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000 | 중세 신학 | 근세 및 근대 신학 | 현대 신학 |
<colcolor=#fff> 이단설 | <colbgcolor=#fff>영지주의 · 마르키온주의 · 몬타누스주의 · 마니교 · 아리우스주의 · 펠라기우스주의 | ||
안티오키아 학파 | 이그나티우스 · 네스토리오스 · 요한 크리소스토모 | ||
알렉산드리아 학파 | 클레멘스 · 오리게네스 · 아타나시오 · 키릴로스(알렉산드리아) | ||
아프리카 교부 | 테르툴리아누스 ·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 키프리아누스 · 락탄티우스 · 제노 | ||
라틴 교부 | 암브로시우스 · 보에티우스 · 히에로니무스 · 이시도르 | ||
비잔티움 교부 | 그레고리오스(나지안조스) · 바실레이오스 · 그레고리오스(니사) | ||
사막 교부 | 안토니우스 · 파코미우스 | ||
아시아 교부 | 에프렘 · 키릴로스(예루살렘) · 요한 | ||
아우구스티누스 | |||
신플라톤-신비주의 | 위 디오니시우스 · 프셀로스 · 피치노 · 뵈메 | ||
유대·이슬람 신학 | |||
수니파 사변신학(칼람) | 무타질라 학파 · 아슈아리 학파 · 마투리디 학파 | ||
이슬람 신플라톤주의 | 알 킨디 · 알 파라비 · 이븐 시나 · 이븐 투파일 | ||
이슬람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이븐 루시드 · 이븐 바자 | ||
이슬람-유대 반사변신학 | 알가잘리 · 유다 하레위 | ||
이슬람-페르시아 신비주의 | 수흐와르디 · 물라 사드라 | ||
이슬람 인문주의 | 아부 하이얀 알 타위디 · 아부 술레이만 시지스타니 | ||
유대 사변신학 | 사디아 가온 · 다윗 이븐 메르완 알 무카마스 | ||
유대 신플라톤주의 | 이븐 가비롤 · 바히야 이븐 파쿠다 | ||
유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 아브라함 이븐 다우드 · 마이모니데스 · 야콥 아나톨리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모세 벤 여호수아 · 엘리야 델 메디고 · 레위 벤 게르숀 | ||
스콜라 신학 | |||
카롤링거 르네상스 | 알퀸 · 피사의 페트로스 · 칸디두스 | ||
아벨라르 · 란프랑쿠스 · 에리우게나 · 롬바르두스 · 라드베르투스 | |||
초기 베네딕토 학파 | 루푸스 세르베투스 · 오세르의 레미기우스 · 오세르의 아이모 | ||
초기 가톨릭 신비주의 | 생 빅토르의 위그 · 베르나르도 · 프란치스코 · 힐데가르드 | ||
안셀무스 | |||
스콜라 자연신학 | 바스의 아델라르 | ||
보편논쟁 | 실재론 · 온건 실재론 · 유명론 | ||
초기 프란치스코 학파 | 헤일스의 알렉산더 · 보나벤투라 · 로저 베이컨 | ||
유대 아베이로스주의 | 아브라함 바르히야 | ||
세비야 번역학파 | 크레모나의 제라르 · 세비야의 요한 | ||
도미니코 학파 | 대 알베르투스 · 뫼르베케의 빌럼 | ||
토마스 아퀴나스 | |||
후기 프란치스코 학파 | 스코투스 · 페트루스 아우레올리 · 오컴 | ||
가브리엘 빌 | |||
후기 자연신학 | 작센의 알베르트 · 장 뷔리당 · 오트레쿠르의 니콜라스 | ||
저지대 신비주의 | 하더윅스 · 마그데부르크의 마흐틸드 | ||
독일 신비주의 | 에크하르트 · 요하네스 타울러 · 하인리히 수소 · 뤼스브로크의 요한 | ||
영국 신비주의 | 리처드 롤 · 월터 힐튼 · 노리치의 줄리안 | ||
근대 아우구스티누스 학파 | 토마스 브래드워딘 | }}}}}}}}}}}} |
이름 |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 (라틴어: Sextus Julius Africanus)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직위 | 신학자, 역사가 |
1. 개요
로마 제국 2~3세기의 기독교 신학자, 역사가.2. 행적
10세기 동로마 제국의 백과사전 <수다(Suda)>는 그를 "리비아 철학자"라고 명시했다. 그는 자신을 예루살렘 출신이라고 주장했으며, 실제로 그의 연대기에는 유대의 지형을 상당히 정확하게 밝히고 있다. 그의 전반적인 생애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를 알고 있었으며, 한때 이교도였고 군인으로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195년 동방 원정에 참여했고 에데사 왕 아브가르 8세의 궁정에서 복무하다가 기독교로 개종한 뒤 퇴역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또한 오리게네스에게 보낸 서신에서는 오리게네스를 "내 아들"이라고 지칭했는데, 이로 볼 때 오리게네스(185년경 출생)보다 나이가 훨씬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그는 팔레스타인의 니코폴리스 시민들의 대표인 에마우스를 엘라가발루스 황제에게 인도했다고 한다. 그리고 4세기경의 시리아어 문헌에서는 그를 니코폴리스의 주교라고 지칭했지만, 이전의 기록에서는 그가 주교였다는 걸 암시하는 대목이 없기 때문에 신빙성이 의심된다. 에우세비우스에 따르면, 그는 알렉산드리아 주교 헤라클레스의 명성에 이끌려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그곳에서 지내며 기독교를 연구했다고 한다. 이외의 행적은 알려진 바 없다.
3. 저서
아프리카누스는 5권으로 구성된 기독교 연대기인 <크로노그라피아이(Chronographiai)>를 집필했다. 이 저서는 천지창조에서 서기 221년까지의 기간을 다뤘다. 그는 천지창조에서 성모 마리아의 임신 사이의 기간을 5500년으로 계산했으며, 예수의 출산을 기원전 1년 3월 25일로 설정했다. 오늘날에는 원본이 전해지지 않으나, 에우세비우스가 아브라함에서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의 로마 제국 통합까지의 연대기를 집필할 때 그의 저서를 상당히 인용했으며, 게오르기오스 싱켈로스, 케드레노스, 7세기의 동로마 제국 연대기인 '크로니콘 파스칼레(Chronicon Paschale)'에서도 아프리카누스의 연대기 단편들이 실렸다. 에우세비우스는 그를 가리켜 기독교의 역사 탐구에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칭했다.한편, 그가 오리게네스, 아리스티데스와 주고받은 서신도 전해진다. 오리게네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다니엘 13장에 기록된 '수산나 이야기'가 본래부터 기술된 이야기임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반면, 오리게네스는 상당히 장황한 답장을 통해 수산나 이야기는 원래 없었다가 후대에 첨가된 게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리스티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예수의 족보에 관해 논했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농업, 자연 과학 및 군사 전술 등을 다룬 백과사전 케스토이(Κεστοί)를 집필했다고 한다. 이 백과사전의 단편은 옥시린코스(Oxyrhynchus) 파피루스에서 발견되었는데, 거기에는 농업, 전례학, 전술 및 의학(수의학 포함)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학계에서는 기독교 신자였던 그가 이런 세속적인 책을 편찬한 게 맞는지에 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그가 기독교에 개종하기 전에 이 책을 집필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