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b146>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ab146><colcolor=#000> 코칭스태프 | '''73 김승준 · 74 박치왕 [[감독#s-1.1| ★ ]] · 75 이대환 · 87 민창호 · 88 지재옥 · 89 강진구''' |
투수 | 0 이기순SSG · 1 구창모NC · 2 조민석NC · 3 이정용LG · 4 허윤동삼성 · 5 배제성KT · 6 김정운KT · 7 김재웅키움 · 8 이진하롯데 · 13 송명기NC · 14 이원재두산 · 18 한승주KT · 19 이태연롯데 · 29 이용준NC · 41 홍승원삼성 · 44 양경모한화 · 48 김영현두산 · 49 김동혁키움 · 50 김동주두산 · 51 강효종KIA · 55 윤산흠한화 | |
포수 | 11 윤준호두산 · 22 박성재NC · 26 김시앙키움 · 42 김선우KIA | |
내야수 | 9 박정현한화 · 12 김재상삼성 · 15 정대선롯데 · 16 조민성삼성 · 20 정은원한화 · 21 류현인KT · 23 오태양NC · 25 한동희롯데 · 47 전의산SSG | |
외야수 | 10 박찬혁키움 · 17 오장한NC · 27 김현준삼성 · 37 한승연KIA · 52 이재원LG · 53 정준영KT · 57 류승민삼성 | |
위첨자 - 해당 선수의 원 소속 구단 | }}}}}}}}} |
조민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조민성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05번 | ||||||||||||||||
김경민 (2020~2021) | → | <colbgcolor=#c0c0c0><colcolor=#074ca1> 조민성 (2022~2022.8.31.) | → | 양우현 (2023~2024.5.29.)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2번 | |||||||||||||||||
최영진 (2017~2022.8.29.) | → | 조민성 (2022.9.1.~2023) | → | 김헌곤 (2024~) |
}}} ||
| |
<colbgcolor=#ebad24> 상무 피닉스 야구단 No.16 | |
조민성 Jo Min-Seong | |
출생 | 2003년 10월 22일 ([age(2003-10-22)]세)[1]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서울학동초 - 휘문중 - 휘문고 - (대구대)[2] |
신체 | 180cm, 88kg |
포지션 | 1루수, 우익수[3], 지명타자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22년 2차 6라운드 (전체 53번, 삼성)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22~) |
병역 |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3년 12월 18일~2025년 6월 17일) |
연봉 | 2023 / 3,3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등장곡 | Bishop Briggs - 《White Flag》 (2022~) |
응원가 | 허니크루 - 《구단 자작곡》 (2023~)[4] |
|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내야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조민성(야구선수)/선수 경력 | ||
| ||
2022년 | 2023년 | 군 복무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장타율이 높으며 컨택 능력까지 겸비한 거포형 선수이다. 선구안은 아직 아쉬운 편이고 주력도 상당히 낮은 수준이며 키는 그리 크지 않지만 두꺼운 체격에서 나오는 파워가 상당하며 부드러운 스윙을 통해 체중을 실어 멀리 타구를 보내는 유형이다.스프레이 히팅도 가능하고 타구를 띄워낼 수 있는 타자라 타자 친화적인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의 이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선수이다.[5]
또한 1루수로썬 작은 체구와 외야 뎁스가 얇은 팀 사정이 맞물려 우익수 전향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외야 수비를 보기에는 다소 부족하다는 평. 1루 수비는 그래도 무난하게 해내는 편이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 ||||||||||||||||||
<rowcolor=#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WAR* |
2022 | 삼성 | 12 | 16 | 4 | 0 | 0 | 1 | 3 | 3 | 1 | 2 | 7 | .308 | .438 | .538 | .976 | 175.4 | 0.15 |
2023 | 15 | 29 | 6 | 2 | 0 | 0 | 1 | 5 | 0 | 0 | 6 | .207 | .207 | .276 | .483 | 26.1 | -0.37 | |
2024 |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KBO 통산 (2시즌) | 27 | 45 | 10 | 2 | 0 | 1 | 4 | 8 | 1 | 2 | 13 | .238 | .289 | .357 | .646 | 79.4 | -0.22 |
5. 여담
- 1차 지명자이자 프로 입단 동기인 이재현과는 친구 사이. 지명되고 SNS에서 같은 팀으로 함께하게 된 것을 같이 좋아하는 것이 목격되기도 했다. 루키스데이를 앞두고 둘이서 고기 먹으러 다니는 등 단짝 확정. 조민성의 모교 휘문고와 이재현의 모교 서울고는 차로 20~30분 정도 걸리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데 그런 이유로 인해 친해진 듯 하다.[6]
- 자칭 휘문고 야구부의 비주얼 담당이다. 팬들은 잘생기진 않았고 귀엽다는 평이 많다.
- 괴물 타자들이 여럿 모여있던 휘문중에서도 주축 타자였다. 고교 진학할 때 타 학교들의 무수한 스카우트 제의 속에서 어떻게든 눌러앉히려고 휘문고가 꽤나 고생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다만 고등학교 시절 3루수 자리는 경쟁 끝에 신민철에게 내주고 외야로 밀려났다.
- 이원석을 밀어내고 삼성의 3루를 차지하겠다는 패기 넘치는 선언을 했다. 참고로 이 발언 당시 이원석은 바로 등 뒤에 있었다. 차동영, 장재혁에 이은 패기 넘치는 선언에 해설하던 양상문이 굉장히 당황한 게 포인트. 그리고 2023년에 이원석이 키움 히어로즈로 트레이드되면서 본인만 잘 한다면 주전 3루수로 육성될 확률이 매우 높아졌다.
- 최채흥과 친분이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최채흥의 아버지와도 친분이 있어 2020년 겨울에 직접 먼저 연락을 하여 같이 운동도 했었다고 한다. 후술하는 한양대학교 라인으로 연결된 듯하다.
6. 관련 문서
[1] 음력 9월 27일[2] 프로 데뷔 후 입학, 재활공학과 23학번[3] 고교 때 내야 수비에 외야수까지 겸업을 했고, 2023년 들어서 2군에서는 우익수로만 출장했다. 다만 1군에서는 단 3이닝 소화에 그쳤다. 체형도 외야 수비엔 적합하지 않고 경험이 부족해 1군에서 봐줄만한 수비력은 아니다.[4] 삼성의 조민성~(안타!) 조민성~(홈런!) 조민성~(누구?) 삼성의 조민성~ 조민성~ 워워워어~×2[5] 데뷔 첫 홈런도 우측 담장을 넘긴 타구였다.[6] 휘문고는 강남구, 서울고는 서초구에 있는데 강남구와 서초구는 강남에 속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