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23 01:46:29

장백 조선족 자치현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8, 자치주 1
현급행정구
시할구 21, 현급시 20, 16, 자치현 3
창춘시
성도
长春市
난관구
南关区
콴청구
宽城区
차오양구
朝阳区
얼다오구
二道区
루위안구
绿园区
솽양구
双阳区
주타이구
九台区
위수시
榆树市
더후이시
德惠市
궁주링시
公主岭市
눙안현
农安县
지린시
吉林市
창이구
昌邑区
룽탄구
龙潭区
촨잉구
船营区
펑만구
丰满区
자오허시
蛟河市
화뎬시
桦甸市
수란시
舒兰市
판스시
磐石市
융지현
永吉县
쓰핑시
四平市
톄시구
铁西区
톄둥구
铁东区
솽랴오시
双辽市
리수현
梨树县
이퉁 만족 자치현
伊通满族自治县
랴오위안시
辽源市
룽산구
龙山区
시안구
西安区
둥펑현
东丰县
둥랴오현
东辽县
퉁화시
通化市
둥창구
东昌区
얼다오장구
二道江区
메이허커우시
梅河口市
지안시
集安市
퉁화현
通化县
후이난현
辉南县
류허현
柳河县
바이산시
白山市
훈장구
浑江区
장위안구
江源区
린장시
临江市
푸쑹현
抚松县
징위현
靖宇县
장백 조선족 자치현
长白朝鲜族自治县
쑹위안시
松原市
닝장구
宁江区
푸위시
扶余市
창링현
长岭县
첸안현
乾安县
첸궈얼뤄쓰 몽골족 자치현
前郭尔罗斯蒙古族自治县
바이청시
白城市
타오베이구
洮北区
타오난시
洮南市
다안시
大安市
전라이현
镇赉县
퉁위현
通榆县
연변 조선족 자치주
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
延吉市
도문시
图们市
돈화시
敦化市
훈춘시
珲春市
룡정시
龙井市
화룡시
和龙市
왕청현
汪清县
안도현
安图县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0, 128, 255, .2)"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47a0><colcolor=#fff>언어한국어 (한국어족) · 한국 수어
주요 구성원한국인 (남한인 · 북한인 · 북한이탈주민)
독립국[[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자치 지역연변 조선족 자치주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장백 조선족 자치현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재외동포한국계 미국인 · 한국계 일본인 · 조선족 · 고려인 · 사할린 한인 · 한국계 캐나다인 · 한국계 호주인 · 한국계 칠레인 · 한국계 우크라이나인 · 한국계 영국인 · 한국계 아르헨티나인 · 한국계 브라질인 · 한국계 멕시코인 · 한국계 러시아인 · 한국계 프랑스인 · 한국계 이탈리아인 · 한국계 스위스인 · 한국계 네덜란드인 · 한국계 벨기에인 · 한국계 스페인인 · 기타
국적한국계 외국인 · 외국계 한국인}}}}}}}}}
파일:중국 국장.svg 바이산시자치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장백 조선족 자치현
长白朝鲜族自治县
Changbai Korean
Autonomous County
}}}
<colbgcolor=#008eaa><colcolor=#ffffff> 인민정부
소재지
장백대가 51호
하위 행정구역 6진 5향
면적 2,505.97㎢
인구 75,497명(2020)
현장
정형일
서기
추래복
홈페이지 파일:changbailogo.pngchangbai.gov.cn
파일:장백조선족자치현.jpg
1. 개요2. 행정 구역
2.1. 6진2.2. 5향
3. 역사4. 군사5. 관련 문서

1. 개요

조선어 : 장백 조선족 자치현
중국어 : 长白朝鲜族自治县[2]

중국 지린성 바이산시에 위치한 자치현으로 중국에서 유일한 조선족 자치현이다. 면적은 2,497.6 km²[3] 인구는 2020년 조사에 따르면 7만 5,497명이고 그 중 16.9%가 조선족이다.# 이 숫자는 호적에 등록된 숫자로 실제 주민은 5만 8,266명에 불과한데 이것은 이촌향도 현상 때문이다.

2. 행정 구역

'6진 5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6진

  • 장백진(長白鎭)
  • 팔도구진(八道溝鎭)
  • 신방자진(新房子鎭)
  • 십사도구진(十四道溝鎭)
  • 보천산진(寳泉山鎭)
  • 마록구진(馬鹿溝鎭)

2.2. 5향

  • 십일도구향(十一道溝鄕)
  • 십이도구향(十二道溝鄕)
  • 십삼도구향(十三道溝鄕)
  • 용강향(龍崗鄕)
  • 금화향(金華鄕)

3. 역사

  • 1677년: 청나라 정부가 이곳을 200년간 봉금지역으로 설정하고, 주민을 퇴거시켰다.
  • 1875년: 청나라 정부가 봉금령을 해제하고, 개발정책을 시행했다.
  • 1877년: 인근에 통화현(通化縣)이 설치되어 통화현에 속하게 되었다.
  • 1902년: 인근에 임강현(臨江縣)이 설치되어 임강현에 속하게 되었다.
  • 1908년 9월 15일: 장백부(長白府)가 설치되어 십팔도구(十八道溝)와 십구도구(十九道溝) 사이의 탑전(塔甸) 지역[4]을 통치했고, 봉천부(奉天府)에 속하게 되었다.
  • 1909년: 안도현과 무송현(撫松縣)이 설치되어 장백부의 관할이 되었다.
  • 1913년: 장백부가 장백현으로 개칭되었고, 봉천성에 속하게 되었다.
  • 1929년: 요령성에 속하게 되었다.
  • 1931년: 장백현이 간접적으로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945년 12월 25일: 안둥성(安東省)에 속하게 되었다.
  • 1946년 1월 23일: 지랴오성(吉遼省) 퉁화분성(通化分省)의 관할이 되었다.
    • 1946년 봄: 창바이현 인민정부가 설립되고, 안둥성 통화전구(通化專區)의 관할이 되었다.
    • 1946년 7월: 랴오닝성 퉁화전구의 관할이 되었고, 얼마 뒤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7년 1월: 창바이현이 랴오닝성 직할이 되었다.
    • 1947년 6월: 다시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2월 11일: 랴오닝성 제1전구의 관할에서 해제되고, 창바이현이 랴오닝성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6월 21일: 안둥성의 관할이 되었다.
    • 1948년 7월: 안둥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49년 2월: 랴오둥성(遼東省)의 관할이 되었다.
    • 1949년 4월: 랴오둥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54년 7월 23일: 지린성 통화전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56년: 창바이현 인민정부가 창바이현 인민위원회로 개칭되었다. 구(區)를 없애고 향(鄕)을 설치했다. 창바이현의 5개 구를 2개 진(창바이진長白鎭, 바다오거우진八道溝鎭), 11개 향으로 개편했다.
  • 1958년 9월 15일: 장백 조선족 자치현이 설치되었고 지린성 퉁화전원공서(通化專員公署)에 속하게 되었다.
  • 1968년: 장백 조선족 자치현 인민위원회를 폐지하고 장백 조선족 자치현 혁명위원회를 설립했다.
  • 1980년: 장백 조선족 자치현 혁명위원회를 폐지하고 장백 조선족 자치현 인민정부를 성립했다. 이때 장백 조선족 자치현은 10개 공사(公社), 1개 진, 79개 생산대대(生産大隊), 184개 생산소대를 관할하고 있었다.
    • 1980년 9월: 장백진 공사가 장백진 인민정부로 개칭되었다.
  • 1983년 8월: 장백 조선족 자치현의 10개 공사가 향으로 바뀌었다.
  • 1984년 12월: 바다오거우향(八道溝鄕)과 스쓰다오거우향(十四道溝鄕)을 폐지하고 바다오거우진과 스쓰다오거우진을 설치했다.
  • 1985년 4월 1일: 훈장시[5] 관할이 되었다.

4. 군사

북부전구육군 제330국경경비여단이 주둔해있다.

5. 관련 문서


[1] 장백 조선족 자치현의 정식 상징 중에 하나인데, 정확히 어떤 위치인지는 불명. 중국은 홍콩이나 마카오 같은 특별행정구가 아니라면 자치 구역들이 별도의 상징을 쓰는 것에 소극적인데, 일단 저 상징은 현재 장백 자치현 공식 사이트에 정식으로 등재된 이미지다. 과거에는 저 이미지와는 별개로 파일:changbailogo.png 이 이미지도 공식 사이트 좌측 상단에 등재가 됐었는데, 지금은 그 자리를 중국 중앙 정부의 국장이 대체하고 있다.[2] 간체자[3] 제주도(1,833.2km²)보다 조금 크다.[4] 現 창바이진(長白鎭)[5] 이후 바이산시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