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1. 개요
로스트아크의 직업 버서커의 운용방법을 정리한 문서2. 운용
2.1. 광전사의 비기
일반 스킬로 고유 아덴인 폭주 게이지를 Max로 채운다음 필요한 순간에 폭주를 발동해 지속 시간동안 극딜을 하는 아덴 폭발형 스타일이다.주력기 트포 대다수에 달린 폭주 강화의 효과로 폭주 발동 시 쿨타임이 초기화된다는게 특징. 주력기를 굳이 아껴두기 보단 기믹 수행이나 아덴 파밍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같은 이유로 24초가 아닌 36초 사이클도 무리없이 굴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처단자 슬레이어와 비숫하게 블러디 러쉬를 콤보 마지막에 사용하는 식으로 변동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4티어 노드까지 찍는 경우 블러드 러쉬가 3회 사용 가능해지면서 블러드 러쉬의 비중을 대폭 높이게 된다.
- 폭주 딜사이클: 레드 더스트 - 블러드 슬래시(초각스) - 블러디 러쉬 - 오버 드라이브 - 피니쉬 스트라이크- 헬블레이드
- 분노 수급 스킬: 마운틴 크래쉬(2회) / 템페스트 슬래쉬 / 파워 브레이크 or 브레이브 슬래쉬 / 윈드 블레이드 > 스킬 미스 발생 시 오버 드라이브나 헬블레이드를 사용해서 보완
2.2. 광기
폭주 게이지는 항상 Max이며 전용 폭주 모드인 광기 발동 시 무제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지속 딜러 스타일이다.최대 체력 25%라는 특이한 구성을 갖고 있는데 이로 인해 달인의 저력을 유일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받피감을 감안해도 체방이 원딜러보다 약간 나은 수준으로 슈샤치곤 꽤 낮은 축에 속하므로 빠른 공이속을 이용해 어느정도의 회피를 해주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아덴 관리가 불필요하며 기존적인 레드 더스트 사이클 돌리기만 신경쓰면 된다. 시즌3 들어 아크 패시브가 들어오면서 무한한 마력, 끝없는 마나 노드를 통해 쿨타임을 더 단축할 수 있게 되었고 그로 인해 "레더 버프 현자타임 없이 레더 버프 내로 모든 주력기 스킬을 쓰는" 순수 사이클 딜러로 활약할 수 있다.[1]
사이클 순환이 중요하기 때문에 트포 조정을 통해 모든 스킬의 쿨타임을 24초로 동일하게 맞춰서 지속적으로 딜사이클을 돌리는 식으로 운용한다.
- 오버드라이브 24초 무자비함 빌드: 레드 더스트 - 초각성 스킬 - 오버드라이브 - 피니쉬 스트라이크 - 헬 블레이드 - 소드 스톰 - 파워 브레이크 or 템페스트 슬래쉬 - 마운틴 크래쉬
아크 그리드 시스템을 통해 '홀드 엣지' 코어를 사용하게 되면 레드 더스트의 격노 버프 유지 스트레스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쿨이 돌아올 때마다 스킬을 사용하면 된다.
3. 아크 패시브
3.1. 진화
- 광전사의 비기
- 1티어: 특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특화30/치명10을 투자한다. 폭주를 켜면 공이속이 대폭 증가하고 주력기 쿨이 초기화되므로 신속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 2티어: 폭주 및 특화 보정으로 높은 치적을 얻을 수 있어서 한계 돌파를 주로 사용하나, 뭉가를 쓰는 경우 치적 보충을 위해 예리한 감각도 사용할 수 있다. 뭉가 빌드라 현자 타임이 너무 긴 경우 한계 돌파 대신 끝없는 마나를 1~2개 주기도 한다.
- 3티어: 일격을 사용한다. 오버드라이브는 적용되지 않으나 블래디 슬래쉬의 딜비중이 절대적이라 일격의 효용이 높다.
- 4티어: 입식 타격가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나 강력한 한방 사이클을 원한다면 뭉툭한 가시도 좋은 선택이다.
- 광기
- 1티어: 치명과 신속을 투자하며 비율에 따라 극치(치명30/신속10),[뭉툭한가시] 치신(치명23/신속17),[마나용광로][4] 극신(치명10/신속30)[음속돌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한다.
- 2티어: 금단의 주문에 1~2를 준다음[6] 남는 부분은 한계 돌파에 준다. 마나가 모자라면 한계 돌파 대신 금단의 주문을 더 찍어도 된다.
- 3티어: 무한한 마력을 주로 쓰며, 뭉툭한 가시 트리인 경우 일격을 준다.
- 4티어: 사이클 순환이 중요하기에 무난하게 쎈 마나 용광로를 주로 쓰며, 비기와 마찬가지로 한방 사이클을 노리는 경우 뭉툭한 가시를 가기도 한다.
3.2. 깨달음
- 광전사의 비기: 강인한 육체(3/3) - 신체 활성(3/3) - 폭주 강화(3/3) - 광전사의 비기(1/3) - 쇄도(1/5) - 광전사의 비기(3/3) - 분노 소모 or 쇄도
광전사의 비기 정석 트리. 폭주 강화까지는 시즌2 직업 각인과 동일하며, 4티어 노드인 광전사의 비기를 찍는 순간부터 블러디 러쉬 3회가 해금되면서 블러드 러쉬 중심의 운용이 가능해진다.
사이드 노드의 경우 쇄도는 이동기 쿨감 및 폭주 시 초기화 효과를 통해 유틸을 대폭 늘려주기에 1렙은 필수적으로 주는게 추천되며, 분노 소모의 경우 분노 게이지 추가 소모를 댓가로 블러디 러시 딜을 늘려서 사이클을 빨리 돌리는게 가능해진다. - 광기: 광기(3/3) - 분노 변환(3/3) - 차가운 분노(3/3) - 어둠 강화(1/3) - 쇄도(1/5) - 어둠 강화(3/3) - 쇄도 or 분노 자극
광기 트리. 차가운 분노까지는 시즌2 직업 각인과 동일하다. 4티어 노드인 어둠 강화는 심플하게 피해량 증가로 공격을 적중 시기면 반영구적인[7] 피해량 증가 버프를 최대 10중첩까지 얻을 수 있다.
사이드 노드 중 쇄도는 비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기 유틸성을 위해 1렙은 찍어주며, 분노 자극의 경우 심플하게 폭주/광기 상태 시 치피증 증가 효과를 준다.
3.3. 도약
버서커는 초각성 스킬 쿨감을 찍지 않아도 사이클에 맞게 돌아가고, 초각성기 계수도 높기 때문에 1티어 도약은 초각성기 피증 - 초각성 스킬 피증 - 초각성 스킬 마나 감소를 4-5-2 정도의 비율로 투자하는게 일반적이다. 딜찍이 가능한 짧은 레이드인 경우라면 초각성기에 하나 더 주는 5-4-2로 찍기도 한다.2티어 노드는 개편된 이후 초각성 스킬에 따라 각자의 노드가 비기/광기에 특화되도록 분리되었기 때문에 사용하는 깨달음 스타일과 선호하는 초각성 스킬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노드에 투자해주면 된다.
4. 각인
4.1. 광전사의 비기
원한 Lv.3 | 필수 |
보스 이상 몬스터에게 받는 피해량과 가하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가장 딜 상승량이 높은 각인인 만큼 어지간하면 가주는 편이 좋다. 특히 한국서버는 원한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당연히 맞춰야 하는 각인. | |
예리한 둔기 | 필수 |
치피증 증가 각인. 폭주 상태면 폭주 시 +30%의 치적이 기본으로 확보되고 특화로 효과를 더 올릴 수도 있어서 예둔컷인 60% 이상의 치적을 무조건 만족하기 때문에 충분히 고효율이 나오는 각인이다. | |
돌격대장 | 필수 |
특화만 올려도 폭주 시 최고 이속 수치가 나오는 비기 버서커에게 돌격대장 각인은 저주받은 인형보다 페널티도 없고 고점도 더 높다. 다만 폭주 상태에서만 공이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깡통 상태에서는 없는거나 마찬가지라는게 단점. | |
기습의 대가 | 선택 |
버서커 주력기인 오버드라이브와 서브 딜링기인 브레이브 슬래시를 제외하고 웬만하게 채용하는 스킬들에는 백어택이 달려있어 사멸 세트를 착용한 비기 버서커가 채용하는 필수각인. 딜비중 절반 이상인 블러디 러쉬도 백어택이라 고점을 위해 사용한다. | |
질량 증가 | 선택 |
폭주를 통해 질량 증가의 공속 감소 10% 페널티를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사실상 노페널티로 공격력 18%를 올려주는 각인이다. 돌대와 마찬가지로 깡통 상태에서는 페널티만 받는게 단점이다. | |
저주받은 인형 | 선택 |
딜러들이 두루 사용하는 공용 각인. 다만 비기는 광기처럼 실질 회복 효율이 늘어나는건 아니라서 회복량 감소 페널티는 온전히 감수해야 하나 깡통 상태에서도 효율이 나온다는 장점이 있다. | |
안정된 상태 | 선택 |
체력 관리만 유의하면 큰 부담없이 쓸 수 있는 각인. 유물 각인서의 가격이 싼데다 효과도 다른 공용 각인과 동일하다. 체력 관리 부담 되에는 다른 페널티가 없어서 깡통/폭주 상태 모두 영향을 받는게 장점. | |
아드레날린 | 선택 |
치적 증가와 공증을 주는 각인. 비기 버서커는 이미 충분한 치적을 확보하기 때문에 뭉툭한 가시를 사용할 때만 사용한다. | |
에테르 포식자 | 선택 |
장기전인 레이드에서 쓰기 좋은 가성비 각인. 저주받은 인형이나 안상을 대체해 사용할 수 있다. 유물 각인서의 가격도 저렴해서 가성비도 뛰어나다. |
4.2. 광기
원한 | 필수 |
보스 대상 피해량 증가 각인. 과거에는 광기 버서커의 체방이 워낙 처참해서 어떻게든 채용하지 않고 다른 각인으로 대체하거나 하는 온몸 비틀기를 시도했던 역사가 있다. 시즌3 현재 시점에서는 광기 노드 자체의 받피증이 좀 더 올라서 빈약한 체방이 보완되었고 정 부담되면 에테르 포식자를 쓴다는 선택지도 생겨남에 따라 필수적으로 가져간다. | |
예리한 둔기 | 필수 |
광기 깨달음 노드에 치명타 적중률 30%가 기본으로 부어있고 치명 위주의 특성을 가져가기 때문에 예둔의 효율이 원한과 비슷할 정도로 매우 높아서 반드시 가져가야 한다. | |
달인의 저력 | 필수 |
현 시점 오로지 광기 버서커만이 노페널티로 채용이 가능한 각인. 유물 각인서도 매우매우 싸서 안 쓸 이유가 전혀 없다. 다른 공용 각인은 교체의 여지라도 있지만 원한, 예둔, 달인의 저력은 어떤 경우라도 절대 빼지 않는다. | |
돌격대장 | 선택 |
광기 버서커는 광기의 자체 공이속 버프와 약간의 신속 투자로 돌대에 필요한 풀이속을 달성할 수 있어서 효율이 높다. | |
마나 효율 증가 | 선택 |
시즌3 출시되면서 효과가 개선된 딜 각인. 마나 회복 속도 증가와 마나 소모 스킬 피증을 부여한다. 에테르 포식자처럼 예열이 필요하지 않으면서도 저주받은 인형처럼 페널티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매우 유용하다. 마나 용광로 트리를 간다면 마나가 마르기 쉽기 때문에 쓰는게 좋다. | |
저주받은 인형 | 선택 |
광기는 자체로 받는 회복량 증가가 있다보니 사실상 노페널티에 가까워서 쓸 수 있다. 다만 에테르 포식자나 마나 효율 증가보다 유물 각인서가 훨씬 비싸다는건 감안해야 한다. | |
에테르 포식자 | 선택 |
시즌3 들어 예열이 빨라져서 장기 레이드에서 쓰기 좋은 각인. 주로 저받을 대체하는데 사용하면 광기임에도 상당한 수준의 체방을 갖게되어 안정성이 매우 높아진다. | |
질량 증가 | 비주류 |
신속을 1150 정도까지 올릴 경우, 3레벨 갈망과 공이속 음식 효과를 받으면 질량 증가를 끼고도 풀공속이 나와준다. 갈망이 사라져도 돌대가 어느 정도 풀효율에 가깝게 나와주고, 쿨타임 감소 효과도 누릴 수 있는 등 장점이 있긴 하지만 치명 스텟을 신속으로 뺀 만큼 치적이 낮아져[8] 파티 시너지를 잘 꾸리거나, 아드레날린을 채용해야 되는 등 상황에 따라 캐릭터 성능이 많이 갈리기에 많은 버서커 유저들이 채용하지는 않는다. | |
아드레날린 | 비주류 |
치명 투자 + 자체 치적 증가로 이미 풀에 가까운 치적을 갖고 있는 광기 버서커라 굳이 쓸 필요가 없다. 뭉툭한 가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나 고려 대상이고 그게 아니면 아예 빼는게 좋다. |
5. 카드
- 입문 - [운명의 별]
- 카오스 던전/쿠르잔 전선용 - [알고보면]
- 추천 - [세상을 구하는 빛]
- 종결 - [~숨결] 시리즈
- 기타 - [카제로스의 군단장]
- 특수 - [부르는 소리 있도다] + [세 우마르가 오리라] / [삼두정치]
후자의 부르삼두 조합은 모든 딜러들이 보편적으로 쓸 수 있는 가디언 토벌 종결셋이다. 부르마르와 달리 비사멸 스킬에도 효과가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어서 광기 버서커가 고려해볼 수 있다.
6. 스킬 트리
6.1. 광전사의 비기
기본 | | | |
피니시 스트라이크 | 헬 블레이드 | 오버 드라이브 | 레드 더스트 |
| | | |
브레이브 슬래쉬 | 마운틴 크래쉬 | 윈드 블레이드 | 템페스트 슬래쉬 |
교체 [11]
| |
체인 소드 | 숄더 차지 |
6.2. 광기
기본 | | | |
피니쉬 스트라이크 | 헬 블레이드 | 오버 드라이브 | 레드 더스트 |
| | | |
템페스트 슬래쉬 | 소드 스톰 | 마운틴 크래쉬 | 숄더 차지 |
교체
| | |
파워 브레이크 | 체인 소드 | 휠윈드 |
레드 더스트 - 오버 드라이브 - 피니쉬 스트라이크 - 헬 블레이드 - 소드 스톰 - 템페스트 슬래쉬 - 마운틴 크래쉬 의 기본 딜링 사이클을 가진다. 초각성 스킬이 있는 경우 소드 스톰을 대신해 사용하고 이후 소드 스톰을 사용하는 식으로 1칸씩 미는 식으로 끼워준다.
레드 더스트 사용 후 버프 시간동안 모든 딜스킬을 때려박은다음 레더가 돌아오기 전까지 다크 러시 혹은 평타를 친다.
아크 패시브가 도입되고 구조 개선을 받은 후로는 브레이브/템페스트 슬래쉬 중 1개를 빼고 숄더 차지를 1렙으로 넣은다음 카운터를 뺀 나머지 딜스킬을 전부 14렙까지 찍는 숄더마운틴 빌드가 대세다. 끝마/무마 노드를 찍으면 이전보다 사이클을 훨씬 빨리 돌리게 되기 때문에 딜 스킬을 5가지만 넣어도 현자타임 거의 없이 레더 사이클이 돌아가며, 중간중간 비는 타임에 초각스를 넣으면 되기 때문. 또한 카운터 스킬도 체인 소드보다는 마운틴 크래쉬를 10렙 찍고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자버프가 깨달음 노드에 통합되고 2스택이 가능해지다보니 레더 버프 빠지면 틈틈히 받피증 시너지 유지용으로 밟아주거나 무력화 기믹에 사용할 수 있고 사거리가 길다보니 카운터 치기도 편하기 때문.
비기 개편이 들어오면서 덤으로 교체를 고려할 수 있는 스킬로 파워 브레이크가 있는데 템페스트 슬래쉬보다 근소하게 쎄다는걸 이용해 2사이클당 1회는 초각성 스킬, 나머지 1회에 파워 브레이크를 끼워넣는 식으로 돌리는데 활용한다.
[1] 시즌2 시절에는 레더의 지속 시간 동안 스킬을 모두 넣을 수 없어서 딜이 강한 주력기를 레더 시간 내로 넣고 나머지 자투리 스킬은 레더 버프 끝나고 쿨타임이 남는동안만 쓰는 식으로 사이클을 돌렸다.[뭉툭한가시] [마나용광로] [4] 광기는 돌대컷 신속 기준이 이속 16%이므로 여기에 맞춘다. 나머지 24%는 광기 버프(15%)와 서포터 정열(9%)로 채워진다.[음속돌파] [6] 작열 보석 레벨이 아직 낮으면 끝없는 마나 1개쯤 줘도 된다. 레더 현자타임을 최소화하는게 더 낫다.[7] 출시 당시에는 지속 시간이 있었으나 족쇄로 작용한다는 불만이 많아서 영구 효과로 패치되었다.[8] 물약/카드작, 품질 100 악세, 120치명팔찌 등 최대한 치명을 땡겨와도 1300 언저리까지밖에 못 한다. 정밀 팔찌까지 챙겨야 되는 셈.[9] 이미 갖고 있던 카드 수에 +11장씩 더해지는 방식이므로 카드가 어느 정도 모였던 유저면 30각 점핑도 가능하다.[10] I 팩은 세구빛&남바절이, II팩은 암구빛&남바절 카드가 등장한다.[11] 체인 소드는 마운틴 크래쉬 대신 카운터기로 채용이 가능하고, 이동기가 필요하다면 분노 수급기를 하나 포기하고 숄더 차지를 채용한다.