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20:08:00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벨토치카 칠드런

벨토치카 칠드런에서 넘어옴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 작품
[ 펼치기 · 접기 ]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TV 애니메이션 ||
파일:바다의 트리톤 로고.png 파일:용자 라이딘 로고.png 파일:라 세느의 별.jpg
바다의 트리톤
(1972)
용자 라이딘1~26화
(1975~1976)
라 세느의 별27~39화
(1975)
파일:무적초인 점보트 로고.png 파일:무적강인 다이탄3 로고.png 파일:건담0079.png
무적초인 점보트 3
(1977~1978)
무적강인 다이탄3
(1978~1979)
기동전사 건담
(1979~1980)
파일:전설거신 이데온 로고.png 파일:전투메카 자붕글 로고.svg 파일:성전사 단바인 로고.png
전설거신 이데온
(1980~1981)
전투메카 자붕글
(1982~1983)
성전사 단바인
(1983~1984)
파일:중전기 엘가임 로고.png 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중전기 엘가임
(1984~1985)
기동전사 Z 건담
(1985~1986)
기동전사 건담 ZZ
(1986~1987)
파일:기동전사 V 건담 로고.png 파일:브레인 파워드 로고.png 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V 건담
(1993~1994)
브레인 파워드
(1998)
∀ 건담
(1999~2000)
파일:오버맨 킹게이너 로고.png 파일:G-Reco-logo.png
오버맨 킹게이너
(2002~2003)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2015)
극장 장편 애니메이션
파일:퍼스트 건담 극장판 로고.png 파일:이데온 접촉편.png 파일:이데온 발동편.png
기동전사 건담 극장판
(1981~1982)
THE IDEON 접촉편
(1982)
THE IDEON 발동편
(1982)
파일:자붕글 그래피티 로고.png 파일: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로고.png 파일:Gundam_F91_Logo.png
극장판 자붕글 그래피티
(1983)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1988)
기동전사 건담 F91
(1991)
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파일:기동전사 Z 건담 신역 로고.jpg 파일:G-Reco-logo.png
극장판 ∀ 건담 지구광 / 월광접
(2002)
기동전사 Z 건담 A New Translation
(2005~2006)
극장판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9~2022)
단편 애니메이션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린의 날개 로고.pn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바이스톤 웰 이야기 가제이의 날개
(1996~1997)
린의 날개
(2005~2006)
링 오브 건담
(2009)
소설
파일:q142876973.1.jpg 파일:가이아기어 로고.jpg 파일:attachment/벨토치카 칠드런/벨토치카.jpg
린의 날개
(1983~1986)
가이아 기어
(1987~1991)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벨토치카 칠드런
(1988)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1989~1990)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43951><tablebgcolor=#243951> 파일:건담0079.png[[우주세기|{{{#!wiki style="letter-spacing: -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0.9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color=#fff><colbgcolor=#243951> 전기 우주세기 1년전쟁 이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평행세계
<nopad>파일:콜로니 땅_로고.webp
기동전사 건담 외전 콜로니가 떨어진 땅에서
외전
1년전쟁 <nopad>파일:건담0079.png
기동전사 건담
파일:기동전사 건담: MS IGLOO 1년 전쟁 비록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

1부 OVA Vol.1 · Vol.2 · 2부 OVA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쿠쿠르스 도안의 섬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쿠쿠루스 도안의 섬
평행세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로고 검정.png
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1년전쟁 말 - 전후 <nopad>파일:MSV-R_Johnny_Logo.png
기동전사 건담 MSV-R외전
죠니 라이덴의 귀환 · 마츠나가
<nopad>파일:기렌 암살 계획 로고.png
기렌 암살 계획
외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속의 전쟁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nopad>파일:CDA 로고.webp
기동전사 건담 젊은 혜성의 초상
평행세계
<nopad>파일:Gundam Thunderbolt Logo black.png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평행세계
디셈버 스카이 · 밴디트 플라워
전간기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지온의 잔광 · 우주의 하루살이 · 리벨리온
<nopad>파일:기동전사 Gundam GQuuuuuuX 로고(블랙).svg
기동전사 건담 지쿠악스
평행세계
비기닝
그리프스 전역 <nopad>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기동전사 Z 건담
<nopad>파일:기동전사 Z 건담 신역 로고.jpg
기동전사 Z 건담 A New Translation
평행세계
<nopad>Advance of Zeta외전
시간에 저항하는 자 · 인레²
제1차 네오지온 항쟁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ZZ
제1차 네오지온 항쟁 전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발푸르기스 로고.jpg
기동전사 건담 발푸르기스
외전
<nopad>파일:기동전사 문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MOON 건담
제2차 네오지온 항쟁~전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벨토치카 칠드런 · 하이스트리머평행세계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퓰리처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퓰리처
외전
기동전사 건담 U.C.0094 어크로스 더 스카이외전
라플라스 사변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UC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UC

OVA · RE: 0096
<nopad> 파일:기동전사 건담 복수의 레퀴엠 로고.webp
기동전사 건담: 은회의 환영
기동전사 건담 U.C.0096 라스트 선외전
액시즈 조사 <nopad>파일: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애니메이션
불사조 사냥 파일:기동전사 건담 내러티브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NT
마프티 동란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극장판 1부 · 2부 · 3부
후기 우주세기 코스모 바빌로니아 건국전쟁 <nopad>파일:건담 F90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F90

패스티스트 포뮬러 · 클러스터
파일:기동전사 건담 F91 로고(흰색 테두리).png
기동전사 건담 F91

포뮬러 전기 0122
목성 전쟁 파일:Crossbone_Gundam_logo.png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강철의 7인 · 고스트 · DUST · 제로이버외전³
잔스칼 전쟁 파일:기동전사 V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V 건담
¹
잔스칼 전쟁 이후 <nopad>파일:가이아기어 로고.jpg
가이아 기어
평행세계
<nopad>G-Saviour평행세계
<nopad> 우주세기 이후 리길드 센추리파일:G-Reco-logo.png
건담 G의 레콘기스타
정력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 건담
※ 평행세계: 첫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의 정식 시계열에서 벗어나 완전히 독립된 역사를 갖는 평행세계 작품.
※ 외전: 첫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의 정식 시계열에서 이어지는 걸 전제로 그려진 외전 작품.
같은 세계선을 공유하는 걸 전제로 그려지지만 정규 시리즈로는 카운트되지 않는다.
단, 등장 설정들은 오피셜 설정집(건담 MS 바이블 등)에 반영되기 때문에, 완전 비정사는 아니며, 작품의 설정이 어느 정도는 인정되는 준정사로 취급된다.

¹ 대체로 우주세기에서 가장 나중에 일어난 일을 그린 작품은 V건담으로 봄.
² 인레 검은 토끼가 꾼 꿈은 제1차 네오지온 항쟁 이후와 잔스칼 전쟁 이후를 다룬다.
³ 기동전사 건담 크로스본 건담 시리즈 중 DUST와 제로이버는 잔스칼 전쟁 이후를 다룬다.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벨토치카 칠드런
파일:attachment/벨토치카 칠드런/벨토치카.jpg
파일:일본 국기.svg 機動戦士ガンダム 逆襲のシャア ベルトーチカ・チルドレン
파일:미국 국기.svg Mobile Suit Gundam Char's Counterattack Beltorchika's Children
<colbgcolor=#bdbdbd><colcolor=black> 장르 로봇물(리얼로봇물)
소설
<colbgcolor=#d8d8d8><colcolor=black> 원작 야다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작가 토미노 요시유키
번역 김명희
출판 KADOKAWA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1권 (1988. 02. 22.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권 (2010. 06. 20. 完)
코믹스
원작 야다테 하지메
토미노 요시유키
작가 시바시 우로아키
그림 시바시 우로아키
야나세 타카유키
이즈부치 유타카
번역 김정규
출판 KADOKAWA
연재지 파일:일본 국기.svg 건담 에이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K 커뮤니케이션즈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 7권 (2018. 09. 26. 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권 (2015. 08. 12. ~)
1. 개요2. 출간 배경3. 코믹스판4. 오디오 드라마5. 슈퍼로봇대전6.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7. 〈역습의 샤아〉와의 차이점8. 등장인물9. 등장 기체

1. 개요

토미노 요시유키가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제작 당시 기획했던 원안으로 집필한 SF 소설. 역습의 샤아 개봉 후 1988년 2월 카도카와에서 출간 됐다.

2. 출간 배경

"〈역습의 샤아〉를 만드는 데 있어, 우선 생각한 점이 이 작품은 〈Z 건담〉과〈건담 ZZ〉의 연장선상에 있는 이야기라는 점이었다. 그 결과 아무로 옆에는 벨토치카가 있다는 것이 지극히 당연하게 떠오르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그 기획 단계 스토리를 읽은 어느 스태프의 "결혼(또는 동거)한 아무로 따위 보고 싶지 않아요."라는 발언에는 과연 납득할 수밖에 없었다. 즉 이 생각은 극장에서 벨토치카를 본 팬들이 갖게 될 생각 그 자체라는 점이었다. 게다가 이 작품이 로봇 애니메이션인 한, 로봇이 활약하는 이야기여야만 했다. 그런데 그녀가 있으면 인간들의 파워가 너무 강해져서 MS 같은 건 없어도 되는 이야기가 되어버릴 수도 있었다.''

결국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벨토치카가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그 대신 등장한 것이 아무로의 새로운 연인인 첸 아기였다.

그러나 벨토치카가 등장하는 이 이야기는 토미노 감독으로서는 버리기 아까운 것이었는지 (전반부는 추가되는 내용 등으로 좀 다르지만) 영화와 같은 내용인 것(《하이스트리머》)과 그녀가 등장하는 것(《벨토치카 칠드런》)의 두 편의 소설을 집필했다.
(후략)
코단샤 테레비매거진 특별편집《기동전사 건담 대전집》(1991), 126~127 페이지

〈역습의 샤아〉 초기안에서는 벨토치카가 등장했지만#, 한 스태프의 반대 의견 때문에 벨토치카를 첸 아기로 대체했고, 시나리오가 완성된 다음에 버리기 아까웠던 설정을 살려서 다시 쓴 것이《벨토치카 칠드런》이다. [1] 후속작으로는《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가 있다.

한국에선 에이케이 커뮤니케이션즈에서 정가 8,000원에 발매했다.

3. 코믹스판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K092433145_f.jpg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S162535221_f.jp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81YCNl-06rL.jpg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81ZaYaQ0QSL.jpg
<rowcolor=white> 1권 2권 3권 4권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1월 2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8월 1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05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10월 1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1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2016년 08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A1rLDrTYHDL.jpg 파일:1616ecc46d34aa746.jpg 파일:91z1FKllJLL.jpg
<rowcolor=white> 5권 6권 7권 (完)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3월 25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02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파일:일본 국기.svg 2018년 9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2014년 5월에《벨토치카 칠드런》의 코믹스화가 발표되었고 [2]건담 에이스》에서 연재했다.

한국에서는 소설과 마찬가지로 에이케이 커뮤니케이션즈에서 발매했으나 2권까지만 발매하고 끊겼다. 그리고 정발 코믹스 번역 상태가 살짝 미묘한데, 기존 소설판 번역과 인물명 등이 통일되지 않은 경우가 보이고(EX: 글라브 거스/글레이브 거스) ν(뉴)건담의 라틴 알파벳을 υ(입실론)으로 써놓았다.

2022년 여름부터 북미에서도 출시한다.#

4. 오디오 드라마

파일:Mobile Suit Gundam Char's Counterattack, Beltorchika Children CD Reprint - Imgur.jpg

1989년 11월에 카도카와 카세트북 36권으로 발매되었다. 일부 대사의 추가 및 변경됐고 아무로와 벨토치카 사이의 태중 아이에게도 일부 대사가 주어져 있어서 원작과 살짝 내용이 다르다. #. 꾸준히 현대 플랫폼으로 리마스터링 요구가 있어오다가 《섬광의 하사웨이》애니화에 편승하여 2021년 8월엔 드라마 CD로 복각되었다.[3]

5. 슈퍼로봇대전

<슈퍼로봇대전 α 외전>에서 처음으로 등장했으며, α 시리즈가 진행되던 시기에 숨겨진 기체로 하이뉴 건담[4]과 나이팅게일[5]이 판권 표기 없이 등장했던 적이 있었고 <슈퍼로봇대전 W> 이후로 MSV 기체들의 슈로대 등장이 끊기면서 나오지 않다가 <슈퍼로봇대전 X>와 <슈퍼로봇대전 T>에서 오랜만에 정식으로 판권을 표기해 등장했다. 다만 이것은 《벨토치카 칠드런》명의로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선 MSV 기체들의 참전은 아니다.

<슈퍼로봇대전 30>에서는 DLC로 하이뉴 건담만 단독으로 참전했다. 그동안 숨겨진 기체나 문제없이 참전한 작품이 DLC로 나와서 노골적인 상술이라고 까이고, 기체 연출도 좋은 편이나 로딩 문제까지 있어서 비판을 크게 받는다.

T에서만《벨토치카 칠드런》스토리를 약간 반영했고, 그 외 작품에서는 기체만 등장하거나 벨토치카와 첸의 신경전을 크로스오버로 묘사하는 정도다.

6.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SD건담 G제네레이션 ZERO부터 CCA-MSV 명의로 참전하고, 톰 크리에이트의 정통파 계열에서 개근했다.

《벨토치카 칠드런》명의가 아니라서 스토리 재현은 없지만 SD건담 G제네레이션 WARS에서 스토리 일부가 재현되었다.

7. 〈역습의 샤아〉와의 차이점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벨토치카와 아무로가 헤어지지 않고 오히려 결혼식을 올린 아내로 등장한다. 규네이 거스는 글러브 거스로, 나나이 미겔은 메스타 메스아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첸 아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벨토치카는 〈기동전사 Z 건담〉 시절과는 달리 아무로 주위의 여성들을 질투하거나 배척하는 모습은 묘사되지 않고 아무로의 아이를 임신한 상태다. 또한 첸 아기가 갖고 있던 사이코 프레임을 대신 갖고 있으며, 어디선가 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리면서 기적이 일어나는 것을 두 번 경험하게 된다.[6] 이 때문에 제목이《벨토치카 칠드런》인 것.

아무로 또한 팝티머스 시로코처럼 타인의 정신을 붕괴시킬 수 있고, 심지어 아예 특정 일대의 인원 전부를 뇌사 시킬정도로 강력한 힘이 있으나 선량한 마음씨 때문에 쓰지 않는다는 서술이 나온다. 아무로가 CCA에선 리가지로 대응했던 첫번째 사자비 전투에서 사자비의 빔 라이플을 잘라버릴 정도로 크게 밀리지 않았던 데 비해 BC에선 나이팅게일에게 기체의 차이로 아예 상대가 안 되고 샤아가 봐줘서 살아남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싸움으로 인한 리가지의 파손 때문에 아무로가 제간에 잠깐 타기도 하는데, 이때는 레즌 슈나이더를 상대하면서도 고전을 면치 못한다. 이것은 샤아에 대한 분노와 초조감이 너무 강했기 때문이었다.[7]

샤아가 사이코 프레임을 유출하는 과정이 다르다. 5th 루나의 교전에서 아무로에게 당해 행동불능에 빠진 사이코 도가를 기체와 파일럿 둘 다 충분히 회수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파일럿인 글러브 거스만 회수한 채 방치하고 떠난다. 이것은 샤아의 의도적인 행동인데 리가지와 나이팅게일의 성능차 때문에 일생일대의 라이벌인 아무로조차 제대로 싸우지 못하는 것을 보고는 사이코 도가를 방치하고 떠남으로써 사실상 사이코 프레임을 보란듯이 론도 벨에게 넘겨줘버린 것이었다. 이 일에 대해 글러브 거스가 해명을 요구하자 샤아는 강화하는데 많은 자산이 투자된 파일럿이 더 중요하다 판단했다고 이유를 내세우며, 이 일련의 사건이 글러브가 샤아에게 강한 의구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론도 벨에 노획된 사이코 도가는 탑재된 사이코 프레임이 통째로 뜯어져서 롤아웃 막바지에 이른 (하이)뉴 건담에 급히 이식된다.[8]

하이뉴 건담의 하이퍼 메가 바주카 런처는 라 카이람의 동력부와 연결하면 엄청난 위력을 낼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언급이 있다. 이걸로 론도 벨은 액시즈의 핵 노즐을 파괴하려고 했으나 이를 눈치챈 퀘스가 연결코드를 끊어서 실패한다.[9] 그렇게 하이퍼 메가 바주카 런처의 상한선은 어느 수준인지 나오지 못하고 퇴장. 다만 코믹스판에서는 라 카이람의 주포를 이용해 급조한 무기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케라 수의 전사 이후 아무로가 샤아가 죽기 전엔 자신도 죽을 수 없다고 독백하는 건 같지만 이 말을 들은 벨토치카가 "그런 무서운 말을 하면 우리 아기가 불쌍하다"고 말리며 아무로는 이때서야 자신에게 자식이 생긴 걸 알게 된다. 덕분에 지구연방군 소속 론도 벨 부대 대위로서의 아무로의 행동 원리가 '샤아의 잔악무도한 학살을 막는다'에서 그치지 않고, '앞으로 태어날 내 아이가 살아갈 세상을 지킨다'라는 의미가 더해져 가장으로서의 면모가 부각된다. #

퀘스가 죽는 전개가 다르다. 상술했듯이 아무로가 두번 죽을 뻔한 다음 가까스로 승기를 잡는데, 이 때 퀘스는 알파 아질에 탑승한 상태로 제간에 탄 하사웨이로부터 연방으로의 전향에 대한 설득을 듣고 있었다. 퀘스는 샤아의 위기를 감지하고 그 자리에서 이탈해 아무로를 죽이려 드며, 하사웨이는 결국 퀘스를 설득할 마음을 단념하고 지구의 생명들과 삼촌 같은 아무로를 지키기 위해 알파 아질을 가로 막고 직접 빔 사벨로 퀘스를 살해한다. 비록 무고한 생명들을 지키기 위한 행동이었으나 이 일로 하사웨이는 큰 트라우마를 갖게 되며, 12년 후《섬광의 하사웨이》시점에서도 퀘스의 환영을 보며 괴로워하는 등 PTSD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벨토치카는 첸 아기와는 다르게 하사웨이와 퀘스를 만나지 않아 하사웨이에게 살해당하지 않고 과부로 살아남는다. 다만 퀘스를 죽이지 않는 대신 리가지로 글러브 거스를 격추시킨다.

아무로와 샤아의 최종 결전도 묘사가 다르다. 〈역습의 샤아〉에선 아무로와 뉴 건담이 그리 어렵지 않게 샤아와 사자비를 꺾지만,《벨토치카 칠드런》에선 하이뉴 건담과 나이팅게일이 U.C. 0079년도의 건담자쿠 II의 결전 이후 우주세기 최장 시간 MS백병전을 펼쳤으며, 끝내 아무로가 패배하고 샤아에게 처형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아무로와 벨토치카의 아이가 일으킨 기적으로 사이코 필드가 펼쳐져 위기를 모면한다. 그것도 두 번이나.[10]

아무로와 샤아가 격돌하는 최후의 장면에서 샤아의 라라아 슨 어머니 드립이 나오지 않는다.[11] 샤아의 유언은 아르테시아 솜 다이쿤의 사진을 보며 지구에 있는 여동생을 죽이지 않게 된 것에 대해 안도해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이에 라이벌의 유언을 조지려는 샤아의 음모가 사라졌기에아무로의 유언도 "벨토치카!"로 바뀌었다.

8. 등장인물

9. 등장 기체


[1] 반면 영화와 같은 내용에다가 영화 시점 이전에 벌어진 일을 추가한 소설은《하이스트리머》다. 이쪽도 내용이 아주 똑같지는 않아서 인물묘사가 다르거나, 영화에는 나오지 않은 기체가 추가되거나 기존 모빌슈트의 디자인도 변경되었다. 《하이스트리머》는 소설판《퍼스트 건담》처럼 원작을 토대로 하되 약간의 각색과 추가된 묘사가 있다.[2] 작가는《건오타 그녀》를 그렸던 사바시 우로아키였다. 이 작품 이후《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만화판을 연재하고 있다. 내용도 극장판과는 달리 《벨토치카 칠드런》코믹스판의 설정을 따른다.[3] 단, 섬하 극장판은 BC가 아닌 CCA의 후속작이다.[4] α 외전, 2차 α, 3차 α, D에서 등장했다.[5] 2차 α, D에서 등장했다. 3차 α에선 전작에서의 샤아 아즈나블의 사망으로 인해 참전하지 못한채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다.[6] 예비 사이코 프레임을 가진 벨토치카가 레즌 슈나이더에게 피격당하기 전과 하이뉴 건담의 사이코 프레임이 공명하면서 액시즈를 밀어낼 때.[7] 아무로의 MS 전투 실력은 레즌에게 고전한 점과 샤아에게 총 세번 죽을 뻔 해 BC 단독으로 보면 CCA와 전적상의 큰 차이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인 톤은 유지됐다. 똑같이 글러브의 사이코 도가를 압도했고, 지문에서도 '신기'(神業)라고 표현된다.[8] 즉, 건담 관련 게임에서 하이뉴 건담이 뉴 건담의 후속기나 강화기로 나오는 것과는 달리 실제《벨토치카 칠드런》의 묘사는 뉴 건담과 완전히 동일한 기체다. 원전이 되는 토미노의 1988년도 출간작에서도 그냥 '뉴 건담'으로 불렸고.[9] 퀘스의 행적은 CCA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때문에 아무로는 엄청나게 분노하고, 퀘스는 지금까지 상상하지도 못했던 아무로의 프레셔에 눌려 충격을 받는다.[10] BC에는 아이가 일으킨 기적이라는 암시만 있지만, 일부 대사가 추가·변경된 카세트 드라마 판에서는 ‘마마’와 ‘파파’라는 아이의 대사가 나온다.[11] 원래 토미노의 초기 구상에 따르면 <퍼스트 건담> 시점에서 했어야 했는데, 제작과정에서 계속 미뤄지다가 <역습의 샤아>에 가서야 하게 된 것이었다. 문제는 연출과 타이밍 때문에 뜬금없는 대사가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