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1:53:33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함 <colbgcolor=#fefefe,#191919>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과 러시아의 항공모함 계보 파일:러시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함 개조 항공모함 / 건조취소

이즈마일


 
경항공모함 및 정규항공모함 설계 / 건조취소

프로젝트 71형 항공모함


 
프로젝트 71형 기반 발전 설계 / 건조취소

프로젝트 72형 항공모함


 
전함 개조 항공모함 / 건조취소

프로젝트 69AV형 항공모함


 
노획 항공모함

체펠린


 
경사갑판 도입 / 건조취소

프로젝트 85형 항공모함


 

 
85,000톤급 / 개발취소

오렐급 항공모함


 

 

 
오렐급 계승 / 개발취소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


 
파일:소련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소련·러시아 해상병기의 계보 : 항공모함 | 전략 원자력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project.1143.7_03.jpg
파일:project11437_zps2c7d714d.png
Атомный Тяжё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АТАВКР) проекта 1143.7 «Ульяновск»

1. 개요2. 배경과 항공모함 아룔3. 스펙 및 특징4.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5. 등장 매체

1. 개요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은 냉전 당시 추진되었던 8만톤급 대형 항공모함 계획이다. 니미츠급 항공모함으로 대표되는 미국 해군의 해양지배력에 도전하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했지만 소련 붕괴로 인해 취소되었다. 함명은 소련의 국부 블라디미르 레닌의 고향인 울리야놉스크에서 따왔다.

2. 배경과 항공모함 아룔

파일:Orel (Project 1160) 2.jpg
Атомный Тяжёлый Авианесущий Крейсер (АТАВКР) проекта 1153 и 1160 «Орёл»

핵 만능주의에 입각해서 군비확충에 회의적이던 제4대 최고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가 실각하고, 재래식 전력 확대론을 그 당시 최고 지도자였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집권한 이후 소련도 본격적으로 해양전력 건설에 나서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에 비하여 예산과 전력 모두 절대적으로 열세인 항공모함의 확보를 위해 1975년 프로젝트 1153과 프로젝트 1160의 아룔(Проекта 1153 и 1160 Орёл)을 준비했다.

이는 1972년 취역한 미국의 니미츠급 항공모함에 자극받은 것으로 프로젝트 1160은 초기에는 만재 80,000톤급의 대형 함체에 핵추진을 기반으로 하고 캐터펄트방식이며 함재기는 약 70여 기를 운용하므로 항공모함 기준으로 보면 본격적인 대형 항공모함으로서의 조건을 갖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함미사일 24발도 탑재할 계획이었으나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3번함의 건조에 비용 일부가 전용되면서 만재 65,000톤급에 약 50여 기의 함재기를 운용하든 프로젝트 1153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계획은 후원자였던 보리스 부토마 조선산업장관과 안드레이 그레치코 국방장관의 사망 이후, 그레치코 국방장관의 후임인 드미트리 우스티노프에 의해 취소되었고 대신 키예프급 항공 중순양함 4번함의 건조가 결정되었다.

이후 80년대 초, 냉전이 심각해지면서 우스티노프는 다시 한 번 미 해군에 맞설 슈퍼 캐리어의 확보 필요성을 절감하여 과거 폐기했던 프로젝트 1153형 항공모함의 구상을 기반으로 한 소련 해군 최초의 슈퍼 캐리어를 건조하기로 했으니 그것이 바로 "프로젝트 1143.7형 항공모함 울리야놉스크"이다.

3. 스펙 및 특징

파일:울리야놉스크급.gif

스키점프 방식의 발진 포인트 2곳과. 캐터펄트 방식의 발진 포인트 2곳 등 도합 4곳의 발진 포인트가 보인다.

울리야놉스크급은 특이하게도 스키점프대캐터펄트를 모두 운영하도록 설계되었다.[1] 캐터펄트의 신뢰성 문제 때문으로 보이고,예정대로 추진했으면 사실상 소련 해군이 갖게 될 최초의 제대로 된 항공모함이었다. 규모는 여전히 85,000톤급으로 니미츠급보다 작지만 당시 아직 현역이었던 포레스탈급 항공모함보다 컸다.

하지만 미 해군과 맞먹는 수준의 항모전단을 결성할 능력이 없었던 소련 해군은 이를 커버하기 위해 자체적인 무장을 갖출 예정이었다.[2] 쿠즈네초프에 채워진 그라니트 미사일(똑같이 12발)은 물론, 함 가장자리에 다수의 원형 VLS(개당 8셀)이 장착되었다. 그래도 크기 자체가 쿠즈네초프보다 거대하여, 함재기 총량은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함재기로는 Su-33MiG-29K 합쳐 44기, Ka-27 대잠헬기 16기, Ka-27의 해상수색정찰형 2기, 그리고 Yak-44 조기경보기 6기가 예정되어 있었다. 특히 Yak-44는 소련군이 울리아노프스크급 운용을 위해 새로이 개발을 시작한 함상 조기경보기였는데(외형은 미국의 E-2와 매우 닮았다), 그 전의 소련군의 항공모함항공순양함들은 헬기를 조기경보기로 운용하고 있었다.

이들 항공기의 운용을 위해 50톤급의 항공기용 엘리베이터 3기가 함 내부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4.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1번함은 1988년 우크라이나 니콜라예프 (현 미콜라이우)에서 건조를 시작했으나, 이미 소련의 재정은 무리한 군비경쟁 및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의 여파로 경제가 박살나고 민심도 흉흉해진 상태여서 제대로 건조가 되지 못했다. 결국 몇 년 뒤 소련이 해체하면서 1991년 11월 1일 건조가 중단, 프로젝트는 취소되었고 선체는 스크랩 처리되었으며 전용 조기경보기 Yak-44 및 호위함으로 계획된 프로젝트 11990형등의 함선들도 같이 취소되었다. 예정대로였다면 1995년 진수되었을 것이다.

소련 해군은 일단 한 척을 건조한 다음 동형함의 추가건조냐 혹은 새로운 항공모함의 설계냐를 결정하려 하였으며 성공적인 사업이었을 경우 최대 8척을 건조하려 했다고 한다. 다만 어디까지나 지휘부와 조함단의 희망사항일 뿐이라 일본 제국 해군시마카제급 구축함처럼 실망스러운 성능에 1척만 끝내고 프로젝트를 파기했을 가능성도 높았다. 물론 스키점프대 방식이 아니라 캐터펄트 방식이라면 제대로 된 항공모함 효과를 보여줬을 것이나 그게 아니면 연습용 항공모함으로의 역할로서 끝났을 것이다.

5. 등장 매체

파일:MW_RF_ATAKR_Ulyanovsk.jpg

러시아의 모바일 게임인 모던 워십에 3티어 항모로 등장한다.


[1] 이러한 방식은 슈토름급 항공모함에도 적용되었다.[2] 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 등 여러 호위전력을 배치하여 항모전단을 조직한다면 미 해군을 견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겠지만 사실 능력도 안 될 뿐더러 가성비를 좋아하는 소련군이 항모전단의 필요성을 못 느꼈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