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9 23:34:07

정비 신씨


고려의 후궁
[[틀:고려의 후궁/의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3F6864;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AA58, #B6D592 20%, #B6D592 80%, #85AA58); color: #3F686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태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숙종 · 예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인종 · 의종 ~ 공양왕
※ 봉작을 받았거나 이름이 알려진 사람만 기재
}}}}}}}}}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고려 우왕의 제6비
정비 신씨 | 正妃 申氏
출생 미상
고려 서해도 평주 신아의 사저
(現 황해도 평산군)
사망 1389년 이후 (향년 미상)
고려 개경 사저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 미상
재위기간
고려 정비
1388년 3월 ~ 1388년 7월 2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6D592><colcolor=#3F6864> 본관 평주 신씨
부모 부친 - 신아(申雅)
모친 - 미상
배우자 우왕
자녀 없음
관저 미상
봉작 정비(正妃)
}}}}}}}}} ||
1. 개요2. 생애
2.1. 가계

[clearfix]

1. 개요

고려 제32대 국왕 우왕의 제6비.

2. 생애

고려 말 우왕의 총애를 받은 구비삼옹주 중 한명이다. 판사를 지낸 신아의 딸로, 본관은 평주이다. 신아는 전리판서 등을 지낸 신집의 손자이자 이부상서 신익지의 아들로 1357년(공민왕 6년) 과거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이 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385년(우왕 11년) 음력 10월 우왕이 신아의 집에 행차하였는데, 이때 우왕이 신아의 딸을 취하게 되었다. 이어 같은 달에 신씨를 정식 후비로 맞아들이고, 우왕은 몇번이고 신아의 집에서 머물렀다.

이후 1387년(우왕 13년) 음력 8월 동지밀직사사[종2품]에까지 오르며 신아는 본인과 그 가족들이 남의 땅을 불법으로 빼앗는 바람에 우왕으로부터 유배형에 처해져 각산[2]으로 옮겨갔다.

하지만 그의 딸은 바로 이듬해인 1388년(우왕 14년) 음력 3월 영비 최씨선비 왕씨 등과 함께 정식으로 왕비에 책봉되어 정비(正妃)가 되었다. 한편 정비와 다른 왕비들이 책봉될 당시 우왕의 후비들에게 들어가는 물자가 지나치게 많아 국가의 창고가 바닥났을 뿐 아니라 3년분의 공물을 미리 걷어도 부족해 결국에는 세금을 불법적으로 더 걷어들이는 등 그 폐단이 심각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왕비에 책봉된지 겨우 3개월만인 1388년(우왕 14년) 음력 6월 우왕이 폐위되고 창왕이 즉위하면서 창왕의 모후인 근비 이씨왕대비 안씨의 조카 현비 안씨를 제외한 나머지 우왕의 후비들은 모두 사가로 쫓겨났다.[3]

그녀의 아버지 신아 등은 두 달 뒤인 음력 8월 7일 창왕의 생일을 맞아 유배지에서 풀려났다가 1391년(공양왕 3년) 음력 5월 공양왕이 신아를 비롯한 우왕 후비들의 아버지들을 개경에서 추방시켜야 한다는 허응의 건의를 받아들여 다시 유배되었다.

이후 정비(正妃)의 생애에 대해서는 남아있는 기록이 없으며 우왕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한편 우왕은 신돈의 자식으로 취급되어 《고려사》의 〈세가〉에 오르지 못하고〈열전〉반역 편에 수록되었고, 우왕의 왕비들은[구비삼옹주] 아예 수록되지 않았다.

2.1. 가계

  • 친정
    • 고조부 : 신중명(申仲明)
      • 증조부 : 신집(申諿)
        • 조부 : 신익지(申翼之)
          • 부친 : 신아(申雅)
          • 모친 : 미상
  • 배우자 / 남편
    • 남편 : 우왕 왕우(王禑)

[종2품] [2] 오늘날 경상남도 사천시[3] 영비 최씨명순옹주는 우왕을 따라나섰다.[구비삼옹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