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30:10

법원도서관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대한민국 법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법원
법원행정처 · 사법연수원 · 사법정책연구원 · 법원공무원교육원 · 법원도서관 · 양형위원회
서울고등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 서울동부지방법원 · 서울남부지방법원 · 서울북부지방법원 · 서울서부지방법원 · 서울가정법원 · 서울행정법원 · 서울회생법원 ·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 남양주지원)
인천원외재판부 <colbgcolor=#fff,#1c1d1f>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 북부지원) · 인천가정법원
춘천원외재판부 춘천지방법원 (강릉지원 · 속초지원 · 원주지원 · 영월지원)
대구고등법원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 · 안동지원 · 경주지원 · 영덕지원 · 상주지원 · 의성지원 · 포항지원 · 김천지원) · 대구가정법원
광주고등법원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 장흥지원 · 순천지원 · 해남지원) · 광주가정법원
전주원외재판부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 정읍지원 · 남원지원)
제주원외재판부 제주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 · 서부지원) · 부산가정법원 · 부산회생법원
울산원외재판부 울산지방법원 · 울산가정법원
창원원외재판부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 · 진주지원 · 밀양지원 · 통영지원 · 거창지원) · 창원가정법원2025.03예정
대전고등법원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 공주지원 · 논산지원 · 서산지원 · 천안지원) · 대전가정법원 · 대전회생법원2026.03예정 · 세종지방법원2031.03예정
청주원외재판부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영동지원 · 제천지원)
수원고등법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 안양지원 · 안산지원 · 평택지원 · 여주지원) · 수원가정법원 · 수원회생법원
취소선: 신설확정·건설중, : 2028.3.1 인천고등법원으로 분리 예정
특허법원
국방부 관할
군사법원 중앙지역군사법원 · 제1지역군사법원 · 제2지역군사법원 · 제3지역군사법원 · 제4지역군사법원
대한민국 검찰청 관련 틀
}}}}}}}}} ||
파일:대한민국 법원 휘장.svg 대한민국의 대법원 산하기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법원도서관
法院圖書館
Supreme Court Library
}}}
설립일 1949년 8월 15일 법원행정처[1]
1989년 9월 1일 법원도서관[2]
관장 25대 전지원[3] (사법연수원 24기)
사무국장 소의섭 (법원부이사관)
소재지

사법연수원청사[위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호수로 550 (장항동)
홈페이지 파일:대한민국 법원 로고.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법원도서관.jpg
법원도서관 전경

1. 개요2. 이용3. 관장4. 여담

[clearfix]

1. 개요

법원조직법
제22조(법원도서관) 재판사무의 지원 및 법률문화의 창달을 위한 판례·법령·문헌·사료 등 정보를 조사·수집·편찬하고 이를 관리·제공하기 위하여 대법원에 법원도서관을 둔다.

제81조(조직) ④ 법원도서관의 조직, 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법원규칙으로 정한다.
그 운영 등에 관해서 법원도서관규칙이 제정되어 있다.

명칭만 보면 그냥 법원에 있는, 법서가 매우 많이 구비된 도서관이라고만 생각하기 쉬운데, 대한민국에서 법학을 배운 사람이면 누구나 대충은 알다시피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연속간행물들을 발행하고 있다.
  • 판례공보[5]
  • 사법논집
  • 사법연구자료
  • 재판자료집
  • 각급법원(제1,2심) 판결공보
  • 대법원판례해설
  • 기타 등등

종전에 USB메모리로 제공하던 법률정보 데이터베이스인 '법고을 LX'를 2024년에 홈페이지를 만들어 온라인으로 제공하게 되었다.

2. 이용

이 도서관에 소장된 자료들은 아무나 이용할 수 없고, 원칙적으로 법조직역에 있는 사람들[6]만 이용할 수 있었으나, 고양시 일산동구로 법원도서관이 이전한 2018년 12월 11일부터, 일반인에게도 개방하기로 했다.[7] #

다만, 대법원열람실을 이용할 수 있는 직역은 아래와 같이 여전히 제한되어 있다.
  • 법관 및 법원공무원: 당연 자격자로 별도의 자격 심사와 승인이 필요 없으며, 사실 법원도서관까지 오지 않아도 근무처에서 업무 목적으로 얼마든지 열람할 수 있다.
  • 검사, 검찰공무원, 변호사, 법무사, 사법연수생 및 대학교수: 1호 자격자로, 준당연 자격자로 취급되며, 1호 자격자를 증명하면 별도의 승인 절차를 거치지 않는다.
  • 국가기관과 연구기관의 임직원으로서 소속기관장의 의뢰로 법원도서관장의 승인을 받은 사람: 2호 자격자로, 보통 국가기관, 공공기관 종사자가 업무 목적으로 열람하는 자격이다. 소속 기관장 명의의 추천서를 첨부하여 열람 자격 신청을 하고, 그에 대한 승인이 필요하다. 추천서는 열람자의 소속 기관장이 그 신원을 보장하고, 열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일정 책임을 진다는 의미기 때문에, 승인이 안 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 기타 상당한 이유가 있어 법원도서관장의 승인을 받은 사람: 3호 자격자로, 1, 2호 자격자와는 달리 구체적인 열람 목적과 범위를 명시적으로 소명해야 하며, 그 경우에도 무조건 승인되는 것이 아니다. 단순 열람 신청은 대부분 반려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판결문의 검색·열람을 위한 특별창구도 설치되어 있는데,[8] 역시 아무나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곳 외에는 창구가 없는 데다가 신청자가 늘 밀려 있어서 변호사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관련 기사 그나마 일산으로 이전한 후에는 사정이 조금 나아졌다.#

2022년 2월 14일부터 개관 33년 만에 대국민 도서 대출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만 16세 이상인 홈페이지 회원에게 국내 법률도서와 일반 도서 등 약 10만권을 소장한 '법마루'를 개방하기로 한 것이며 변호사, 법원 직원, 학자들에게만 대출을 해온 과거에 비해 일반 공공도서관처럼 대출방식이 조금 완화된 셈인것이다.관련기사

3. 관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초대
이강국
제2대
홍일표
제3·4대
전계원
제5대
서정도
제6대
한상호
제7대
강봉수
제8대
이상현
제9대
송기홍
겸임
이홍훈
제10대
손용근
제11대
유원규
제12대
민일영
제13대
이동명
제14대
강영호
제15대
김창석
제16대
조경란
제17대
안철상
제18대
김찬돈
제19대
김기정
제20대
강민구
제21대
노정희
제22대
허부열
제23대
유상재
제24대
윤승은
제25대
전지원
}}}}}}}}}

4. 여담

  • 고양시 일산동구에 있는 사법연수원 구내로 이전하기 전에는 대법원 건물[9] 안에 있다 보니 법학 전공자들도 큰맘 먹지 않으면 가 보기 어려웠다. 찾아가는 것만으로는 장땡이 아닌 것이, 대법원 건물은 황당하게도 내부에 표지판이 없기 때문에 안에 들어가서도 관계자한테 물어보면서 찾아가야 했다.


[1] 법률 제51호 법원조직법 (1949. 09. 26). 근거 법령이 부처가 설치된 이후라 의아할 수 있으나, 이 법 자체가 '49년 9월 26일 '제정', '49년 8월 15일 '시행'이라는 신기한 법이다.[2] 법률 제3362호 (1981. 01. 29.)[3]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겸임[위치] 사법연수원 본관 1~3층[5]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2020년 10월 1일자 부터 판례공보를 오디오북으로도 제공하하는 기행을 벌이고 있다.[6] 판사, 법원공무원, 검사, 검찰공무원, 변호사, 법무사, 사법연수생 및 교수[7] 16세 이상이면 이용 가능[8] 이 창구 외에는, 사건번호를 모르면 판결문을 검색할 방법이 없다.[9] 여담으로 인근에 국립중앙도서관이 있다. 사실 현 국립중앙도서관 위치가 본래 법조단지를 조성하고 남은 부지에 들어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