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후궁 [[틀:고려의 후궁/의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3F6864;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color: #3F686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고려의 왕녀 [[틀:고려의 왕녀/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왕영(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5AA58;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 |||
}}}}}}}}} |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고려 충선왕의 제3비 정비 왕씨 | 靜妃 王氏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color: #3F6864;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타이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
고려 충선왕의 세자비 세자비 왕씨 | 世子妃 王氏 | }}}}}}}}} | ||
출생 | 미상 | ||
사망 | 1345년(충목왕 2) | ||
고려 개경 개성부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고려 세자비 | ||
1289년 2월 2일 ~ 1298년 1월 19일 | |||
고려 정비 | |||
1298년 1월 19일 ~ 1313년 3월 24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본관 | 개성 왕씨 | |
부모 | 부친 - 영헌공 왕영 (英憲公 王瑛, ? ~ 1291 모친 - 변한국순안비 황보씨 (卞韓國順安妃 皇甫氏, ? ~ ?) | ||
친인척 | 고모 - 정화궁주 | ||
배우자 | 충선왕 | ||
자녀 | 없음 | ||
관저 | 미상 | ||
시호 | 정비(順妃) |
1. 개요
고려 제26대 왕 충선왕의 제3비. 원래 충선왕의 정비(正妃)였으나 원나라 출신 왕비들로 인해 제3비로 떨어졌다. 정화궁주[2]의 조카로 여러모로 고모와 같은 삶을 산 여인이다.[3]2. 생애
증조부는 양양공 왕서(襄陽公 王恕)이시며, 조부는 시안공 왕인(始安公 王絪)이며, 부친은 서원후 왕영(西原侯 王瑛)이다.충렬왕의 제2비인 정화궁주는 그녀의 친고모이며, 훗날 심양왕에 오른 왕고는 5촌 조카이다. 또한 시아버지이면서 고모부이기도 한 충렬왕은 10촌 종형제, 남편 충선왕은 그녀의 11촌 조카뻘이 된다.
1287년(충렬왕 13년)에 원래 그녀는 원나라에 바쳐질 공녀로 뽑혀 입조할 예정이었다.
당시 제국대장공주와 함께 온천에 가 있던 세자 원이 안색이 좋지 않아 공주가 그 이유를 묻자, 세자는 "내가 서원후의 딸과 혼인하려 했는데, 지금 공녀로 선발되어 있는 까닭으로 기쁘지 아니합니다."라고 이야기하였다. 그리하여 공주는 사람을 시켜 왕씨의 공녀 선발을 중지시키고 집으로 되돌려보냈다.
1289년(충렬왕 15년) 음력 2월 2일 충선왕이 관례를 행하던 날 세자비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당시 원나라의 간섭 하에 있던 고려의 처지 때문에 고모 정화궁주가 충렬왕과 제일 먼저 혼인하고도 제국대장공주 때문에 제2비로 밀려났듯이, 정비 역시 충선왕과 제일 먼저 혼인했음에도 불구하고 몽골 출신의 계국대장공주와 의비에 이어 제3비로 물러나야 했다. 또 당시 원 세조 쿠빌라이는 고려왕과 몽골공주의 결혼을 관례로 정착시키려는 의도에서 충선왕과 정비의 혼인을 근친혼이라며 비난했다.
1308년(충선왕 복위년) 충선왕은 자신의 복위교서에서 동성끼리는 혼인을 할 수 없도록 하고,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15개의 가문을 선정하였는데 그게 바로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이다.
1345년(충목왕 원년)에 사망하였고, 사후 정비(靜妃)에 추증되었다.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으며, 자녀는 없었다.
3. 가족관계
- 배우자 / 시댁
- 배우자 : 충선왕 왕장(王璋)
4. 대중매체에서
|
2017년 MBC 월화 특별기획 《왕은 사랑한다》 배우: 박환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