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징광고속철도 · 징하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스타이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진친고속철도 · 징진도시간철도 · 징슝도시간철도 · 장다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징바오고속철도 · 진싱도시간철도 · 징탕도시간철도 · 징빈도시간철도 · 진바오철도[快] · 카츠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
| 건설 | 진웨이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화이싱도시간철도 · 베이징순환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진슝도시간철도 | ||||
| 계획 | 바오어고속철도 · 인타이고속철도 · 진청도시간철도 · 더상고속철도 · 스슝도시간철도 · 진창도시간철도 · 딩창도시간철도 · 징스한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랑줘도시간철도 · 탕준도시간철도 · 제2징친도시간철도 · 싱헝도시간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바헝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둥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하고속철도 · 선다고속철도 · 친선고속철도 · 판잉고속철도 · 단다도시간철도[快] · 하자철도[快] · 무쑤이철도[快] · 하무고속철도 · 하치고속철도 · 둔바이고속철도 · 무자고속철도 · 창훈도시간철도 · 카츠고속철도 · 차오링고속철도 · 신퉁고속철도 · 선단고속철도 | |||
| 건설 | 선바이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 ||||
| 계획 | 치하이만고속철도 · 퉁치고속철도 · 무둔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둥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후고속철도 · 항융고속철도 · 융타이원철도[快] · 원푸철도[快] · 푸샤철도[快] · 샤선철도[快] · 자오지고속철도 · 지칭고속철도 · 스지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후닝도시간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허벙고속철도 · 닝항고속철도 · 웨이룽고속철도 · 칭룽도시간철도 · 칭옌철도[快] · 옌퉁고속철도 · 후쑤퉁철도[快] · 푸샤고속철도 · 롄전고속철도 · 상항고속철도 · 허안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허푸고속철도 · 푸핑철도[快] · 창푸철도[快] · 융푸철도[快] · 진원철도[快] · 취주철도[快] · 쉬롄고속철도 · 쉬옌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룽샤철도[快] · 간루이룽철도[快] · 지라이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화이샤오연락선 · 룽룽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항타이고속철도 · 창주도시간철도 · 지정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닝안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진젠철도 | |||
| 건설 | 진웨이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장산고속철도 · 웨이쑤고속철도 · 징슝상고속철도 · 창주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快] · 취리철도[快] · 융저우철도 · 지빈고속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닝화이도시간철도 · 화이헝철도[快] · 난룽철도[快] · 루안징고속철도 · 허칭고속철도 · 지짜오고속철도 · 양마도시간철도 · 루퉁쑤후도시간철도 | ||||
| 계획 | 융타이원고속철도 · 원푸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안후이성) · 더상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후자항고속철도 · 옌이고속철도 · 닝쉬안도시간철도 · 허신루도시간철도 · 빈린고속철도 · 쑤베이도시간철도 · 닝벙도시간철도 · 창타이철도 · 허캉고속철도 · 보하이순환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항린지고속철도 · 전쉬안고속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징광고속철도 · 광선강고속철도 · 쉬란고속철도 · 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선잔철도 · 친베이고속철도 · 친팡철도[快] · 팡둥철도[快] · 상항고속철도 · 안주고속철도 · 황황고속철도 · 창간고속철도 · 간선고속철도 · 광주도시간철도 · 정타이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창이창고속철도 · 뤄사오철도[快] · 헝류철도[快] · 류난도시간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난친철도[快] · 하이난 일주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우시고속철도 · 우주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광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르란고속철도 · 정푸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 · 지정고속철도 · 정지도시간철도 · 우황도시간철도 · 장지화이고속철도 · 창주탄도시간철도 · 메이산철도[快] · 난핑고속철도 · 광칭도시간철도 · 정카이도시간철도 · 우셴도시간철도 · 우샤오도시간철도 · 셴타오도시간철도 · 광포자오도시간철도 · 광후이도시간철도 · 광포순환선 · 수이선도시간철도 · 룽룽고속철도 · 난주고속철도 | |||
| 건설 | 장산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선장철도 · 샹징고속철도 · 징이고속철도 · 이창고속철도 · 이뤄고속철도 · 사오융고속철도 · 허우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우한허브직통선 · 광허고속철도 · 광중아오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 ||||
| 계획 | 허잔고속철도 · 자오뤄핑고속철도 · 난헝고속철도 · 잔하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난주푸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허우도시간철도 · 우위도시간철도 · 위베이도시간철도 · 위구이도시간철도 · 구이베이도시간철도 · 류허도시간철도 · 류싼도시간철도 · 광칭융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아오둥도시간철도 · 푸주고속철도 · 상저우도시간철도 · 광선제2고속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닝룽철도[快] · 후쿤고속철도 · 정위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청이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위구이철도[快] · 구이난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위철도[快] · 청구이고속철도 · 구이광고속철도 · 청위고속철도 · 첸창철도[快] · 난쿤고속철도 · 몐루고속철도 · 안류고속철도 · 미멍고속철도 · 지위철도[快] · 구이카이도시간철도[快] · 구이양순환철도[快] · 바난고속철도 | |||
| 건설 | 시위고속철도 · 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위첸고속철도 · 판싱철도 | ||||
| 계획 | 위구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우구이고속철도 · 루쭌고속철도 · 수이판도시간철도 · 두카이도시간철도 · 류웨이도시간철도 · 웨이자오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베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e2910> 운행 | <colbgcolor=#ffffff,#191919>쉬란고속철도 · 다시고속철도 · 시청고속철도 · 인시고속철도 · 란위철도[快] · 인란고속철도 · 란신고속철도 · 란중도시간철도[快] · 란장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
| 건설 | 시위고속철도 · 옌위어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촨칭철도[快] · 란허철도[快] · 우시고속철도 | ||||
| 계획 | 인타이고속철도 · 닝시고속철도 · 허캉고속철도 · 관중도시간철도 | ||||
| [快] 쾌속철도 | }}}}}}}}} |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徐兰高速铁路 Xuzhou - Lanzhou High-Speed Railway 쉬란고속철도 | }}} |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고속철도 | ||
| 기점 | 쉬저우둥역 | ||
| 종점 | 란저우시역 | ||
| 역 수 | 33 | ||
| 개업일 | 2010년 2월 6일 |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 운영자 | 중국국가철로집단 | ||
| 사용차량 | CRH2형 전동차 CRH5형 전동차 CRH380A형 전동차 CRH380B형 전동차 CR400형 전동차 | ||
| 차량기지 | 쉬저우둥동차운용소 정저우둥동차운용소 시안베이동차운용소 란저우시동차운영소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1,434㎞ | ||
| 궤간 | 1,435㎜ (표준궤) | ||
| 선로구성 | 복선 | ||
| 사용전류 |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 ||
| 폐색방식 | 자동 폐색 | ||
| 신호방식 | CTCS-3[1] | ||
| 최고속도 | 350km/h(쉬저우둥 ~ 바오지난) 250km/h(바오지난 ~ 란저우시) | ||
| 개통 연혁 | 2010. 02. 06. 정저우둥역 ↔ 시안베이역 2013. 12. 28. 시안베이역 ↔ 바오지난역 2016. 09. 10. 쉬저우둥역 ↔ 정저우둥역 2017. 07. 09. 바오지난역 ↔ 란저우시역 | ||
1. 개요
해안도시 장쑤성 롄윈강과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를 잇는 중국 고속철도의 축선 루차오고속철도의 내륙구간 일부로 세부적으로는 쉬저우 ~ 정저우간 정쉬고속철도, 정저우 ~ 시안간 정시고속철도, 시안 ~ 바오지간 시바오고속철도, 바오지 ~ 란저우간 바오란고속철도로 나뉘어 있다.2. 구간
2.1. 정쉬고속철도 (정저우둥 - 쉬저우둥 구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쉬고속철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쉬고속철도#|]] 부분을2.2. 정시고속철도 (정저우둥 - 시안베이 구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시고속철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시고속철도#|]] 부분을2.3. 시바오고속철도 (시안베이 - 바오지난 구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바오고속철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바오고속철도#|]] 부분을2.4. 바오란고속철도 (바오지난 - 란저우시 구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오란고속철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오란고속철도#|]] 부분을3. 역 목록
| 역명 | 소재지 | 접속 노선 | |||
| ↑ 쉬옌고속철도와 직결 | |||||
| 쉬저우둥 | 徐州东 | 장쑤성 | 쉬저우시 | 구러우구 | 징후고속철도 쉬옌고속철도 쉬롄고속철도 | 
| 퉁산 선로소 | 铜山线路所 | 퉁산구 | 퉁산연락선 | ||
| 샤오셴베이 | 萧县北 | 안후이성 | 쑤저우시 | 샤오현 | 화이샤오연락선 | 
| 융청베이 | 永城北 | 허난성 | 상추시 | 융청시 | |
| 당산난 | 砀山南 | 안후이성 | 쑤저우시 | 당산현 | |
| 상 추 | 商 丘 | 허난성 | 상추시 | 량위안구 | 징강고속철도 (상항고속철도) 룽하이철도 | 
| 민취안베이 | 民权北 | 민취안현 | |||
| 란카오난 | 兰考南 | 카이펑시 | 란카오현 | ||
| 카이펑베이 | 开封北 | 룽팅구 | |||
| 정저우둥 | 郑州东 | 정저우시 | 진수이구 | 징광고속철도 (스우고속철도) 정위고속철도 지정고속철도 정지도시간철도 정카이도시간철도 정저우둥북연락선 | |
| 정저우시 | 郑州西 | 싱양시 | 정싱연락선 | ||
| 궁이난 | 巩义南 | 궁이시 | |||
| 뤄양룽먼 | 洛阳龙门 | 뤄양시 | 뤄룽구 | ||
| 몐츠난 | 渑池南 | 싼먼샤시 | 몐츠현 | ||
| 싼먼샤난 | 三门峡南 | 산저우구 | |||
| 링바오시 | 灵宝西 | 링바오시 | |||
| 화산베이 | 华山北 | 산시성 | 웨이난시 | 화인시 | |
| 웨이난베이 | 渭南北 | 린웨이구 | 다시고속철도 | ||
|  |  | 시안시 | 린퉁구 | 린야오철도 다시린퉁둥연락선 허린연락선 | |
| 시안베이 | 西安北 | 웨이양구 | 다시고속철도 시청고속철도 인시고속철도 | ||
| 셴양시 | 咸阳西 | 셴양시 | 친두구 | 룽하이철도 | |
| 양링난 | 杨陵南 | 양링구 | |||
| 치 산 | 岐 山 | 바오지시 | 치산현 | ||
| 바오지난 | 宝鸡南 | 웨이빈구 | |||
|  | 安 坪 | 천창구 | |||
| 둥 차 | 东 岔 | 간쑤성 | 톈수이시 | 마이지구 | |
|  |  | ||||
| 톈수이난 | 天水南 | ||||
| 친 안 | 秦 安 | 친안현 | |||
| 퉁웨이 | 通 渭 | 딩시시 | 퉁웨이현 | ||
|  |  | 안딩구 | |||
| 딩시베이 | 定西北 | ||||
| 위 중 | 榆 中 | 란저우시 | 위중현 | ||
| 란저우시 | 兰州西 | 치리허구 | 란신고속철도 란신철도 | ||
| ↓ 란신고속철도와 직결 | |||||
4. 사건사고
4.1. G3292호 승객 난동 사건
2021년 2월 20일 오후 12시 52분경, 쉬저우둥역을 지나던 G3292호 열차(상하이훙차오-시안베이)가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플랫폼에 정차한 뒤, 출발하기 위해서 문이 닫힐 때, 한 여성 승객이 가방으로 닫히는 문을 막고 출발하는 열차에 올라탔다. [2]
|  | 
승무원들이 그녀를 막으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장 씨를 식당차로 연행해 심문을 했다. 알고 보니 장 씨는 그날 G3292호 표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못된 승강장에 있었으며, 그녀가 도착했을 때 열차는 막 출발하려던 참이었다. 승강장 직원들이 만류하는 와중에 장 씨는 갑자기 닫히는 문을 억지로 막았다.
기차가 다음 정차역인 정저우둥역에 도착하자, 철도경찰은 장 씨를 정저우둥역 경찰서로 인계하여 추가 조사를 진행했다.
결국 장 씨는 철도경찰에 의해 공공질서 교란 혐의로 5일간의 행정구류 처분을 받았다.
5.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쉬롄고속철도 (롄윈강 - 쉬저우) 8% | 쉬란고속철도(쉬저우 - 란저우) 40% | 란신고속철도(란저우 - 우루무치) 52% | 
[1]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ATP의 일종으로 ETCS Lv.2와 동일한 단계이다.[2] 奇葩!女子用行李箱阻拦高铁关门,被行政拘留5日, [第一时间]上海:女子扒阻列车车门强行上车被拘留(CCTV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