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14:03:34

스기모토 코우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kt wiz
2026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 고영표 · 12 우규민 · 14 임준형 · 15 성재헌
· 16 최동환 · 17 이채호 · 18 문용익 · 19 배제성
· 20 김태오 · 21 이정현 · 26 김민수 · 29 전용주
· 30 소형준 · 32 패트릭 · 37 이상동 · 38 주권
· 39 지명성 · 40 김동현 · 41 손동현 · 43 김재원
· 45 이태규 · 46 박건우 · 47 오원석 · 48 이상우
· 49 이현민 · 54 조이현 · 59 한차현 · 60 박영현
· 61 이선우 · 63 원상현 · 65 헤이수스 · 66 이종혁
· 90 이승언 · 92 최용준 · 93 한지웅 · 94 우종휘
· 95 이준명 · 98 김주완 · 99 강건 · 101 유호식
· 102 박준혁 · 107 윤상인 · 110 장민호 · 111 정운교
· 112 서영준 · 115 권성준 · 116 정정우 · # 박지훈
· # 고준혁 · # 정현우 · # 이민준 · # 김휘연
· # 사우어 · # 스기모토
최종 편집: 2025년 11월 13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kt wiz 등번호 번
스기모토
(2026~)
현역
파일:杉本幸基.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kt wiz No.
스기모토 코우키
杉本幸基 | Sugimoto Koki
출생 2000년 5월 19일 ([age(2000-05-19)]세)
이시카와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오가키니혼대학부속고등학교 - 니혼대학
신체 182cm, 90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26년 KBO 아시아 쿼터 외국인 선수 계약 (kt)
소속팀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2023~2025)
kt wiz (2026~)
계약 1yr / $120,000[1]
연봉 2026 / $90,000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고교 시절2.2. 도쿠시마 인디고삭스2.3. kt wiz
2.3.1. 2026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kt wiz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고교 시절

일본 기후현의 명문 고교인 오가키니혼대학부속고교에 진학해 야구부 선수로 활동했다. 고3 시절 여름 고시엔에 출전해 1차전은 승리했으나, 2차전에는 당시 선풍을 일으키고 있던 요시다 코세이의 가나아시 농고에게 8회 역전홈런 포함 3실점하며 패전투수가 되면서 고교 시절을 마무리했다.

2.2.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2022년 일본프로야구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하면서 아쉽게도 일본 프로 입단은 이루지 못했고, 니혼대학을 졸업한 뒤 일본 독립리그인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도쿠시마 인디고삭스에 2023년 입단하였다.

2025 시즌에는 42G 62이닝 5승 3패 53K 16볼넷 ERA 3.05 K/9 7.69를 기록했으며, 특히 16볼넷은 규정이닝을 충족한 리그 투수 중 최소 1위 기록이다.

2.3. kt wiz

파일:스기모토 코우키.jpg
파일:ktinsta_kokli.jpg

2025년 11월 13일, kt wiz가 연봉 9만 달러, 인센티브 3만 달러 등 총액 12만 달러에 계약했음을 발표하였다. KBO 역대 8호 일본인 선수이자 아시아 쿼터 및 kt 역사상 최초의 일본인 선수다.

나도현 kt 단장은 "스기모토는 최고 구속 시속 154km의 빠른 공을 던지고 슬라이더, 포크볼 등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는 투수"라며 "일본 독립리그에서 선발과 불펜으로 활약하며 안정적인 경기 운영 능력을 보여준 만큼 KBO 리그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했다"라며 영입 이유를 밝혔다.

2.3.1. 2026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최고 154km/h의 포심을 던지며 그 외의 구종으로는 슬라이더, 커터, 커브, 스플리터를 던진다.

또한 전 구종 스트라이크 비율 60% 이상을 기록할 만큼 제구력이 강점인 투수이다.

4. 여담

  • KBO 아시아 쿼터를 통해 처음으로 프로 입성을 이룬 선수다. 아시아 쿼터 1호 선수인 왕옌청은 비록 2군이긴 하지만 엄연히 프로 구단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 KBO 역대 8호 일본인 선수이며[2], 2024년 SSG-두산에서 활약한 시라카와 케이쇼 이후 2년 만에 KBO에 진출한 일본인 선수이다. 도쿠시마 인디고삭스 출신인 점, KBO 진출을 통해 프로 데뷔에 성공한 점 또한 시라카와와 같다. 등번호도 서로 붙어 있었다.[3]
  • LE SSERAFIM이라고 한다. 인스타그램의 아이디도 허윤진의 아이디(jenaissante)와 비슷한 jenaissuginte이다.
  • 불꽃야구 미공개 영상 오모시로이한 핏챠를 찾아서에 출연한 바 있다.[4] 당시 투수 스카우팅 차 일본에 갔던 김성근 감독이 볼끝이 좋다며 마음에 들어했으나, 리그 스케줄을 비롯한 현실적인 이유로 합류는 하지 못했다. 당시에도 KBO 무대에 관심이 있다는 사실이 스카우트를 통해 밝혀졌고, LE SSERAFIM을 좋아한다고 어필하기도 했으며 미혼이라고 한다. 비록 이 당시 불꽃야구에는 합류하지 못했지만 이후 kt에 입단하며 불꽃야구 출신인 임상우와 한솥밥을 먹게 되는 기묘한 인연이 생겼다.
  • 계약 당시 사진이 LG 트윈스신민재와 닮았다는 평을 많이 들었다. 신민재의 일본인상 기믹 때문에 별명은 콱민재, 황국신민재로 확정된 분위기.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아시아 쿼터제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아시아 쿼터제 선수는 KBO 리그에서 활동 중인 아시아 야구 연맹 소속 및 호주 국적의 야구선수를 뜻합니다.
아시아 쿼터제 외의 외국인 선수는 외국인 선수 틀 참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kt wiz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마이크 파일:미국 국기.svg
시스코 파일:미국 국기.svg
어윈(2) 파일:미국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시스코(2) 파일:미국 국기.svg
댄블랙(3)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마르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와트 파일:미국 국기.svg
피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피어밴드(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몬(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로위(3) 파일:미국 국기.svg
로치 파일:미국 국기.svg
모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3)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어밴드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알몬테(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잉(3) 파일:미국 국기.svg
데스파이네 파일:쿠바 국기.svg
쿠에바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3)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알포드(3) 파일:미국 국기.svg
슐서(2)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 파일:미국 국기.svg
알포드 파일:미국 국기.svg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쿠에바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벤자민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쿠에바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패트릭(3) 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수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하스(2)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슨(3) 파일:미국 국기.svg
사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스기모토(4) 파일:일본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아시아쿼터제 대상 선수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1] 연봉 $90,000 / 인센티브 $30,000[2] 아시아 쿼터 선수의 일본인으로는 최초며, 이전 일본인 선수들은 아시아 쿼터제 이전에 뛴 선수들이다.[3] 도쿠시마에서 스기모토는 18번, 시라카와는 19번을 사용했다.[4] 영상에서는 성과 이름의 순서가 바뀌고 이름의 장음 표기가 빠진 코키 스기모토로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