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39:21

에트루리아

에트루스칸 문명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E2B37>
베네치아
중부
북부
남부
선사
~
962년
에트루리아 갈리아 키살피나 삼니움 고대 그리스 페니키아
로마 왕국 고대 카르타고
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오도아케르 왕국
동고트 왕국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2 {{{#!wiki style="margin: -5px 0" }}}}}} 랑고바르드 왕국
베네치아 공화국 교황령 프랑크 왕국{{{-2 {{{#!wiki style="margin: -5px 0" }}}}}} 베네벤토 공국{{{-2 {{{#!wiki style="margin: -5px 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1BAA60> }}}}}}
이탈리아 왕국{{{-2 {{{#!wiki style="margin: -5px 0" }}}}}} 아말피 공화국
신성 로마 제국{{{#!wiki style="" 중세 이탈리아 왕국{{{-2 {{{#!wiki style="margin: -5px 0"<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1BAA60> }}}}}} {{{-2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9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9246> }}}}}}}}} }}}
962년
~
1861년
시칠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프랑스 왕국
스페인 왕국
사보이아 공국
사르데냐 왕국
스페인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로마 공화국
치살피나 공화국 양시칠리아 왕국
프랑스 제국
리구레 공화국
이탈리아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2 {{{#!wiki style="margin: -5px 0" }}}}}} 로마 공화국
1861년
~
현재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제국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연합군 점령하 이탈리아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 공화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520> 기원전 9세기~기원전 753년 에트루리아
기원전 753년~기원전 509년 로마 왕국
기원전 509년~기원전 27년 로마 공화국
기원전 27년~기원후 395년 로마 제국
395년~476년 서로마 제국
476년~493년 오도아케르 왕국
493년~536년 동고트 왕국
536년~756년 동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80%"
584년~751년
}}}
}}}
756년~1798년 교황령
1798년~1799년 로마 공화국
1799년~1809년 교황령
1809년~1814년 프랑스 제1제국
1814년~1849년 교황령
1849년~1850년 로마 공화국
1850년~1870년 교황령
1870년~1929년
1929년~현재 바티칸 시국 }}}}}}}}}
에트루리아
𐌓𐌀𐌔𐌍𐌀[1] | Rasna | Etruria
[2]
위치
파일:에트루리아.jpg
역사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존속 기간 기원전 900년 무렵~기원전 264년[3]
형성 이전 빌라노바 문화
멸망 이후 로마 공화국
주요 도시
베이이, 벨즈나(볼시니)
인문 환경
민족 구성 에트루리아인
공용어 에트루리아어
종교 에트루리아 다신교(주신: 티니아)
정치
정치 체제 연맹체
국가 요인 주요 지도자 라르스 포르세나(기원전 6세기)
라르스 톨룸니우스(? ~ 기원전 428?)

1. 개요2. 기원3. 언어4. 문화5. 신화6. 정치7. 고대 로마와의 관계8. 부활?9. 언어별 명칭10. 기타

[clearfix]

1. 개요

고대 이탈리아 반도 중부 지역에 존재하던 민족. 한때 이탈리아 중부는 물론이고 코르시카 섬까지 지배했고 고대 그리스와 함께 고대 로마에 많은 영향을 끼쳤지만 아직까지 비밀이 많은 문명이다. 기원전 8세기에서 기원전 1세기에 거쳐서 이탈리아 북부에서 많은 도시국가를 건설하였다.

고전 그리스어로는 튀레니아(Τυρρηνία, Tyrrēnía)라고 부른다. 에트루리아인은 스스로를 라스나(𐌓𐌀𐌔𐌍𐌀, Rasna)라고 불렀다. 로마인은 에트루리아인을 에트루스키(Etrusci) 또는 투스키(Tusci)라 부르고, 에트루리아 지방은 에트루리아 혹은 투스키아(Tuscia)라고 불렀다. 이것이 나중에 토스카나라는 이름으로 현대까지 남았다.

2. 기원

금발벽안으로 구성된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기원전 3000년경에 우크라이나 동부 초원이나 캅카스 북부 지역에서 유럽으로 유입되기 전에 코카소이드이자 에트루리아인의 조상인 Tyrsenian이 바스크인, 미노아인의 조상인 Vasconic, Eteocretan과 함께 신석기 시대인 기원전 8000년경부터 농경 생활로 남서유럽 전체에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현대의 남유럽인이나 중동인[4]처럼 검은색 계열의 곱슬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와 눈은 금발벽안인 사람에 비해 약간 까무잡잡했다. 그러나 원시 인도유럽인이 위 세 민족보다 금속 도구를 가장 빨리 발명했고 전차를 가장 먼저 활용했기 때문에 금발벽안이 유럽 전체에 퍼질 수가 있었으며 이들의 쓰던 언어는 고대에 멸종되어 바스크어만 현대에까지 전해진 상태이다.

파일:Italy-Villanovan-Culture-900BC.png

사료가 적고, 기록이 확실하지 않아 여러모로 논쟁이 많다. 기원전 900년~기원전 700년부터 기원전 700년~기원전 60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 중북부에 있었던 빌라노바 문화(Villanovan culture)가 기원으로 강력히 추정된다. 빌라노바 문화는 이탈리아 중북부 등을 중심으로 성립된 초기 철기 시대 문화로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300년~기원전 700년)부터 있었던 중앙 유럽의 언필드 문화의 분파이다. 빌라노바 사람들은 이탈리아 반도에 철기 기술을 전수했으며 빌라노바 문화 이전부터 내려오던 장례법으로 화장을 지냈고 시신을 태운 재를 독특한 이중 원추 모양을 한 유골 항아리(biconical urn)에 담아 묻었다. 유골함은 토기 혹은 청동제였다. 향후 빌라노바 문화는 에트루리아 문명이 근동, 그리스와 구별되는 독특한 요소를 가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나톨리아리디아에서 유래한 종족이라고 하나, 디오니시오스는 에트루리아인은 이탈리아의 토착민족이라고 언급한다. 2007년의 유전자 조사 결과 에트루리아인들은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기근을 피해 이주해 왔다는 주장이 나왔는데, 이는 캅카스 등지에서 주로 확인되는 Y 염색체 하플로그룹 G의 비중이 높다는 데 근거한 것이다. 그 반면 2013년 자료에서는 mtDNA 분석 결과 아나톨리아인과의 유전적 연관은 6~7천 년 전에나 있었으므로 에트루리아 문명과의 연관은 없을뿐더러, 고대 에트루리아인의 유전자가 아나톨리아인보다는 현대 유럽인과 더 가깝다고 보았다.

이 두 해석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Y 염색체에 의한 하플로그룹 분석과 mtDNA에 의한 하플로그룹 분석의 성격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Y 염색체는 부계로 유전되는 반면, mtDNA(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로 유전된다. 임신과 육아 등의 문제 및 신석기 시대 이후 사냥-채집 역할의 분화로 인해 정복이나 이주 등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일반적으로 남성이기 때문에, Y 염색체 자료는 정복이나 이주 등을 더욱 민감하게 반영하는 반면 mtDNA 자료는 비교적 보수적이고 토착적인 성향을 많이 반영한다. 특히 유럽에서 순동기~청동기 시대 이주해온 하플로그룹 R 계통의 Y 염색체 자료에 비해 mtDNA 자료가 신석기 시대 이후 정착한 토착 유럽인의 체질을 더욱 많이 반영한다는 것은 에트루리아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 걸쳐 일반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두 자료는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수의 외래 정복자가 우위를 점하였으되 실제 구성원 다수는 토착민이었다는 해석을 지지하는 상보적인 자료일 수도 있다. 그것이 아래 언어 자료의 현황과도 부합하는 면이 있다.

3.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트루리아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문화

파일:2045px-Map_of_Europe_with_indication_of_the_directions_of_the_traffic_of_Etruscan_and_Greek_products_-_(English_language_version).svg.png
갈색에트루리아 영역·영향권과 물자 이동 경로
청록고대 그리스의 영역·영향권과 물자 이동 경로

이탈리아 토착 문화로 에트루리아 이전에 발생한 테라마레 문화, 빌라노바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페니키아, 키프로스서아시아의 영향이 있었고, 그리스인이 남부 이탈리아에 정착하면서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분묘 건설에 많은 공을 들였는데, 에트루리아 문화는 주로 분묘를 통해서 발견되고 있다.

에트루리아 문화에서는 건축, 조각, 회화, 공예 등의 예술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전성기에는 조각, 회화 등에서 생동감 있는 표현이 강하다는 점이 현대에 높이 평가받는다. 조각으로는 아레초에서 발견된 키마이라 상이 유명하다.

당시 주변국가와는 달리, 여성의 독립적인 인격을 인정했다. 여성은 자신이 원하는 남성과 성행위를 할 수 있었고, 연회나 운동경기에서도 동등한 대우를 받으며 참가할 수 있었다. 가부장적 문화를 가진 그리스인들에게는 성행위가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고, 여성들이 집에서 건 밖에서 건 완전히 다 벌거벗고 생활하며 돌아다니는 에트루리아의 상황이 매우 충격적이었다. 이 때문에 로마인들과 그리스인들은 에트루리아 문화를 타락했던 것으로 보았다. 에트루리아인들에게 성적인 행위는 생명, 죽음, 내세와 관련있다고 추정할 뿐이다. 하지만 헤로도토스는 이런 에트루리아 여성들의 자신감있는 모습을 찬양하기도 했다.

고대 로마에 비해서는 가정 내에서 어머니의 권위도 상당히 존중된 것으로 생각된다. 에트루리아 전통양식의 비석에서는 아버지뿐만이 아니라 어머니의 이름도 함께 기록되었는데 고대 로마에서는 이런 경우가 상당히 드물었기 때문.[5]

5. 신화

에트루리아인의 신앙은 고대 로마와 마찬가지로 다신교였다.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인들이 자신들보다 신을 더 중시한다고 평가했다. 대체로 그리스 신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왔고, 로마 신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크게 에트루리아 토착신과, 로마 신화와 유사한 , 그리스에서 유입된 신으로 나누어진다.

에트루리아에서는 사자(死者) 숭배가 번성했고, 죽은 자의 무덤을 생전의 집과 똑같이 만들며 은 사자(死者)의 모습을 생생하게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이 때문에 많은 분묘가 에트루리아의 문화를 알려주는 유적으로 남게 되었다.
  • 티니아(Tinia): 신들의 왕이자 번개의 신. 유피테르와 동일
  • 우니(Uni): 신들의 여신이자 결혼의 신. 유노와 동일
  • 투란(Turan): 미와 사랑의 여신. 비너스와 동일
  • 라란(Laran): 전쟁의 신. 마르스와 동일
  • 푸플룬스(Fufluns): 술의 신. 바쿠스와 동일
  • 네툰스(Nethuns): 바다의 신. 넵튠과 동일
  • 헤르클레(Hercle) : 헤르쿨레스와 동일
  • 셀반스(Selvans): 숲의 신. 실바누스와 동일
  • 레인스(Leinth): 죽음의 여신
  • 치렌스(Cilens): 시간과 운명의 여신
  • 마리스:(Maris): 대지의 여신. 케레스와 동일
  • 사트레(Satre): 농사의 신. 사투르누스와 동일
  • 우실(Usils): 태양의 신.헬리오스와 동일
  • 레타(Leta): 강의 여신
  • 티브르(Tivr): 달의 여신
  • 멘르바(Menrva):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와 동일


여성 악마인 반트(Vanth)는 왜행성 오르쿠스의 위성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6. 정치

에트루리아 족의 도시국가들은 통합적인 국가를 만들지는 않았지만, 12도시 연맹이라는 느슨한 연맹체를 형성하였고 제사, 군사 등에서 협력하였다. 타르퀴니아, 키우시, 베이오, 체르베테리(카에레), 아레초 등이 유력한 도시이다.

기원전 390년 에트루리아가 켈트에 털리면서 도시 두 곳을 빼앗겼는데, 이때 빼앗긴 도시들은 메디올라눔[6], 보노니아[7]로 개칭되었다.

7. 고대 로마와의 관계

에트루리아는 주로 고대 로마와 관련하여 언급된다. 로마가 왕국이었던 시절에는 에트루리아가 영향력을 강하게 행사했는데 로마 국왕 가운데 5대왕부터 7대왕까지 3명이 에트루리아 혈통이었으며, 실제로는 더 많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심하게 보면 로마는 그냥 라틴족 도시 가운데 에트루리아 앞잡이 노릇하던 도시 정도로 보기도 한다. 어쨌든 에트루리아와 교류가 굉장히 활발히 진행되어 로마 문화에 에트루리아의 색채가 짙게 베이게 되었다. 예를 들면 로마의 대표적인 복식으로 인식되는 토가도 에트루리아인들의 의상에서 유래되었고, 이름 짓는 법도 에트루리아의 작명법에서 유래했고, 아치형 건축도 에트루리아에서 먼저 시작된 것을 로마인들도 받아들인 것이다.

하지만 로마가 강성해지면서 에트루리아의 도시들을 세력으로 압도하게 되었고, 결국 에트루리아의 도시들은 차례차례 로마에 복속되어 로마의 지배 아래 들어가게 되었으며,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로마에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만큼 에트루리아 문화를 상당히 존중한 편이었고 특히나 점술 등에 관해서는 상당한 후대에 이르기까지 로마인들이 에트루리아로 유학하기도 했으며 그들의 철학체계와 로마와의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했다. 여러 출토물과 기록을 고려했을 때, 에트루리아에 대해서 로마는 다른 동맹체보다도 좀 더 특별하게 인식한 것 같기도 하다.

고대 로마의 유명한 귀족 가문 중 하나인 리키니우스, 트레보니아누스, 케이오니우스, 볼루시우스 같은 공화정, 제정시대 귀족가문들이나 이름난 정치인, 장군 중 에트루리아계가 꽤나 있다. 로마 공화정 최초의 호민관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폼페이우스, 카이사르와 함께 1차 삼두정치의 일원인 크라수스, 옥타비아누스의 친구로 공화정 말, 제정 초기의 대표적인 명장으로 이름난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아우구스투스 시대동안 사실상 문화부 장관 역할을 한 가이우스 킬리니우스 마이케나스, 2대 황제 티베리우스의 고종사촌 루키우스 볼루시우스 사투르니누스, 로마 역사상 최악의 간신이자 권신으로 악명을 떨친 세야누스가 로마인 사이에서 에트루리아 혈통 로마인 중 유명하다. 로마 황제 중에도 에트루리아 혈통 가문 출신들이 꾸준히 많았다.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루키우스 베루스, 푸피에누스[8], 데키우스 황제의 두 아들 헤렌니우스 에트루스쿠스, 호스틸리아누스 형제, 트레보니아누스 갈루스, 볼루시아누스, 발레리아누스, 갈리에누스 등이 모두 에트루리아 혈통이었다. 외가와 외조부 아리우스 안토니누스가 에트루리아인의 후예라는 인식이 대단해, 에트루리아 지방을 무척 좋아했던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남편 안토니누스 피우스처럼 어머니의 조상 크라수스가 에트루리아계 로마인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했던 대 파우스티나, 대 파우스티나의 친조카, 양자, 사위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부모 모두를 통해 에트루리아를 대표한 귀족들의 후예라는 점을 자랑스럽게 여긴 콤모두스 역시 그들 정체성 중 일부를 에트루리아로 놓았던 로마 황제, 황후였다.

여담으로 고대 로마의 대표적인 시인 베르길리우스가 에트루리아계라고 한다. 베르길리우스의 풀네임이 푸블리우스 베르길리우스 마로인데 그의 성 마로가 에트루리아식 네이밍이라서 베르길리우스는 고대 에트루리아 귀족 가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전승에 의하면 베르길리우스 본인 스스로도 종종 자신을 에트루리아계라고 밝혔다고 한다.

8. 부활?

1801년 토스카나 대공국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멸망한 뒤 그 자리에 에트루리아 왕국이 건국되었다.[9] 파르마 공국 공작 페르디난도 1세의 아들 루도비코 1세를 왕으로 옹립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프랑스 제1공화국괴뢰국에 지나지 않았고 1807년 프랑스 제1제국에 병합되었다.

고대의 에트루리아와 같은 지역이라는 것 말고는 큰 연관성은 없다. 물론 정부차원에서나 민간차원에서나 계승의식이 드러난 적도 일절 없다.

9.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에트루리아어 𐌓𐌀𐌔𐌍𐌀
그리스어 Ετρουρία
라틴어 Etruria
이탈리아어 Etruria
영어 Etruria[10]

10. 기타


[1] 우횡서로 쓴다면 𐌀𐌍𐌔𐌀𐌓.[2] 위키백과에는 RASENNA(𐌀𐌍𐌍𐌄𐌔𐌀𐌓)로 나온다.[3] 대표적인 도시국가 벨즈나가 로마에 멸망. 일부 소도시들은 기원전 2세기까지 잔존.[4] 북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이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은 데다가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있는 이베리아 반도와 이탈리아 남부의 경우에는 중세 시기엔 아랍인의 직접적인 지배도 받았다. 그러다가 레콩키스타 등으로 아랍인은 쫓겨나거나 스페인인에 동화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지중해 연안의 중동 국가들은 라틴족과 역사적으로나 유전적으로 동질성이 짙어 흑발갈안이 많다.[5] 고대 로마는 남편-아버지가 한 가정을 지배하는 철저한 가부장제 사회였다. 고대 로마의 가정에서 남편-아버지는 아내와 아이들을 자기 마음대로 죽이거나 벌할 권한을 가졌고, 고대 로마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사냥 중에 자신의 아들을 죽인 아버지에 대해 "그가 아버지에게 주어진 정당한 권리로 아들을 죽인 것이니 무죄."라고 판결을 내리기도 했다. 출처: 어메이징 세계사/ 도현신 지음/ 서해문집/ 63쪽. 고대 로마라는 국가 자체가 건국부터 멸망까지 전쟁으로 점철돼있었고 로마의 상무정신은 유별날 정도였으므로 가부장적인게 사회풍조인 것은 당시엔 어쩌면 당연했을 것이다.[6] 현대의 밀라노.[7] 현대의 볼로냐.[8] 이 황제는 부계가문이 에트루리아계이지만, 모계는 그 유명한 클라우디우스 씨족 중 하나인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가이다.[9] 원래 토스카나의 지배자였던 페르디난도 3세는 보상 차원에서 잘츠부르크를 받았고, 뷔르츠부르크를 거쳐 나폴레옹 실각 이후 빈 회의를 통해 토스카나에 복귀했다.[10] 에트루리아인을 가리킬 때는 Etruscan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91 (이전 역사)
문서의 r3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