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고속철도 노선에 대한 문서입니다. 일반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후쿤철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후쿤철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후쿤철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고속철도 노선에 대한 문서입니다. 일반철도 노선: }}}[[후쿤철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후쿤철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후쿤철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징광고속철도 · 징하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스타이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진친고속철도 · 징진도시간철도 · 징슝도시간철도 · 장다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징바오고속철도 · 진싱도시간철도 · 징탕도시간철도 · 징빈도시간철도 · 진바오철도[快] · 카츠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
| 건설 | 진웨이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화이싱도시간철도 · 베이징순환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진슝도시간철도 | ||||
| 계획 | 바오어고속철도 · 인타이고속철도 · 진청도시간철도 · 더상고속철도 · 스슝도시간철도 · 진창도시간철도 · 딩창도시간철도 · 징스한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랑줘도시간철도 · 탕준도시간철도 · 제2징친도시간철도 · 싱헝도시간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둥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하고속철도 · 선다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판잉고속철도 · 단다도시간철도[快] · 하자철도[快] · 무쑤이철도[快] · 하무고속철도 · 하치고속철도 · 둔바이고속철도 · 무자고속철도 · 창훈도시간철도 · 카츠고속철도 · 차오링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선단고속철도 | |||
| 건설 | 선바이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 ||||
| 계획 | 치하이만고속철도 · 퉁치고속철도 · 무둔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항융고속철도 · 융타이원철도[快] · 원푸철도[快] · 푸샤철도[快] · 샤선철도[快] · 자오지고속철도 · 지칭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후닝도시간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허벙고속철도 · 닝항고속철도 · 웨이룽고속철도 · 칭룽도시간철도 · 칭옌철도[快] · 옌퉁고속철도 · 후쑤퉁철도[快] · 푸샤고속철도 · 롄전고속철도 · 상항고속철도 · 허안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허푸고속철도 · 푸핑철도[快] · 창푸철도[快] · 융푸철도[快] · 진원철도[快] · 취주철도[快] · 쉬롄고속철도 · 쉬옌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룽샤철도[快] · 간루이룽철도[快] · 지라이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화이샤오연락선 · 룽룽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항타이고속철도 · 창주도시간철도 · 지정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닝안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진젠철도 | |||
| 건설 | 진웨이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장산고속철도 · 웨이쑤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창주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취리철도[快] · 융저우철도 · 지빈고속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닝화이도시간철도 · 화이헝철도[快] · 난룽철도[快] · 루안징고속철도 · 허칭고속철도 · 지짜오고속철도 · 양마도시간철도 · 루퉁쑤후도시간철도 | ||||
| 계획 | 융타이원고속철도 · 원푸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안후이성) · 더상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후자항고속철도 · 옌이고속철도 · 닝쉬안도시간철도 · 허신루도시간철도 · 빈린고속철도 · 쑤베이도시간철도 · 닝벙도시간철도 · 창타이철도 · 허캉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항린지고속철도 · 전쉬안고속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광고속철도 · 광선강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선잔철도 · 친베이고속철도 · 친팡철도[快] · 팡둥철도[快] · 상항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황황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광주도시간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창이창고속철도 · 뤄사오철도[快] · 헝류철도[快] · 류난도시간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난친철도[快]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우시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광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지정고속철도 · 정지도시간철도 · 우황도시간철도 · 장지화이고속철도 · 창주탄도시간철도 · 메이산철도[快] · 난핑고속철도 · 광칭도시간철도 · 정카이도시간철도 · 우셴도시간철도 · 우샤오도시간철도 · 셴타오도시간철도 · 광포자오도시간철도 · 광후이도시간철도 · 광포순환선 · 수이선도시간철도 · 룽룽고속철도 · 난주고속철도 | |||
| 건설 | 장산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선장철도 · 샹징고속철도 · 징이고속철도 · 이창고속철도 · 이뤄고속철도 · 사오융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우한허브직통선 · 광허고속철도 · 광중아오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 ||||
| 계획 | 허잔고속철도 · 자오뤄핑고속철도 · 난헝고속철도 · 잔하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허우도시간철도 · 우위도시간철도 · 위베이도시간철도 · 위구이도시간철도 · 구이베이도시간철도 · 류허도시간철도 · 류싼도시간철도 · 광칭융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아오둥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상저우도시간철도 · 광선제2고속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청이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위구이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위철도[快] · 청구이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청위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몐루고속철도 · 안류고속철도 · 미멍고속철도 · 지위철도[快] · 구이카이도시간철도[快] · 구이양순환철도[快] · 바난고속철도 | |||
| 건설 | 시위고속철도 · 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위첸고속철도 · 판싱철도 | ||||
| 계획 | 위구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루쭌고속철도 · 수이판도시간철도 · 두카이도시간철도 · 류웨이도시간철도 · 웨이자오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쉬란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인시고속철도 · 란위철도[快] · 인란고속철도 · 란신고속철도 · 란중도시간철도[快] · 란장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
| 건설 | 시위고속철도 · 옌위어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허철도[快] · 우시고속철도 | ||||
| 계획 | 인타이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관중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colbgcolor=#fff,#1f2023> 沪昆高速铁路 Shanghai-Kunming High-Speed Railway 후쿤고속철도 | |
| | |
| CR400형 전동차 | |
| 노선 정보 | |
| 분류 | 고속철도 |
| 기점 | 상하이훙차오역 |
| 종점 | 쿤밍난역 |
| 역 수 | 55 |
| 개업일 | 2010년 10월 26일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
| 차량기지 | 상하이동차단 항저우동차사업소 난창시동차사업소 창사난동차사업소 구이양베이동차사업소 쿤밍난동차사업소 |
| 사용차량 | CRH2형 전동차 CRH5형 전동차 CRH380형 전동차 CR400형 전동차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2,266 ㎞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교류 50Hz 250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 |
| 최고속도 | 350 ㎞/h (창사난 서쪽부터 300 ㎞/h) |
| |
1. 개요
후쿤고속철도는 중국 동부 창장삼각주 대표도시 상하이시에서 남서부에 위치한 봄의 도시 윈난성 쿤밍시를 잇는 총연장 2,266km의 노선이며 상하이시, 저장성, 장시성, 후난성, 구이저우성, 윈난성등을 관통하는 간선 고속철도이다.구간이 워낙 길어 후항구간(상하이훙차오역~항저우둥역), 항창구간(항저우둥역~창사난역), 창쿤구간(창사난역~쿤밍난역) 세 구간으로 나누며, 구간 단위로 여객전용선[1]을 운영하고 있다.
2016년 12월 28일 전면 개통되었으며, 먼저 개통한 후쿤고속공로와 나란히 달리고 있다. 창사~쿤밍간 창쿤고속철도 구간은 윈난성과 구이저우성 고원지대 한가운데를 동서횡단하여 난공사 구간이 많았다.
2. 역사
2004년 국무원이 통과한 <중장기 철로망 계획>의 4종4횡 고속철도 건설계획에는 항저우에서 난창을 거처 창사를 잇는 노선이 있었다.또한 몇 차례 수정을 거처 2008년 7월 초 철도부의 중장기철로망계획에 따라 노선을 구이저우성 구이양을 거처 서남부 윈난성 쿤밍까지 연장하였고 노선이름을 후쿤고속철도로 명명했으며 당해 11월 국무원의 경기부양책에 따라 프로젝트가 가동되었다.
이 노선의 개통으로 이전까지 후쿤철도를 이용해 동부 상하이에서 서남부 윈난성 쿤밍까지 일반열차로 평균 35시간 반이 걸렸던 소요시간이 10시간 대로 단축되었다.
3. 역 목록
3.1. 후항구간(沪杭段)
| 한국어 | 중국어 | 영업거리(km) | 소재지 | 환승 노선 | |
| 상하이훙차오 | 上海虹桥 | 0 | 상하이시 | 민항구 | 후닝고속철도 징후고속철도 상하이 지하철 2호선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상하이 지하철 17호선 |
| 쑹장난 | 松江南 | 31 | 쑹장구 | 상하이 지하철 9호선 | |
| 진산베이 | 金山北 | 48 | 진산구 | ||
| ▲ 상하이시 | 저장성 ▼ | |||||
| 자산난 | 嘉善南 | 67 | 자싱시 | 자산현 | |
| 자싱난 | 嘉兴南 | 84 | 난후구 | 자싱 트램 T1선 | |
| 퉁샹 | 桐乡 | 112 | 퉁샹시 | ||
| 하이닝시 | 海宁西 | 133 | 하이닝시 | 항하이 도시철도 | |
| 린핑난 | 临平南 | 144 | 항저우시 | 린핑구 | 항저우 지하철 9호선 항하이 도시철도 |
| 항저우둥 | 杭州东 | 159 | 상청구 | 닝항고속철도 항융고속철도 후쿤철도 항저우 지하철 1호선 항저우 지하철 4호선 항저우 지하철 6호선 | |
3.2. 항창구간(杭长段)
| 한국어 | 중국어 | 영업거리(km) | 소재지 | 환승 노선 | ||
| 항저우둥 | 杭州东 | 159 | 항저우시 | 상청구 | (중복 생략) | |
| 항저우난 | 杭州南 | 175 | 샤오산구 | 항융고속철도 항창고속철도 후쿤철도 항융철도 항저우 지하철 5호선 항저우 지하철 5호선 사오싱 광역철도 | ||
| 주지 | 诸暨 | 225 | 사오싱시 | 주지시 | 후쿤철도 | |
| 이우 | 义乌 | 268 | 진화시 | 이우시 | 항원고속철도 후쿤철도 융진철도 진화 도시철도 진이둥선 | |
| 진화 | 金华 | 320 | 옌청구 | 후쿤철도 진첸철도 진원철도 진젠철도 진화 도시철도 진이둥선 | ||
| 룽유 | 龙游 | 369 | 취저우시 | 룽유현 | 후쿤철도 | |
| 취저우 | 衢州 | 398 | 커청구 | 후쿤철도 취주철도 취닝철도 | ||
| 장산 | 江山 | 428 | 장산시 | 항취고속철도 후쿤철도 | ||
| ▲ 저장성 | 장시성 ▼ | ||||||
| 위산난 | 玉山南 | 466 | 상라오시 | 위산현 | ||
| 상라오 | 上饶 | 500 | 신저우구 | 허푸고속철도 후쿤철도 | ||
| 이양 | 弋阳 | 560 | 이양현 | 후쿤철도 | ||
| 잉탄베이 | 鹰潭北 | 601 | 잉탄시 | 구이시시 | ||
| 푸저우둥 | 抚州东 | 644 | 푸저우시 | 둥샹구 | ||
| 진셴난 | 进贤南 | 683 | 난창시 | 진셴현 | ||
| 난창시 | 南昌西 | 741 | 훙구탄구 | 창간고속철도 창주철도 창푸철도 난창 지하철 2호선 | ||
| 가오안 | 高安 | 788 | 이춘시 | 가오안시 | ||
| 신위베이 | 新余北 | 868 | 신위시 | 위수이구 | ||
| 이춘 | 宜春 | 917 | 이춘시 | 위안저우구 | 후쿤철도 | |
| 핑샹베이 | 萍乡北 | 978 | 핑샹시 | 상리현 | ||
| ▲ 장시성 | 후난성 ▼ | ||||||
| 리링둥 | 醴陵东 | 1,007 | 주저우시 | 리링시 | ||
| 창사난 | 长沙南 | 1,083 | 창사시 | 위화구 | 징광고속철도 창사 지하철 2호선 창사 지하철 4호선 창사 자기부상 고속선 | |
3.3. 창쿤구간(长昆段)
| 창사난 | 长沙南 | 1,083 | 후난성 | 창사시 | (중복 생략) | |
| 샹탄베이 | 湘潭北 | 1,109 | 샹탄시 | |||
| 사오산난 | 韶山南 | 1,149 | ||||
| 러우디난 | 娄底南 | 1,208 | 로우디시 | 로우샤오철도 연결선 | ||
| 사오양베이 | 邵阳北 | 1,260 | 사오양시 | |||
| 신화난 | 新化南 | 1,297 | 로우디시 | |||
| 쉬푸난 | 溆浦南 | 1,354 | 화이화시 | |||
| 화이화난 | 怀化南 | 1,415 | 화이헝철도 장지화고속철도 | |||
| 즈장 | 芷江 | 1,449 | ||||
| 신황시 | 新晃西 | 1,503 | ||||
| 퉁런난 | 铜仁南 | 1,522 | 구이저우성 | 퉁런시 | ||
| 싼쑤이 | 三穗 | 1,570 | 첸둥 난먀오족 둥족자치주 | |||
| 카이리난 | 凯里南 | 1,662 | ||||
| 구이딩베이 | 贵定北 | 1,729 | 첸난 부이족 미야오족자치주 | |||
| 구이양둥 | 贵阳东 | 1,779 | 구이양시 | 청구이고속철도 구이광고속철도 구이카이도시간철도 | ||
| 구이양베이 | 贵阳北 | 1,789 | 위구이철도 구이카이도시간철도 구이광고속철도 구이양 궤도교통 1호선 | |||
| | ||||||
| 핑바난 | 平坝南 | 1,844 | 안순시 | |||
| 안순시 | 安顺西 | 1,890 | 안리우고속철도 | |||
| 관링 | 关岭 | 1,935 | ||||
| 푸안셴 | 普安县 | 2,009 | 첸시 부이족 미야오족자치주 | |||
| 판저우 | 盘州 | 2,040 | 리우판수이시 | |||
| 푸위안베이 | 富源北 | 2,072 | 윈난성 | 취징시 | ||
| 취징베이 | 曲靖北 | 2,124 | ||||
| 쑹밍 | 嵩明 | 2,200 | 쿤밍시 | |||
| 쿤밍난 | 昆明南 | 2,252 | 난쿤고속철도 쿤위허철도 쿤밍 궤도교통 1호선 | |||
4. 사건사고
4.1. G1329호 승객 폭행 사건
| |
장씨는 철도 경찰의 추궁에도 자리를 비키지 않았다. 결국 그는 싸움를 조장한 혐의로 철도 경찰로부터 5일간의 행정 구금을 선고받았다.
4.2. G1673호 승객 끼임 사건
2025년 5월 5일 오전 11시 52분경, G1140호 열차(상하이훙차오-샤먼베이)가 상하이훙차오역 7번 플랫폼에 도착한뒤 열차가 출발하기 위해 문이 닫히던 도중에 한 여성이 6호차에서 갑자기 내려, 닫히는 문을 막아 몸이 끼는 사고가 발생했다. [3]상하이훙차오역의 공지 내용에 따르면 5월 5일 오전 11시 52분, G1673 열차가 출발역인 상하이 훙차오역 7번 플랫폼에 정차하여 승객 승하차 작업을 완료한 뒤, 열차 문이 정상적으로 닫히는 과정에서 6호차 승객 한 명이 갑자기 몸이 좋지 않아 급히 내리려다 문에 끼었다고 한다.
5. 둘러보기
| 후쿤고속철도의 역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1] 후항여객전용선(沪杭客运专线), 항창여객전용선(杭长客运专线), 창쿤여객전용선(长昆客运专线).[2] 不让豪横之人肆意妄为!男子高铁霸座拒不让 失控打人被行拘[3] 一高铁站又现拦门事件!官方通报:乘客身体不适 下车时被车门夹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