑤성 난징시 위화타이구 닝안고속철도
닝항고속철도
후닝옌장고속철도
닝룽철도
셴닝철도
후닝고속철도
난징 1호선
난징 3호선
난징 S1호선
난징 S3호선
전장난 镇江南 전장시 단투구
단양베이 丹阳北 단양시
창저우베이 常州北 창저우시 신베이구 창저우 1호선
우시둥 无锡东 우시시 시산구 우시 2호선
쑤저우베이 苏州北 쑤저우시 샹청구 퉁쑤자융고속철도 쑤저우 2호선
쿤산난 昆山南 쿤산시 후닝도시간철도
황두 선로소 黄渡庄路所 상하이시 자딩구 황두연락선
상하이훙차오 上海虹桥 민항구 후쿤고속철도
후쑤후고속철도
상하이 2호선
상하이 10호선
상하이 17호선
후쿤고속철도와 직결

2019년 2월 11일 모든 역의 문서 작성이 완료되었다.

6.1. 톈진시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징진 선로소 京津线路所 톈진시 베이천구 징후고속철도
톈진시 天津西 훙차오구 징후철도
진바오철도
톈진시철도
톈진시연락선
우진연락선
베이천 北 辰 베이천구 징빈도시간철도
징빈도시간철도와 직결

6.2. 링셴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더저우둥 德州东 산둥성 더저우시 더청구 징후고속철도
스지고속철도
더상고속철도
링셴 선로소 陵县线路所 링청구 스지고속철도
스지고속철도와 직결

6.3. 징지난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지난시 济南西 산둥성 지난시 화이인구 징후고속철도
지정고속철도
지난시연락선
바이마산난 선로소 白马山南线路所 스중구 위푸허연락선
바이마산 선로소 白马山线路所 지징난연락선
지 난 济 南 톈차오구 자오지고속철도
지난철도
자오지철도
자오지고속철도와 직결

6.4. 지징난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추이마좡 선로소 崔马庄线路所 산둥성 지난시 스중구 징후고속철도
바이마산 선로소 白马山线路所 징지난연락선
↓ 징지난연락선(자오지고속철도)와 직결

6.5. 다왕좡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취푸둥 曲阜东 산둥성 지닝시 취푸시 징후고속철도
난샤쑹연락선
지짜오고속철도
난샤쑹 선로소 南夏宋线路所 난샤쑹연락선
샤오베이산연락선
다왕좡 선로소 大王庄线路所 르란고속철도
르란고속철도와 직결

6.6. 난샤쑹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취푸둥 曲阜东 산둥성 지닝시 취푸시 징후고속철도
다왕좡연락선
지짜오고속철도
난샤쑹 선로소 南夏宋线路所 다왕좡연락선
샤오베이산연락선
↓ 샤오베이산연락선(르란고속철도)과 직결

6.7. 쉬저우둥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쉬저우둥 徐州东 장쑤성 쉬저우시 구러우구 징후고속철도
쉬란고속철도
쉬옌고속철도
쉬롄고속철도
쉬저우둥 선로소 徐州东线路所 쉬란고속철도
쉬란고속철도와 직결

6.8. 황두연락선

역명 소재지 접속 노선
징후고속철도와 직결
황두 선로소 黄渡庄路所 상하이시 자딩구 징후고속철도
난샹베이 선로소 南翔北线路所 후닝도시간철도
후닝도시간철도와 직결

7. 사건 및 사고

  • 개통 10일만인 2011년 7월 10일 오후 6시, 강한 폭우로 인해 산둥성 취푸시 구간의 전력선에 문제가 발생하여 19편 가량의 하행선열차가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


[1] 쑤저우, 우시, 창저우 등[2] 당시 총리였던 원자바오는 개통식에 참석하는 한편 직접 고속철을 타고 운영 상황을 점검했으며 고속철 탑승 21분 만에 도착한 첫번째 역인 랑팡역에서 내려 고속철 근무자들을 만나 안전 운영을 점검했다.[3] 다시 말해 1단계, 2단계처럼 나눠지지 않고[4] 증권번호 601816[5] 경부고속선의 최소곡선반경과 같다.[6] 2024년 6월부로 CR400AF-BS형 열차에만 도입되어 있다.[7] 의외로 G1 열차가 최속달이 아닌데, 톈진난역에 추가로 정차하기에 베이징-상하이 주파 시간이 G21 열차보다 11분 더 걸린다.(4시간 29분)[8] 당초 2025년이었으나 개통 시점이 연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