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 ||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
단체 |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 |
동계 올림픽 | 개인 |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
단체 | 아이스하키 (남·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
* 대회명에 세계 선수권 대회(World Championships)가 포함된 경우 기재. |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World Badminton Championships | |
창설 | <colbgcolor=#fff,#111> 1977년 |
개최 주기 | 매년 |
개최 횟수 | 28회 |
종목 | 5종목 |
최근 대회 | 2023 코펜하겐 |
최근 우승 | 대한민국 (금 3/은 0/동 1) |
최고 성적 | 중국 (금 67/은 47/동 47) |
주관 | 국제배드민턴협회 BWF |
[clearfix]
1. 개요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는 세계배드민턴협회(BWF)에서 개최하는 배드민턴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1977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종목으로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5 종목이 있다. 단식 및 복식 경기가 열리는 세계배드민턴선수권대회와 별개로 국가 대항 단체전의 세계선수권대회는 따로 있는데, 남자의 경우 토마스 컵, 여자의 경우 우버 컵, 혼성의 경우 수디르만 컵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2. 역대 대회
<rowcolor=#ffffff> 회기 | 연도 | 개최지 |
1 | 1977 | 스웨덴 말뫼 |
2 | 1980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3 | 1983 | 덴마크 코펜하겐 |
4 | 1985 | 캐나다 캘거리 |
5 | 1987 | 중국 베이징 |
6 | 1989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7 | 1991 | 덴마크 코펜하겐 |
8 | 1993 | 잉글랜드 버밍엄 |
9 | 1995 | 스위스 로잔 |
10 | 1997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11 | 1999 | 덴마크 코펜하겐 |
12 | 2001 | 스페인 세비야 |
13 | 2003 | 잉글랜드 버밍엄 |
14 | 2005 | 미국 애너하임 |
15 | 2006 | 스페인 마드리드 |
16 | 2007 |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
17 | 2009 | 인도 하이데바라드 |
18 | 2010 | 프랑스 파리 |
19 | 2011 | 잉글랜드 런던 |
20 | 2013 | 중국 광저우 |
21 | 2014 | 덴마크 코펜하겐 |
22 | 2015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23 | 2017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24 | 2018 | 중국 난징 |
25 | 2019 | 스위스 바젤 |
26 | 2021 | 스페인 우엘바 |
27 | 2022 | 일본 도쿄 |
28 | 2023 | 덴마크 코펜하겐 |
29 | 2025 | 프랑스 파리 |
30 | 2026 | 인도 |
3. 역대 메달
2022 기준 역대 메달 순위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중국 | 69 | 48 | 79 | 196 |
2 | 인도네시아 | 23 | 19 | 37 | 79 |
3 | 덴마크 | 11.5[1] | 14 | 40 | 65.5 |
4 | 대한민국 | 10 | 15 | 32 | 57 |
5 | 일본 | 9 | 8 | 19 | 36 |
6 | 스페인 | 3 | 0 | 0 | 3 |
7 | 잉글랜드 | 2.5 | 8.5 | 13 | 24 |
8 | 태국 | 2 | 2 | 5 | 9 |
9 | 말레이시아 | 1 | 8 | 13 | 22 |
10 | 인도 | 1 | 4 | 8 | 13 |
11 | 스웨덴 | 1 | 2 | 5 | 8 |
12 | 싱가포르 | 1 | 0 | 0 | 1 |
미국 | 1 | 0 | 0 | 1 | |
14 | 대만 | 0 | 3 | 6 | 9 |
15 | 홍콩 | 0 | 1 | 3 | 4 |
16 | 네덜란드 | 0 | 1 | 1 | 2 |
17 | 스코틀랜드 | 0 | 0.5 | 1 | 1.5 |
18 | 독일 | 0 | 0 | 5 | 5 |
19 | 프랑스 | 0 | 0 | 1 | 1 |
뉴질랜드 | 0 | 0 | 1 | 1 | |
베트남 | 0 | 0 | 1 | 1 |
4. 역대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4.1. 남자 단식
1995년 로잔 - 박성우(은메달)2003년 버밍엄 - 손승모(동메달)
2006년 마드리드 - 이현일(동메달)
2010년 파리 - 박성환(동메달)
2017년 글래스고 - 손완호(동메달)
4.2. 여자 단식
1991년 코펜하겐 - 이흥순(동메달)1993년 버밍엄 - 방수현(은메달)
1995년 로잔 - 방수현(동메달)
2013년 광저우 - 배연주(동메달)
2015년 자카르타 - 성지현(동메달)
2022년 도쿄 - 안세영(동메달)
2023년 코펜하겐 - 안세영(금메달)
4.3. 남자 복식
1983년 코펜하겐 - 박주봉/이은구(동메달)1985년 캘거리 - 박주봉/김문수(금메달)
1987년 베이징 - 박주봉/김문수(동메달)
1991년 코펜하겐 - 박주봉/김문수(금메달)
1995년 로잔 - 김동문/유용성(동메달)
1997년 글래스고 - 이동수/유용성(동메달)
1999년 코펜하겐 - 하태권/김동문(금메달), 이동수/유용성(은메달)
2001년 세비야 - 하태권/김동문(은메달)
2007년 콸라룸푸르 - 정재성/이용대(은메달)
2009년 하이데라바드 - 정재성/이용대(은메달)
2011년 런던 - 고성현/유연성(은메달), 정재성/이용대(동메달)
2013년 광저우 - 김기정/김사랑(동메달)
2014년 코펜하겐 - 고성현/신백철(금메달), 이용대/유연성(은메달), 김기정/김사랑(동메달)
2015년 자카르타 - 이용대/유연성(동메달)
2023년 코펜하겐 - 강민혁/서승재(금메달)
4.4. 여자 복식
1985년 캘거리 - 김연자/유상희(동메달), 강행숙/황선애(동메달)1987년 베이징 - 김연자/정소영(동메달), 정명희/황혜영(동메달)
1989년 자카르타 - 정명희/황혜영(은메달)
1991년 코펜하겐 - 심은정/길영아(동메달), 황혜영/정소영(동메달)
1993년 버밍엄 - 정소영/길영아(동메달)
1995년 로잔 - 길영아/장혜옥(금메달)
1999년 코펜하겐 - 라경민/정재희(은메달)
2001년 세비야 - 라경민/이경원(동메달)
2005년 애너하임 - 이효정/이경원(동메달)
2013년 광저우 - 엄혜원/장예나(은메달)
2014년 코펜하겐 - 이소희/신승찬(동메달)
2021년 우엘바 - 이소희/신승찬(은메달), 김소영/공희용(동메달)
2022년 도쿄 - 김소영/공희용(은메달)
2023년 코펜하겐 - 김소영/공희용(동메달)
4.5. 혼합 복식
1985년 캘거리 - 박주봉/유상희(금메달)1987년 베이징 - 이덕춘/정명희(은메달)
1989년 자카르타 - 박주봉/정명희(금메달)
1991년 코펜하겐 - 박주봉/정명희(금메달), 강경진/심은정(동메달)
1999년 코펜하겐 - 김동문/라경민(금메달)
2001년 세비야 - 김동문/라경민(은메달)
2003년 버밍엄 - 김동문/라경민(금메달)
2009년 하이데라바드 - 이용대/이효정(동메달)
2010년 파리 - 고성현/하정은(동메달)
2013년 - 신백철/엄혜원(동메달)
2023년 코펜하겐 - 서승재/채유정(금메달)
[1] 0.5개 메달은 다른 나라 선수와 함께 출전한 복식 경기에서 획득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