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 南人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동인 | ||||
선조 (1575 ~ 1608) | |||||
이황 | 정개청 | 이덕형 | 김성일 | 류성룡 | |
우성전 | 정구 | 김응남 | 이원익 | 심희수 | |
허성 | 윤승훈 | 신식 | 이광정 | 신용 | |
정경세 | 이성구 | 이준 | |||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 |||||
근기남인 (북인) | 영남남인 | ||||
정구 | 장현광 | 윤선도 | 윤휴 | 이현일 | |
이하진 | 이수광 | ||||
효종 - 숙종 (1649 ~ 1720) | |||||
윤선도 | 허목 | 민희 | 민점 | 윤휴 | |
목내선 | 류형원 | 이서우 | 김덕원 | 민암 | |
이의징 | 신경제 | 이운징 | 신필청 | 장희재 | |
청남 | 탁남 | ||||
허목 | 홍우원 | 윤휴 | 허적 | 권대운 | |
이원정 | 오시수 | 오정창 | 류혁연 | 허견 | |
경종 이후 (1720 ~ ) | |||||
실학 (중농학파) | 탁남 | ||||
이익 | 이중환 | 류득공 | 정사효 | 이인좌 | |
청남 | |||||
신서 | 공서(벽파) | ||||
채제공 | 이가환 | 이승훈 | 신후담 | 안정복 | |
정약전 | 정약종 | 정약용 | 홍낙안 | 목만중 | |
세도 정치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소론 少論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서인 | ||||||
숙종 (1674 ~ 1720) | |||||||
윤증 | 남구만 | 조사석 | 박세채 | 류상운 | |||
서문중 | 최석정 | 박세당 | 오도일 | 나양좌 | |||
최규서 | 정제두 | 박태보 | |||||
경종 (1720 ~ 1724) | |||||||
급소 | 준소 | 완소 | |||||
김일경 | 조태구 | 최석항 | 이광좌 | 조문명 | |||
목호룡 | 류봉휘 | 조태억 | 조현명 | 이태좌 | |||
영조 (1724 ~ 1776) | |||||||
<rowcolor=#000> 준론 (강경파) | 완론 (온건파) | ||||||
김일경 | 박필몽 | 이광좌 | 오명항 | 조문명 | |||
정사효 | 목호룡 | 송인명 | 조현명 | 박문수 | |||
이인좌 | 정희량 | 이종성 | 조재호 | 이광사 | |||
이진유 | 이진검 | 이태좌 | |||||
정조 - 순조 (1776 ~ 1834) | |||||||
<rowcolor=#000> 벽파 (청명당) | 시파 (탕평당) | 실학파 | |||||
서명응 | 이성원 | 김상철 | 이병모 | 서유구 | |||
서명선 | 이복원 | 이시수 | 이만수 | 이긍익 | |||
세도 정치 | |||||||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인좌 李麟佐 | |
본명 | 이현좌(李玄佐) |
출생 | 1695년[1] |
충청도 청주목 괴산군 송면 (現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송면리) | |
사망 | 1728년 (향년 33세) |
한성부 남부 명례방 군기시 앞 (現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1가 일대) | |
본관 | |
부모 | 아버지 이홍덕, 어머니 창녕 조씨 |
형제자매 | 남동생 이웅좌[4], 이준좌[5], 이기좌,[6] 이기아[7] |
배우자 | 윤자정 |
자녀 | 아들 이중명, 이문명, 이화명, 이인명[8] |
[clearfix]
1. 개요
조선 영조 때의 역신(逆臣). 이인좌의 난을 일으킨 인물.역적으로 낙인찍혀 전주 이씨 종친부의 족보에 이름이 지워져있고 가문도 제명처리되어 있다.[9][10]
2. 생애
1695년 아버지 이홍덕(李弘德, 1667.1.12. ~ 1721.3.8.)[11]과 어머니 창녕 조씨(1666. ~ 1750.)[12] 사이에서 5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의 넷째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9대손으로 태어났으며 이인좌의 조부는 관찰사를 지낸 만연(曼衍) 이운징(李雲徵)이었다. 나중에는 윤휴의 손녀사위가 되었는데 과격한 남인 인사로서 소론이라 했지만 이인좌는 본래 남인이었다. 기사환국으로 득세했을 때 군권을 쥔 훈련대장으로 있던 이의징이 이인좌의 종조부였으며 이인좌의 할아버지 이운징은 그의 동생이였다. 신임사화로 득세하였으나 영조의 즉위로 소론이 몰락하면서 함께 실각했다.이인좌가 역모를 구성할 때 준론인 김일경의 아들과 결탁하였다. 그리하여 비밀리에 남인과 소론파를 규합하여 영조 4년인 무신년(1728년) 소현세자의 자손인 밀풍군 이탄을 추대하기 위해 박필현, 정희량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13] 그 후 청주성을 함락하고 이봉상, 홍임, 남연년 등을 죽인 후 대원수라 스스로 칭했으며 3월 23일 경기도 안성에서 도원수 오명항의 군사를 공격했지만 신기전을 쏘자 이에 놀라 죽산으로 도주했다.
그렇게 청룡산으로 물러났지만 오명항이 이끄는 군사가 산으로 올라 공격하자 이인좌의 군사는 결국 무너졌으며 그칠 줄 모르는 추격으로 갑옷과 투구를 벗어 내동댕이 친 채로 달아나 산 속의 어느 절에 숨어 들었다. 그러나 3월 24일. 결국 농민 신길만(申吉萬) 등 마을 사람들 24명과 승려들에 의해 붙잡혔다.[14]
여러 장수들이 이인좌를 죽여 이인좌의 살점을 떼내 분풀이를 하려고 하자 오명항이 거짓으로 이인좌가 아닌 다른 사람을 죽인 뒤 그 가짜 목을 매달고 적괴 이인좌라고 했다. 진짜 이인좌는 함거에 실려 한성부로 압송되었고 1728년 3월 26일 친국에서 문초를 받다가 역모의 전모를 공술하고 1728년 3월 27일 대역모반죄로 군기시 앞에서 거열형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았다. 이인좌의 아내 윤자정[15] 역시 연좌제에 따라 청주에서 교수형에 처해졌고 자녀들은 유배되었다.
3. 대중매체에서
34세라는 상당히 젊은 나이에 처형당했음에도 반란군의 수장이라는 역할 때문인지 대중매체에서는 중년의 나이 지긋한 인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애초에 이인좌 사건 자체가 작품의 핵심이자 주제가 아니라면 지나가는 배경 정도로만 나오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2016년 SBS 드라마 <대박>에서는 배우 전광렬[16]이 연기했다. 본인이 왕족이라 왕위를 직접 탐하여 난을 일으킨다는 설정으로 등장하여 숙종 때부터 역심을 품고 숙종에게 숙빈 최씨를 접근시키는 등의 모략을 펼치는 최종 보스 격인 인물로 설정되었다. 마지막에는 역사처럼 거열형으로 생을 마감한다.
- 2017년 개봉한 영화 <역모 - 반란의 시대>에서는 배우 김지훈이 연기했다.
4. 둘러보기
이인좌의 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동자 | <colbgcolor=#fff,#1f2023>이인좌 |
조선 정부 | 국왕 영조 · 오명항 · 박문수 · 조문명 · 이삼 · 조현명 · 이봉상 | |
반군 | 지휘관 이인좌 · 비정통 국왕 밀풍군 정희량 · 박필현 · 정세윤 · 신천영 · 이기좌 · 목함경 · 이사성 · 권서봉 · 김중기 · 남태징 · 정사효 · 심유현 | }}}}}}}}} |
[1] 추안급국안 무신역옥추안에 따른 이인좌의 생년.[2] 임영대군파 9대손.[3] 반란 실패 후 역적으로 낙인찍히자 가문에서 제명처리 당하고 종친부 족보에도 이름이 지워졌다.[4] 熊佐.[5] 駿佐.[6] 駿佐.[7] 夔兒. 막내동생으로, 아명이 기록되어 있다.[8] 中明, 文明, 化明, 仁明. 다만 임영대군파 인터넷족보에서 1720년에 태아난 이운선(李運旋)이라는 아들 한 명만 적혀있다. 족보 내용을 따르면, 이인좌의 난때 9세로 노복인 조씨의 아들과 서로 갈려 청화산에서 화를 피하여 숨어 살고 운둔하다가 병사로 사망했다고 한다. 이 아들을 통해 놀랍게도 현재 남아있는 이인좌의 후손들도 존재한다.[9] 1900년에 편찬된 선원속보 임영대군편 3권을 보면 정확히 복주(伏誅)와 좌주(坐誅)라고 나와 있다.(복주는 토벌에 의해서 주살되었다는 의미이고 좌주는 연좌제로 주살되었다는 의미.) 이인좌 본인하고 이인좌의 둘째동생인 이웅좌(李熊佐)는 복주되었고 이인좌의 나머지 두 동생인 이준좌(李駿佐)와 이기좌(李麒佐)는 연좌제로 주살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인좌의 자손들은 황해도 평산에 정체를 숨기고 살다가 대한제국 멸망 이후로 세상에 나타나기 시작했다.[10] 먼 선대이긴 하지만 고려 때 무신정변을 일으켜 권세를 잡았지만 곧 암살로 몰락한 이의방과 이에 동참해 횡포를 부린 형 이준의도 전주 이씨 족보에서 지워져 있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그들의 동생인 이린이 이성계의 6대조 선조라는 것.[11] 자는 사순(士淳).[12] 조하주(曺夏疇)의 딸이다.[13] 흔히 이인좌는 무신년 반란의 주도자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이인좌뿐만 아니라 박필현, 정희량 등 여러 사람들이 같이 일으켰고 이인좌는 경기도에서 반란을 주도했을 뿐이다. 이인좌가 반란 초기에 청주를 함락시키고 곧장 경기도로 진군하는 등 경기도 지역에서 크게 위세를 떨쳤기 때문에 반란의 명칭에 이인좌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14] 신길만은 이때의 공로로 4월 26일 은 1천 냥과 함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특별히 임명되었다.영조실록 1728년 4월 26일 기사 이어 4월 29일에는 영조로부터 반달 모양의 활을 하사받기도 하였다.영조실록 1728년 4월 29일 기사 1730년에는 부호군(副護軍)으로 임명되었다.승정원일기 1730년 8월 10일 기사[15] 윤휴의 손녀이다.[16] 이인좌보다 나이가 많았던 연잉군은 40살 가까이 어린 배우 여진구가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