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모두의 포켓몬 농장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모두의 포켓몬 농장의 등장인물: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유카리(모두의 포켓몬 농장)#|]]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bgcolor="#8dc76c"> ZA로열 상위 로열 트레이너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F | E | D | C | B |
| 승급전 | |||||
| 카나리 | 시로 | 카라스바 | 유카리 | 그리 | |
| 전초전 | |||||
| 타라곤 | 무쿠 | 지프 | 시온 | 그리젤 |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마슈(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말리화|{{{#!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포플러(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비트(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오르티가|{{{#!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타로(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유카리(포켓몬스터)|{{{#!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600px / 4);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none; border:0.5px solid;"]] |
| | ||
| <colbgcolor=#dab4d4><colcolor=#fff> 성별 | 여성 | |
| 트레이너 계급 | MSBC | |
| 지방 | 칼로스지방 | |
| 주된 타입 | | |
| 데뷔작 | Pokémon LEGENDS Z-A | |
| 세대 | 9 | |
| 등장 게임 | LEGENDS Z-A | |
1. 개요
Pokémon LEGENDS Z-A의 등장인물.미르 소셜 배틀 클럽의 리더이다.
2. 작중 행적
ZA로열 C랭크 승급전 상대. 유카리의 소원은 미르시티 시민들을 모두 최고의 트레이너로 만드는 것인데, 그것을 위해 미르시티 전체가 ZA로열 비슷한 종류의 랭크배틀을 끝없이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큰 틀에서 저스티스회의 수장인 시로의 소원인 '와일드 존을 없애는 것'과 맥락이 같기 때문[1]인지, 엔딩 직후 시로와 유카리 두 사람이 호텔Z에 찾아와서 소원 이야기를 하다가 공통점을 느끼고 서로를 바라보며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2]주인공이 C랭크가 된 뒤 주인공과 가이/타니를 쉬르 리슈 그랜드 호텔에 초대한다. 주인공과 가이/타니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싸웠던 카나리, 타라곤, 시로, 무쿠, 지프, 카라스바까지 모두를 초대해 유카리 토너먼트를 열려고 하나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의 등장으로 주인공과 가이/타니는 떠나버린다. 그러자 호텔Z까지 찾아와 토너먼트에 나와 달라고 집요하게 부탁하는가하면[3]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이 등장하는 곳에까지 홀로그램으로 나타난다. 모든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이 진정되자 호텔Z를 유카리 존으로 포위한 뒤 자신의 부하들과 시온에게 배틀하게 한다.[4][5] 동시에 그랜드 호텔에 남아있는 6인 또한 유카리 존에 가둬놓았던 것은 덤.[6][7]
그 후 유카리 토너먼트를 개최하며 우승자가 자신과 싸울 수 있도록 대진표를 배치한다. 이전에 상대한 랭커들인 카나리, 시로, 카리스바에게 다시 한 번 승리한 뒤 결승전에서 주인공과 맞붙기 전 지가르데가 난입하자 이조차 이벤트로 여기고 승급전에서 주인공에게 패배하고도 즐거운 배틀을 한 것에 기뻐한다.
이후 플라엣테 폭주 사건의 조력자 중 한 명으로 등장. 다들 현장에서 분주하게 주인공을 조력하는 와중에 자리를 비웠지만, 알고 보니 미르시티 셀럽의 대표답게 미르시티 시장을 압박해서 사후 대처를 위해 경찰을 총동원시키는 등 물밑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후 시온과 합류해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들이 주인공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유카리 존으로 막아선다.
스토리 엔딩 후 주인공의 소원에 의해 ZA로열이 끝없이 열리는 상태가 되자 본인의 소원이 주인공을 통해 이뤄진 것에 진심으로 감사하며 기쁜 마음으로 ZA로열 ∞(인피니티)에 참가한다. ZA로열 ∞ 20연승 이후 119번 사이드 미션이 해금되는데, 이것이 사전 유출 자료 중에 있었던 '슈퍼 유카리 토너먼트'의 정체. 한국어판 기준으로 '슈퍼 유카리 토너먼트 D'라고 표기되는데, D는 '단둘이'라는 의미라고 한다.[8] 어지간히 실례되는 질문에도 대부분 긍정적으로 답하는 주인공마저, 대답 중에 '됐네요'가 있을 정도로 학을 떼는 집요함을 보여주는 모습. 스토리 중 나왔던 토너먼트표에 주인공을 제외한 모든 자리를 자기 자신으로 채워 넣었으며, 결과적으로 유카리와의 4연전 형식으로 치뤄진다. 유카리와 4연전을 이겨 서브 이벤트가 클리어되면 30만원과 럭셔리볼 30개를 보상으로 주며, 이후로도 원할 때마다 유카리와 무제한 배틀을 즐길 수 있는 '유카리 토너먼트 ∞'로 바뀌는데, 이 시점부터는 아예 토너먼트 대진표조차 만들지 않고 그냥 노골적인 무한 연속 1:1 대전이 되어버린다.
3. 그 외
3.1. 기타
유카리의 메가진화 모션
- 칼로스지방에선 마슈를 이은 두번째 페어리타입 네임드 트레이너로 마슈처럼 입치트, 님피아를 사용한다. 메가진화 에이스는 메가픽시. 또한 페어리와는 관련이 없는 바위/얼음 타입의 아마루르가를 사용하는데[9], 디자인상으로 오로라를 모티브로 한 만큼 아름답기 때문에 멤버이기도 하고 그녀의 메이드인 시온이 대칭점인 견고라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택한듯.[10]
- 포켓몬 시리즈에서 흔치 않게 동명이인이 있는 캐릭터다.[11] 단 저쪽은 외전작, 그것도 4세대의 박스 보관 시스템 소프트에만 잠깐 등장한 캐릭터고, 정황상 제작진도 이 캐릭터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잊어버렸을 가능성이 높다.
- 배틀 존이나 와일드 존과 별개로 유카리가 자체적으로 만드는 '유카리 존'이 존재한다. 유카리 존을 소환하거나, 해제할 때는 머리 위로 하트를 그리는 포즈를 취하는 게 특징이다. 색은 유카리의 옷 색과 유사한 보라색 계통. 덤으로 셀럽답게 홀로캐스터도 독자적인 특제품을 사용하는지 다른 인물들의 홀로그램은 청록색으로 나오는 반면 유카리의 홀로그램은 진한 보라색으로 나온다.[12]
- 기척을 내지 않는 능력이 있는지 MZ단의 작전회의에 쥐도 새도 모르게 잠입하여 MZ단 멤버들을 놀라게 만들기도[13] 했으며, 앙쥬 플라엣테 폭주 사태에서는 주인공과 시온이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들을 정리한 뒤 시온이 유카리에 대한 뒷담을 하는 동안 기척을 내지 않고 다가온 유카리를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직방으로 들키기도 했다.
- 캐릭터 컨셉은 엄청난 부와 권력을 가지고 유독 혼자서만 공주풍 드레스에 눈마저 부담스러울 만큼 순정만화스러운 톤, MZ단이 자신의 이벤트를 거절하자 집요하게 스토킹하는가 하면 토너먼트라고 해놓고 대진표가 일방적으로 자신은 준우승자와 부전승을 치르게 해놓는[14] 광적인 행적, 그러면서도 자신이 원하면 기척을 없앨 수 있는 능력 등을 보아 C.S.루이스가 제창한 요정의 3분류 중 마지막에 속하는 고귀한 요정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 외견은 여기에 맞춰서 주 타입인 페어리 타입을 연상시키는 라벤더색 드레스에 풍성한 머릿결 등 공주풍 컨셉이지만 매우 어두운 피부색을 가져 굉장히 언밸런스하게 디자인되었다. 포켓몬 시리즈에서 검은 피부를 갖고 있는 캐릭터들은 여럿 있지만, 머리카락과 복장이 밝은 연보라색으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피부색이 더욱 어두운 듯한 대비 효과가 나타난다.
- 주인공을 쫓아다니며 연신 배틀을 요구하고 엔딩 이후 서브 퀘스트에선 아예 주인공과 1:1 무한 매치를 주최하는 등, '배틀광' 기믹이 강렬하다 보니 네모에 비견되기도 한다. 대체로 일반 상식 대신 메르헨적 사고방식을 과도하게 농축시킨 네모[15] 같다는 평을 듣는다.
- 네모와 다른 점이라면 수집욕 또한 상당하다는 것으로, 마음에 드는 트레이너를 굴복시켜 자신의 메이드로 만드는 사례가 시온 외에도 여럿 있는 듯하다. 시온의 대사를 통해 '유카리와의 포켓몬 배틀에서 진 상대를 메이드로 만드는 사례'가 이전에도 있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된다.
- 네모는 아가씨 속성이 대화에서 언급될 뿐 스토리상에서 강조되진 않으며 주인공 하나에만 집착하지만, 유카리는 강자와 배틀하고 싶다는 이유로 자신의 신분과 재력을 이용한 온갖 갑질을 벌인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MSBC 자체의 설립 목적도 그랬고, ZA로열 A랭크가 되어 빌고 싶은 소원도 미르시티 전체의 랭크배틀화였으며, 유카리 토너먼트 역시 그런 사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밑작업 중 하나였다. 애초에 대기업 중견 임원의 딸과 미르시티 전체를 좌지우지하는 거대 재벌 2세의 격이 다를 수밖에 없기는 하다지만[16] 유카리는 그 정도가 심했다는 평. 다른 NPC의 언급 중에는 프리즘타워를 사려 했었다는 대사도 있는데, 스토리상 보여 줬던 스케일을 생각해 보면 농담이 아니라 진지하게 본인 소유로 구매하려는 시도를 했을 확률이 높다.
- 유카리의 광적인 행동은 미르시티 전체에 널리 유명해져 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카리와 직접 엮이기를 꺼리는데, 심지어 야쿠자 조직의 수장인 카라스바마저 유카리와는 엮이지 않으려고 하는 등 몸을 사리는 모습을 보인다. 자기보다 더 심한 짓도 서슴지 않는 사람이란 것을 알고 있기에 직접 대응을 절대적으로 피하려는 수준. 심지어는 측근인 시온도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서 두려워하는 동시에 뒷담을 하다가 유카리에게 걸려 끌려갈 때 거의 절망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 이번 작에서 사실상 체육관 관장에 가까운 포지션을 맡고 있는 ZA로열 상위 랭커들은 전부 미르시티 안에서 어느정도 사회적인 입지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17] 유카리는 그 중에서도 재벌 2세 집단의 대표를 맡고 있는 만큼 독보적으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최종전에선 연줄을 활용해 시청을 압박해서 사후 대처를 미리 준비해놓을 정도.
- 유카리 토너먼트를 개최할 때 개회사에서 언급되는 이야기로, 가라르지방의 챔피언이었던 단델을 초청한 적이 있다고 한다. 마침 미르시티 NPC 중에 단델이 미르시티에서 길을 잃었다는 언급을 하는 사람이 있다.[18]
- 셀럽이라는 캐릭터 특성에 맞게 포켓몬들을 럭셔리볼에서 꺼내고, 토너먼트 트로피 모양도 럭셔리볼을 테마로 했다. 그렇게 셀럽으로서의 차별성이 여기저기서 강조되는데 비해, 의외로 스마트로토무에는 주인공처럼 아무런 장식도 붙이지 않았다. 유카리를 제외하면 주인공의 승급전 상대는 저마다 자신의 개성에 맞춘 스마트로토무 장식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외인 부분.
- 유카리와의 1:1 무제한 배틀인 유카리 토너먼트 ∞는 자체적으로 연승 횟수를 카운트해주며 배틀이 시작될 때마다 포켓몬을 자동으로 회복시켜 주는데, 이게 ZA의 최고 효율 자금 작업 및 경험치 작업용 연속 대전이라 버튼키 할당으로 한손 플레이가 가능한 공략이 나올 정도가 되었다.[19]
3.2. 관련 테마곡
| <rowcolor=#fff> 유카리의 테마 (LEGENDS Z-A) | 작곡가 | 편곡가 |
| <rowcolor=#fff> 전투! 유카리 (LEGENDS Z-A) | 작곡가 | 편곡가 |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장르로, 특히 서양에서의 뜨거운 반응과 함께 유튜브에 등록된 LEGENDS Z-A 테마 중 가장 높은 조회수를 보이고 있다. 통신대전의 배경음으로도 인기가 높다. 영어권에서는 children yearn for 밈[20]과도 직접적으로 엮이고 있다.
3.3. 국가별 명칭
| 언어 | 이름 | 유래 |
| 일본어 | ユカリ | 일본어로 보랏빛(縁の色, ゆかりのいろ), 또는 유칼립투스 |
| 한국어 | 유카리 | |
| 영어 | Jacinthe | 히아신스를 뜻하는 프랑스어 Jacinthe |
| 프랑스어 | Violine | 보라색을 뜻하는 단어 Violet |
4. 소유 포켓몬
4.1. 1차전 (ZA 로열)
| | | | | |
| 멜리시 (Lv.57) | 입치트 ♀ (Lv.58) | 아마루르가 ♀ (Lv.58) | 가디안 ♀ (Lv.58) | 메가픽시 ♀ (Lv.59) |
| | | | | |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픽시나이트 |
| 기술배치 스텔스록 스톤에지 문포스 러스터캐논 | 기술배치 치근거리기 아이언헤드 깨물어부수기 불꽃엄니 | 기술배치 눈보라 프리즈드라이 록블라스트 방어 | 기술배치 문포스 사이코키네시스 명상 매지컬플레임 | 기술배치 에어슬래시 문포스 매지컬플레임 방어 |
페어리 타입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다타입 견제를 중점으로 구성되었지만 전반적으로 화력이 높은 편은 아니고, 파티 전체가 강철 타입에 일관적으로 공략당하는 결점이 있다. 메가픽시도 괜히 비행 타입이 추가되는 바람에 약점이 더 늘어나서, 메가메타그로스까지 갈 것도 없이 메가몰드류 한 마리만 있어도 혼자서 밀어버릴 수 있다.
일단 강철 타입을 대비한 불꽃 기술들을 채택하긴 했는데, 비자속 2배라고 해 봐야 레벨링을 착실하게 해 온다면 버텨낼 수 있으므로 동일 수준 레벨링 파티 구성으로 치면 오히려 D랭크인 카라스바보다도 쉽다. 선두로 나오는 멜리시의 개막 기술이 무조건 스텔스록으로 고정이라는 점만 조심하면 AI상 딱히 특출난 점도 없고, 그나마도 유카리 공략용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메타그로스[21]나 몰드류 입장에서는 별로 아프지도 않다.
4.2. 2차전(리워드전 초기)
| | | | | | |
| 멜리시 (Lv.69) | 입치트 ♀ (Lv.70) | 아마루르가 ♀ (Lv.70) | 가디안 ♀ (Lv.70) | 님피아 ♀ (Lv.70) | 메가픽시 ♀ (Lv.71) |
| | | | | | |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픽시나이트 |
| 기술배치 스텔스록 스톤에지 문포스 러스터캐논 | 기술배치 치근거리기 아이언헤드 깨물어부수기 불꽃엄니 | 기술배치 눈보라 프리즈드라이 록블라스트 방어 | 기술배치 문포스 사이코키네시스 명상 매지컬플레임 | 기술배치 문포스 섀도볼 매지컬샤인 거짓울음 | 기술배치 에어슬래시 문포스 매지컬플레임 방어 |
기존 멤버에서 님피아가 추가된 구성이나, 님피아에게 강철 타입 대비 기술이 하나도 없어서 난이도 자체는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 레벨링만 착실하게 한다면 어려울 것이 없다.
4.3. 3차전(슈퍼 유카리 토너먼트 D) 이후
| | | | | | |
| 멜리시 (Lv.73) | 입치트 ♀ (Lv.74) | 아마루르가 ♀ (Lv.74) | 가디안 ♀ (Lv.74) | 님피아 ♀ (Lv.74) | 메가픽시 ♀ (Lv.75) |
| | | | | | |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없음 | 지닌 도구 픽시나이트 |
| 기술배치 스텔스록 스톤에지 문포스 러스터캐논 | 기술배치 치근거리기 아이언헤드 깨물어부수기 불꽃엄니 | 기술배치 눈보라 프리즈드라이 록블라스트 방어 | 기술배치 문포스 사이코키네시스 명상 매지컬플레임 | 기술배치 문포스 섀도볼 매지컬샤인 거짓울음 | 기술배치 에어슬래시 문포스 매지컬플레임 방어 |
슈퍼 유카리 토너먼트 D 4연전부터 이 사양으로 나오며, 클리어하고 나면 유카리 토너먼트 ∞와 리워드전에서 이 사양으로 공통적으로 고정된다. 평균 레벨만 올랐을 뿐이라서 그냥 레벨링에만 충실하면 여전히 어려울 것 없는 구성이다.
[1] 와일드 존을 없애기 위해, 먼저 미르시티 시민들 모두가 포켓몬 승부에 익숙해질 만큼 강하게 만드는 것을 사전 준비 과정으로 생각하고 있다.[2] 다만 공통점이 있다는 것에 기뻐하는 반응이 아니라 내가 이런 괴인하고 수준이 비슷하다고? 방식의 경악하는 듯한 뉘앙스이다. 후술하듯 유카리 역시 시로에 버금가는 괴인으로 미르시티에서 나름대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데, 2회차에서 A랭크가 된 주인공이 소원을 빌러갈 때 말을 다시 걸어보면 미르시티를 유카리시티로 개칭하는 소원을 비는 것은 어떻겠냐고 말하기도 한다.[3] 그것도 MZ단이 폭주 메가진화 사태를 위한 회의를 진행하던 도중 은근슬쩍 찾아와 책상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선 아주 자연스럽게 회의에 끼어들어 한마디씩 거드는 통에 책상에 앉아 있던 다른 MZ단 멤버들 뿐만 아니라 칠판 앞에 서서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던 루디마저 유카리의 존재를 눈치채지 못했다. 이야기가 다 끝나고 나서야 그제서야 제3자가 있다는 사실을 눈치챈 이노와 루디가 근데 누구세요?라고 반응하게 된다.[4] 근데 이 당시 MZ단은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도 모두 진정시켰고, 무엇보다 유카리가 너무 끈질겨서 유카리 토너먼트에 참가하려 했다. 말할 틈도 없이 배틀을 거는 바람에 일단 쓰러뜨린 뒤에야 참가 의사를 밝혔지만.[5] 참고로 폭주 메가진화 포켓몬을 해결하고 난 뒤에는 언제나처럼 호텔Z로 돌아가자고 하는데, 이번 이벤트에서는 호텔Z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포켓몬 엔트리를 맞출 틈도 없이 부하들+시온까지 3연속 배틀을 해야 한다. 그나마 부하 하나를 쓰러트릴 때마다 시온이 포켓몬들을 회복시켜 주겠다며 수락 의사를 물어보는데 여기서 수락하면 포켓몬들이 회복되기는 한다. 그래도 호텔Z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엔트리를 맞춰놓는 게 좋다.[6] 지루해진 카나리가 탈주를 시도했다가 발각되어 유카리 존이 생겼다고.[7] 주목할 만한 사실은 직전의 상대였던 현직 야쿠자 및 사채업자인 카라스바마저도 실제로는 하지 않았던 무단 감금이라는 범죄 행위를 지위상 거의 대극점에 있는 유카리가 했다는 점이다. 카라스바도 유카리가 자기보다 더하다는 걸 알고 있으며, 그 때문에 야쿠자 조직을 이끌고 있는데도 대응하지 않고 조용히 피하고 싶어한다. 물론 최종결전에서 유카리가 자신과 녹청파를 폄하하는 듯한 말을 하자 빡쳐서 받아치는 모습을 보면 그녀를 무서워하는 건 아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녹청파의 주력 타입은 독과 강철로 유카리의 주력인 페어리 타입과 아마루르가를 일방적으로 찌를 수 있는 타입이다.[8] 영어 알파벳을 쓰는 언어권에서는 'Le Super-Tournoi de Jacinthe O'라고 표기되는데, 여기에서의 O는 영어의 'Only'를 의미하며 '오직 주인공과 자신만이 맞붙는 토너먼트'라는 의미라고 한다. 1:1 연속 대전인데 토너먼트라고 우겨대는 슈퍼갑질 재벌2세[9] 오히려 이쪽은 페어리의 약점인 강철타입에 더욱 취약하다.[10] 재미있는 점은 아마루르가는 자신이 메이드로 부리는 시온의 에이스 메가드래캄을 완전히 카운터칠 수 있는 포켓몬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온이 뭘 해도 유카리를 못 이긴다는 캐릭터적 암시를 준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11] 모두의 포켓몬 농장에 등장한 유카리.[12] 유카리라는 이름은 유칼립투스에서 유래한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일본 이름인 유카리는 보라색을 뜻하는 무라사키와 같은 한자를 쓴다. 영칭과 프랑스명도 보라색을 암시하는 이름.[13] 주인공이 먼저 뭔가 이상함을 감지하기 전까지 다른 MZ단 멤버들은 유카리가 빈 자리에 앉은 것 자체를 눈치채지 못했다.[14] 심지어 지가르데 난입 사건이 발생하자 지가르데를 촬영하고 대진표에 지가르데를 추가시키기까지 했다.[15] 실제로 전투광 + 부잣집 따님 + 싸우기 위해 강한 상대를 만든다는 행동방침 등 공통분모가 꽤 있다.[16] 우선 미르시티를 대표하는 호텔인 쉬르 리슈 그랜드 호텔을 본인의 거주지 마냥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는 데다 유카리 존으로 무단점거까지 실행하는 것을 보면 애당초 쉬르 리슈 그랜드 호텔은 유카리 본인의 소유인 것으로 보이며, 플라엣테 폭주 사건에선 미르시티 시장마저 그녀의 압박을 이기지 못하고 순순히 요구를 들어준 점을 보면 가히 5년 전의 플라드리에 버금간다고 볼 수 있다.[17] 스트리머로서 대규모의 팬덤을 거느리고 있고 사실상 할아버지의 토목회사 라시느건설도 포괄하고 있는 카나리의 ZZ4, 큰 도장에서 많은 수의 회원을 가르치고 있는 시로의 저스티스회, 미르시티 뒷세계를 주름잡고 있는 카라스바의 녹청파. 이 셋은 모두 유카리보다 랭크가 낮은 랭커들인데, 아이러니하게도 그녀보다 랭크가 높은 B랭크의 그리는 소박하게 카페를 운영하며 정체를 숨기고 목표를 위해 암약하고 있었다.[18] 단델은 자타공인 길치다.[19] 다만 6마리 풀파티인데다 메가진화까지 하기 때문에 배틀 1번의 호흡은 긴 편이라, 배틀 횟수 1000번을 채우는 데는 기존의 ZA로열 ∞이나 보통 레스토랑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20] 마인크래프트 밈인 The children yearn for the mines의 파생 밈. 다른 일렉트로 스윙 곡에서 children yearn for electro swing이란 표현으로 드문드문 쓰이던 것이 유카리의 전투 테마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21] 다만 메탕과 메탕구는 B랭크 에피소드에서 해금되는 플라드리 래버러토리에서만 등장하므로 자력으로는 1차전 시점에서 획득할 수 없다. 최소한 부계정 스토리 불도저용으로 미리 밀어주는 정도에서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