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3 06:44:27

아시아 쿼터제/KBO 리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시아 쿼터제

1. 개요2. 역사3. 규정4. 역대 아시아 쿼터5. 둘러보기


1. 개요

KBO 리그아시아 쿼터제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문서.

2. 역사

2024년 5월 23일, 문화일보의 보도에 의하면 KBO 리그 10구단 단장 워크숍에서 아시아 쿼터제 도입을 논의했다. 절묘하게도 워크숍 하루 전인 5월 22일에 SSG 랜더스로에니스 엘리아스의 대체 외국인 선수로 일본 야구 독립리그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도쿠시마 인디고삭스 소속 일본인 선수 시라카와 케이쇼와 단기 계약을 맺으며 아시아 쿼터제에 대한 효용성과 논의도 활발해졌다.# 다만 해당 제도를 리그에 본격적으로 도입할 경우 세부 논의를 거쳐야 한다고 한다.

제도 도입 시 대만 프로야구 리그는 물론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등 일본 독립리그 선수들이 아시아 쿼터제로 유입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대만 리그 선수보다 일본 독립리그 선수의 영입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일본 독립리그는 선수 최대 연봉이 고작 6000만 원 수준에 불과하기에 1억 원 이상은 쉽게 벌 수 있는 KBO 리그 진출이 생계에 도움이 되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만은 자국 선수들의 해외 진출에 장애물이 많은 탓에 선수를 쉽게 데려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1] 물론 대만도 실업리그가 있으니 실업리그 선수라면 가능은 한데, 수준을 생각해보면 쉽지는 않다.[2]

결론적으로 외국인 선수의 슬롯이 늘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아마추어 야구계에서는 반발이 터져나왔다. 유승안 한국리틀야구연맹 회장은 아마추어 야구와 어떠한 협의도 거치지 않은 아시아 쿼터 도입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반대로 김성근은 아시아 쿼터제를 찬성한다는 발언을 과거 SK와 한화 감독 시절에 한 적은 있다.#

2025년 1월 22일, KBO가 아시아 쿼터 제도 시행 결정을 발표했다. 2026년부터 적용되며, 아시아호주 국적 선수[3]를 대상으로 신규 영입 선수의 최대 비용은 최대 20만 달러(월 최대 2만 달러)로 제한, 재계약 시 해당 선수의 연봉은 매년 10만 달러씩 상향 가능하며 구단은 기존 외국인 선수 3명을 포함해 아시아 쿼터 제도 선수까지 총 4명을 보유할 수 있으며 이 선수들은 모두 한 경기에 출장이 가능하다.

각 팀마다 취약한 포지션을 아시아 쿼터로 저렴한 가격에 메울 수 있다는 것은 상당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가령 불펜이 불안한 팀이라면 외국인 투수 2명을 선발로, 아시아 쿼터 1명을 마무리나 셋업으로 돌리면서 시즌을 운용할 수도 있으며,[4] 유격수 자원이 모자란 팀은 외국인 타자 1명을 외야수, 아시아 쿼터 타자를 유격수로 영입하면 된다.[5]

다만 선발에 아시아 쿼터를 쓰게 될 경우 자연스럽게 외국인 3명, 한국인 2명으로 시즌을 운영하기에 토종 투수 육성이 더 안 되어 국제 경쟁력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비판도 있고, 이 때문에 선발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시키거나 이닝 제한을 둬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20만 달러로는 엄청난 선수가 오기 힘들고[6], 아시아 쿼터 때문에 선발 로테이션에서 밀려날 선수라면 애초에 억지로 자리 채우기용으로 쓰는 선수라 실질적인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아시아 쿼터 대상에 포함되는 호주 야구 리그에서 뛰던 라클란 웰스키움 히어로즈에 임시 대체로 와서 4~5선발급 활약을 하고 떠났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선 시즌 종료 후 재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일단 2025년 현재 10개 구단 중 가장 선발 투수진이 처참한 NC 다이노스는 시즌 중에 이미 대놓고 아시아 쿼터로 선발 투수를 데려올 것이라고 공언한 상황이다.[7]

올 가능성은 사실상 0%지만, 퉁이 라이온스린안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이히네 이츠아 같은 경우는 실질적으로 아시아 선수지만 아시아 쿼터 대상이 아니다. 린안커는 아르헨티나 이중국적이라 대만인임에도 불구하고 이중국적 문제가 걸리고[8], 이히네는 일본에서만 살아왔고 일본 야구에서도 내국인 자격으로 뛰지만 부모님이 모두 외국인(나이지리아)이라서 일본 국적 문제가 걸린다.[9]

한국과 같이 프로 야구 리그를 운영하는 일본과 대만에서도 아시아 쿼터제를 하지 않는 상황에서 한국이 이를 먼저 하는 것은 자칫 잘못하면 프로 무대에 진출하는 일본과 대만 출신 선수들에게 문을 열어주는 문제도 있으면서 국내 유소년 야구 선수들에게 프로에 들어가는 문을 좁힐 수 있다는 부작용도 있다. 더욱이 이러면 아시아 국가들간의 교류 활성화라는 강점을 못 살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럴 거면 차라리 외국인 선수 한도를 하나 늘리는 것이 나을 지경이다.

한국이 미국이나 일본처럼 외국인 선수를 확대하기가 어려운 것은 우선 미국과 일본처럼 마이너 리그가 크거나 독립 리그 및 실업 리그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서, 아시아 쿼터제를 하려면 일본처럼 독립 리그나 실업 야구를 활성화하는 대책이 필요하지만 문제는 여기에 따른 대책은 사실상 전무하고 무방비 상태로 아시아 쿼터제를 하는 것은 우려를 준다. 여기에 KBO와 구단들이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무국이나 구단들처럼 야구를 하지 않는 주변 아시아 국가에 야구를 보급하는 것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으면서 아시아 쿼터제를 하는 것은 현실과 맞지 않을 수 있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즉 야구의 아시아 쿼터제를 지금처럼 일본과 대만, 호주 외의 국가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야구를 하지 않는 아시아 국가에 야구를 보급하는 게 아시아 쿼터제에 가장 중요한 핵심 과제라고 봐도 된다.[10]

단 아시아 쿼터 자체가 돈을 많이 쓰기 힘들고[11] 풀이 제한[12]되기에 1선발급 투수는 절대 찾을 수 없고 대부분 불펜이나 5선발~대체선발급 투수, 혹은 타격을 그럭저럭 하는 야수를 데려오는 수준에 그치는데, 한국 선수들이라면 이들보다 충분히 나은 경쟁력을 보여줘야 한다며 찬성하는 팬들이 꽤 있다.

또한 아시아 쿼터제로 인해 범죄,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선수들의 한국 진출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는 의견이 적지 않은데, 2025년 제도 시행 이전 아시아 쿼터제 선수 풀로 거론된 선수들의 경우 전과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경우가 많다.[13] 그리고 제도의 취지 자체가 야구의 보급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나 완전 프로는 아니고 프로야구의 인기도가 떨어지는 지역 출신의 스타를 육성한다는 개념이 다소 있으나, 해당 선수를 대만 혹은 일본 독립리그에서 데려오게 된다면 이러한 취지가 퇴색되게 되며 사실상 연봉이 제한된 4번째 외국인 슬롯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크며 일본 사회인야구 기업팀의 경우 직업안정성을 포기하면서까지 KBO로 넘어올 가능성은 낮다.

선수협은 2025년 11월 10일 허구연 KBO 총재와 만나 아시아 쿼터제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호주 선수까지 포함하는 것은 기존 외국인 선수 제도와 다를 바 없으며 일본, 대만 선수로 범위를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

3. 규정

*아시아 쿼터 대상은 아시아야구연맹(BFA) 소속 국가 출신 선수 및 호주 국적 선수이다.
*각 구단은 기존 외국인선수 3명에 추가로 아시아쿼터 선수 1명을 보유할 수 있으며, 총 4명의 외국인 선수를 등록 가능하고 모두 한 경기에서 출전 가능하다.
*비아시아 국가 국적을 가진 이중국적 선수 영입은 불가능하다.
*영입 대상 선수는 직전 또는 해당 연도에 아시아리그 소속이었던 선수여야 한다.
*신규 영입 시 연봉과 계약금을 합산 총액을 최대 20만 달러로 제한한다.
*재계약의 경우 해당 선수 연봉은 매년 10만 달러씩 인상 가능하다.

4. 역대 아시아 쿼터

4.1. 2026년

2026 시즌
<rowcolor=#fff> 구단 이름 국적 포지션 계약 비고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라클란 웰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수 $200,000 신규 영입
LG 트윈스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왕옌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화 타이베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화 타이베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화 타이베이}}}{{{#!if 출력 != null
대만}}}}}}]]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대만}}}}}}]]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대만}}}}}}]]
투수 $100,000
한화 이글스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타케다 쇼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수 $200,000
SSG 랜더스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삼성 라이온즈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NC 다이노스
파일:kt wiz 엠블럼.svg 스기모토 코우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수 $120,000
kt wiz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롯데 자이언츠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KIA 타이거즈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두산 베어스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카나쿠보 유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투수
키움 히어로즈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아시아 쿼터제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아시아 쿼터제 선수는 KBO 리그에서 활동 중인 아시아 야구 연맹 소속 및 호주 국적의 야구선수를 뜻합니다.
아시아 쿼터제 외의 외국인 선수는 외국인 선수 틀 참조.
}}}}}}}}}

[1] 과거 판웨이룬의 사례처럼 FA 자격을 얻어 해외로 나갈 때도 해당 선수가 받는 연봉 액수의 2.5배를 원 소속 구단에 이적료로 지불하고 선수 본인에게는 연봉 액수의 1.5배 이상을 보상해줘야 하는 규정이 있다. 그래서 FA로는 해외 진출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3년을 채운 뒤 구단 동의 하에 포스팅 시스템으로 나가는 것이 사실상의 유일한 해외 진출 수단이다. 무엇보다 KBO와 CPBL의 선수 계약 협정이 1998년 7월 이후 단 한 번도 갱신되지 않을 정도로 내용이 부실해서 이것을 개정하지 않는 이상 문제가 생길 수 있다.[2] 다만 실업리그 에이스들은 일본 독립리그 에이스 정도는 되기 때문에 일본 독립리그 수준의 선수라면 찾을 수는 있다.[3] 단 비아시아 국가의 국적을 가진 이중국적 선수는 불가능하다.[4] 주요 영입처가 될 일본 독립리그는 평균 구속 자체는 KBO 리그 토종 에이스급이라 연투 문제를 제외하면 마무리 투수로 쓸 가능성이 크다. 당장 시라카와의 활약상만 봐도 셋업맨으로 기용한다면 어느 정도 이상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5] 피치컴이 더욱 발달하게 되면 수비 능력이 뛰어난 아시아 포수 영입이 가능할 수도 있다. 아울러 풋워크와 캐칭 등 기본기가 뛰어난 일본인 내야수들을 데려오는 것도 가능하다.[6] 20만 달러는 현재 환율로 대략 3억 원 정도인데, 이는 일본프로야구의 평균 연봉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 이 정도의 금액은 NPB 백업급도 쉽사리 한국행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은 금액이다. 일본인 선수가 온다면 시라카와처럼 독립리그 출신이거나 기업의 후원을 받는 사회인 야구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20대 초중반에 NPB 2군에만 주로 있다가 빠르게 방출되거나 1군 선수단의 등록 문제로 잠깐씩 콜업되다 등록 문제가 해결되고 다시 돌아가는 2군 출신 선수라면 연봉 천만 엔도 못 찍어봤을 가능성이 높아서, 2군 선수 중 눈여겨본 선수를 발탁하는 케이스는 그나마 현실성이 있다. 당장 2025년에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서 전력 외 통보를 받은 가나쿠보 유토가 내년에 실시되는 이 제도를 염두에 둔 것인지 한국에서 플레이하고 싶다는 말을 꺼냈다. 물론 이 경우 사회인야구 기업 팀과 또 스카우트 전쟁이 붙는데, 카나쿠보는 불륜 문제가 있던 선수라서 사생활을 무시한다면 그나마 스카웃하기는 쉬울 것이다. 당장 KBO도 나균안, 박영현, 장성우 등 사생활 문제가 있던 선수들도 징계만 받고 잘만 뛰고 있으니 더더욱. 카나쿠보는 최고로 연봉을 많이 받은 2022년에도 1200만 엔밖에 못 받았다.[7] 이쪽은 아시아 쿼터제 이전인 2018년에 아시아계 외국인 투수를 영입한 적이 있다.[8] 하필이면 아르헨티나 이중국적이라 국적 포기가 안 된다.[9] 다만 이런 선수들 상당수는 일본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쭉 살아왔다는 이유로 귀화 난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모이세프 니키타처럼 일본 국적을 취득한 사례도 있다.(모이세프 니키타의 경우 지명 당시에는 일본 귀화 전이었으나 2025년 기준 일본으로 국적을 변경했다고 한다.)[10] 물론 이론과 현실은 차이가 있으니 실제로 얼마나 성취를 이뤄낼 수 있을지는 별개의 문제다. 현재도 이만수 같은 원로 야구인들이 라오스 같은 야구 불모지에서 야구를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있긴 하지만, 리그 차원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기에는 재정적인 문제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 기존의 인기 종목들을 뚫고 야구가 이들 국가에 뿌리내릴 수 있을지도 예측이 불가능하다. 당장 메이저리그에서도 사무국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같은 대회나 MLB 월드 투어를 통해 야구의 인지도를 넓히려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고전하고 있는 것과 같다.[11] 계약 당시 20만 불밖에 쓰지 못한다. 그렇기에 그보다 더 많이 받는 선수를 데려오는 건 힘들기에 NPB 1군급 선수는 그 선수에게 엄청난 단점이 있는 게 아닌 이상 데려올 수 없다.[12] 아시아, 오세아니아 국적을 가진 선수들로만 선발 가능하다. 사용 가능한 돈까지 생각하면 영입 가능한 선수들은 호주 리그와 일본 독립 리그 수준이다.[13] 이렇게 거론된 선수들은 실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다. 물의를 일으키지 않았다면 절대 20만 달러에 데려올수 없는 선수들이다. K리그의 경우 미치부치 료헤이가 과거 데이트 폭력 전과로 인하여 거센 비판을 받았으며 팬들에게 응원 보이콧을 당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