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녀 [[틀:조선의 왕녀/중종 ~ 철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fd4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사도세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4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4153e; font-size: .7em" | |||
}}}}}}}}}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조선 중종의 왕녀 인순공주 | 仁順公主 | |||
인순공주묘 전경 | |||
출생 | 1542년(중종 37년) 5월 | ||
사망 | 1545년(인종 1년) (향년 3세) | ||
능묘 | 인순공주묘[1]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4153e><colcolor=#ffd400> 본관 | 전주 이씨 | |
부왕 | 중종 | ||
모후 | 문정왕후 윤씨 | ||
시호 | 인순공주(仁順公主)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종의 적5녀. 어머니 문정왕후의 4녀로, 명종의 유일한 여동생이다. 그외에도 동복 언니들로는 의혜공주, 효순공주, 경현공주가 있다.2. 생애
1542년(중종 37) 문정왕후의 나이 42세였으며, 그녀가 태어났을 당시 부왕 중종의 보령은 55세였다. 이미 경원대군을 얻었고, 더이상 출산하기 힘들었을 나이였으나 이해 5월에 공주가 태어났다.[2] 그러나 공주는 성년이 되지 못하고, 어린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이에 인순공주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정수사(淨水寺)[3]를 공주의 원당[4]으로 삼았다.1564년(명종 19) 예산의 유생들이 정수사의 혁파를 주장했지만, 명종은 인순공주의 원당이라는 이유를 들어 받아들이지 않았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